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문제와 결과의 개관 = 1
1.1 음운론적 불투명성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 1
1.2 이 책은 불투명성에 대하여 무엇을 주장하고자 하는가? = 5
1.3 이 책은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 9
제2장 불투명성, 도출, 그리고 최적성이론 = 10
2.1 개관 = 10
2.2 불투명성과 도출 = 10
2.2.1 표시 단계 = 10
2.2.2 도출 = 13
2.2.3 도출에서 불투명성 = 15
2.2.4 동시적용 = 20
2.2.5 규칙순 이론 = 22
2.2.6 후기의 발전 = 25
2.3 최적성이론에서 불투명성 = 28
2.3.1 고전 OT의 특성 = 28
2.3.2 고전 OT에서 음운 과정의 상호작용 = 30
2.3.3 고전 OT에서 불투명성 = 36
2.3.4 고전 OT에서 불투명성에 대한 종전의 접근방식 = 39
2.3.4.1 새로운 실질적 가정에 의한 불투명성 = 40
2.3.4.2 연속도출 및 규칙순과 유사한 방식 = 54
2.3.4.3 중간도출형과 유사한 방식 = 69
2.3.4.4 대립보전 장치로서 불투명성 = 75
2.4 지금까지 얻은 내용은 무엇인가? = 81
제3장 후보연쇄와 음운론적 불투명성 = 83
3.1 서론 = 83
3.2 연쇄이론 = 85
3.2.1 기본사항 = 85
3.2.2 후보연쇄의 몇 가지 특성 = 90
3.2.3 후보연쇄의 지적 전신 = 96
3.2.4 연쇄이론의 구체적 내용 = 102
3.2.4.1 연쇄의 초기형 = 102
3.2.4.2 점진성과 LUM이론 = 110
3.2.4.3 국부적 최적성 = 114
3.3 연쇄와 불투명성 = 135
3.3.1 제안의 개요 = 135
3.3.2 <TEX>$$P_{REC}$$</TEX> 제약과 후보 평가 = 137
3.3.3 역출혈순 불투명성에 대한 적용 = 143
3.3.4 역급여순 불투명성에 대한 적용 = 153
3.3.5 다중 불투명성에 대한 적용 = 158
3.4 OT-CC에서 언어학습 = 171
3.5 불투명성과 충실성 = 174
3.5.1 동일한 충실성 위배는 동일한 불투명성 상호작용을 함의한다 = 174
3.5.2 이음교체의 결과로서 불투명성 = 181
3.5.3 연쇄추이에서 충실성과 <TEX>$$P_{REC}$$</TEX> 제약 = 186
3.6 다른 이론과의 비교 = 191
3.6.1 조화향상 = 192
3.6.2 점진성 = 194
3.6.3 <TEX>$$P_{REC}$$</TEX> 제약 = 198
제4장 두 사례 연구 = 203
4.1 이 장의 목표 = 203
4.2 Levantine Arabic = 204
4.2.1 문제의 개관 = 204
4.2.2 강세와 충실한 음절화 = 207
4.2.3 강세-모음삽입 상호작용 Ⅰ: 어말 자음군 = 218
4.2.4 강세-모음삽입 상호작용 Ⅱ: 어중 자음군 = 225
4.2.5 어중모음탈락-모음삽입 상호작용 = 236
4.2.6 단모음화-모음삽입 상호작용 = 247
4.2.7 요약 = 250
4.3 Bedouin Arabic = 251
4.3.1 배경 = 251
4.3.2 강세와 제3음절 탈락 = 253
4.3.3 어중모음탈락과 고모음화 = 265
4.3.4 모음삽입 = 289
4.3.5 음위전환 = 294
4.3.6 요약 = 298
후기 = 300
참고문헌 = 302
찾아보기(한영) = 326
찾아보기(영한) = 335
제1장 문제와 결과의 개관 = 1
1.1 음운론적 불투명성이란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 1
1.2 이 책은 불투명성에 대하여 무엇을 주장하고자 하는가? = 5
1.3 이 책은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 9
제2장 불투명성, 도출, 그리고 최적성이론 = 10
2.1 개관 = 10
2.2 불투명성과 도출 = 10
2.2.1 표시 단계 = 10
2.2.2 도출 = 13
2.2.3 도출에서 불투명성 = 15
2.2.4 동시적용 = 20
2.2.5 규칙순 이론 = 22
2.2.6 후기의 발전 = 25
2.3 최적성이론에서 불투명성 = 28
2.3.1 고전 OT의 특성 = 28
2.3.2 고전 OT에서 음운 과정의 상호작용 = 30
2.3.3 고전 OT에서 불투명성 = 36
2.3.4 고전 OT에서 불투명성에 대한 종전의 접근방식 = 39
2.3.4.1 새로운 실질적 가정에 의한 불투명성 = 40
2.3.4.2 연속도출 및 규칙순과 유사한 방식 = 54
2.3.4.3 중간도출형과 유사한 방식 = 69
2.3.4.4 대립보전 장치로서 불투명성 = 75
2.4 지금까지 얻은 내용은 무엇인가? = 81
제3장 후보연쇄와 음운론적 불투명성 = 83
3.1 서론 = 83
3.2 연쇄이론 = 85
3.2.1 기본사항 = 85
3.2.2 후보연쇄의 몇 가지 특성 = 90
3.2.3 후보연쇄의 지적 전신 = 96
3.2.4 연쇄이론의 구체적 내용 = 102
3.2.4.1 연쇄의 초기형 = 102
3.2.4.2 점진성과 LUM이론 = 110
3.2.4.3 국부적 최적성 = 114
3.3 연쇄와 불투명성 = 135
3.3.1 제안의 개요 = 135
3.3.2 <TEX>$$P_{REC}$$</TEX> 제약과 후보 평가 = 137
3.3.3 역출혈순 불투명성에 대한 적용 = 143
3.3.4 역급여순 불투명성에 대한 적용 = 153
3.3.5 다중 불투명성에 대한 적용 = 158
3.4 OT-CC에서 언어학습 = 171
3.5 불투명성과 충실성 = 174
3.5.1 동일한 충실성 위배는 동일한 불투명성 상호작용을 함의한다 = 174
3.5.2 이음교체의 결과로서 불투명성 = 181
3.5.3 연쇄추이에서 충실성과 <TEX>$$P_{REC}$$</TEX> 제약 = 186
3.6 다른 이론과의 비교 = 191
3.6.1 조화향상 = 192
3.6.2 점진성 = 194
3.6.3 <TEX>$$P_{REC}$$</TEX> 제약 = 198
제4장 두 사례 연구 = 203
4.1 이 장의 목표 = 203
4.2 Levantine Arabic = 204
4.2.1 문제의 개관 = 204
4.2.2 강세와 충실한 음절화 = 207
4.2.3 강세-모음삽입 상호작용 Ⅰ: 어말 자음군 = 218
4.2.4 강세-모음삽입 상호작용 Ⅱ: 어중 자음군 = 225
4.2.5 어중모음탈락-모음삽입 상호작용 = 236
4.2.6 단모음화-모음삽입 상호작용 = 247
4.2.7 요약 = 250
4.3 Bedouin Arabic = 251
4.3.1 배경 = 251
4.3.2 강세와 제3음절 탈락 = 253
4.3.3 어중모음탈락과 고모음화 = 265
4.3.4 모음삽입 = 289
4.3.5 음위전환 = 294
4.3.6 요약 = 298
후기 = 300
참고문헌 = 302
찾아보기(한영) = 326
찾아보기(영한) = 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