목차
『한국개념사총서』발간사 = 5
저자의 말 = 10
서론 국가 개념의 다의성과 연구의 의의 = 15
Part 1 국가 = 25
1. 서양에서 국가 개념의 변화 = 27
Status/Stato의 기원
국가이성
근대적 국가 개념의 성장
독일에서 국가 개념의 형성과 발전
2. 한자 문명권에서 국가의 개념 = 89
중국에서의 국가 개념
일본에서의 국가 개념
3. 한국사 전통에서 국가의 개념 = 101
고구려/고려(『삼국사기』-『삼국유사』)
조선조의 기록물
새로운 국가 개념의 시작
취약한 국가 전통과 국가지상주의의 위험
Part 2 주권 = 181
4. 근대 유럽사에서 주권 개념의 형성 과정 = 183
서양 주권이론의 전사
근대적 주권 개념을 위한 준비
근대 주권이론의 탄생-보댕과 홉스
대외적 주권
근대 국제정치질서에서 최고 규범으로서의 주권
5. 주권 개념의 조선 전래 = 221
주권 개념 전래의 의미
김윤식과 양편론/양득론
유길준과 양절체제
유길준 이후
주권 현실의 부재와 주권 개념 확립의 지연
결론 = 240
문헌목록 = 249
찾아보기 = 263
『한국개념사총서』발간사 = 5
저자의 말 = 10
서론 국가 개념의 다의성과 연구의 의의 = 15
Part 1 국가 = 25
1. 서양에서 국가 개념의 변화 = 27
Status/Stato의 기원
국가이성
근대적 국가 개념의 성장
독일에서 국가 개념의 형성과 발전
2. 한자 문명권에서 국가의 개념 = 89
중국에서의 국가 개념
일본에서의 국가 개념
3. 한국사 전통에서 국가의 개념 = 101
고구려/고려(『삼국사기』-『삼국유사』)
조선조의 기록물
새로운 국가 개념의 시작
취약한 국가 전통과 국가지상주의의 위험
Part 2 주권 = 181
4. 근대 유럽사에서 주권 개념의 형성 과정 = 183
서양 주권이론의 전사
근대적 주권 개념을 위한 준비
근대 주권이론의 탄생-보댕과 홉스
대외적 주권
근대 국제정치질서에서 최고 규범으로서의 주권
5. 주권 개념의 조선 전래 = 221
주권 개념 전래의 의미
김윤식과 양편론/양득론
유길준과 양절체제
유길준 이후
주권 현실의 부재와 주권 개념 확립의 지연
결론 = 240
문헌목록 = 249
찾아보기 = 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