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인구, 자원 및 환경
1.1 환경 = 1
1.1.1 환경의 정의 = 2
1.1.2 환경구성요소의 이론적 분류 = 2
1.1.3 환경구성요소의 제도적 분류 = 3
1.2 환경오염 = 5
1.2.1 환경오염의 정의 = 5
1.2.2 오염물질 및 그 종류 = 6
1.2.3 오염물질농도와 한계오염물질 = 7
1.2.4 오염물질 배출원 = 8
1.2.5 주요환경문제 및 환경오염사건 = 8
1.3 환경문제의 발생원인 = 10
1.3.1 기술진보와 경제성장 = 11
1.3.2 인구증가와 인구의 도시집중 = 13
1 3.3 자원의 과다사용 = 17
1.3.4 자연환경 훼손 및 파괴 = 20
1.3.5 시차 = 21
1.3.6 경체체제 = 22
1.3.7 정치체제 = 22
1.3.8 윤리체제 = 22
1.4 지구환경문제의 해결 = 22
1.4.1 환경문제에 대한 시각 = 22
1.4.2 환경문제 분석의 틀 = 24
1.4.3 환경문제 해결 접근방법 = 26
1.4.4 환경과 기술 = 27
1.4.5 환경과 정치, 경제 및 윤리 = 29
1.4.6 사회문화적 진화 = 29
제2장 인간과 환경
2.1 초기수렵채취사회 = 33
2.1.1 인류의 적응능력 개발 = 33
2.1.2 소규모집단유목생활 = 33
2.1.3 자연속의 인류 = 34
2.2 후기수렵채취사회 = 34
2.2.1 수렵채취도구의 개량 = 34
2.2.2 과다수렵 및 화전행위 = 35
2.2.3 풍요로운 사회? = 36
2.3 농경사회 = 36
2.3.1 목축의 시작 = 36
2.3.2 농경의 시작 = 37
2.3.3 사회적, 환경적 영향 = 38
2.4 산업사회 = 40
2.4.1 산업혁명 = 40
2.4.2 인구의 도시집중 = 40
2.4.3 산업화 비용 = 43
2.5 지속가능지구공동체 = 41
2.5.1 인간과 자연의 조화 = 41
2.5.2 문화적 진화 = 42
제3장 물질보존법칙과 에너지법칙
3.1 물질보존법책 = 44
3.1.1 물질보존법칙의 정의 = 44
3.1.2 물질보존법칙과 2차오염 = 44
3.1.3 물질보존법칙과간접오염 = 45
3.1.4 합계 영의 법칙 = 45
3.2 제1에너지법칙 = 45
3.2.1 에너지 형태 = 45
3.2.2 제1에너지법칙 = 46
3.3 제2에너지법칙 = 48
3.3.1 제2에너지법칙과 에너지질 = 48
3.3.2 열역학제2법칙과 무질서의 증가 = 51
3.4 물질보존법칙과 에너지법칙 및 환경위기 = 53
3.4.1 환경위기 해결의 열쇠 = 53
3.4.2 엔트로피의 내재적 한계 = 54
제4장 생태계의 구조
4.1 생태계의 개념 = 62
4.1.1 생태계의 정의 = 62
4.1.2 생태계의 구성요소 = 62
4.1.3 생태계 구성요소 간 상호작용 = 63
4.2 생태계의 계층구조 = 63
4.2.1 물질의 조직수준 = 63
4.2.2 생태권의 구성과 기능 = 67
4.3 생태계의 종류 = 68
4.4 생태계의 제한요소 = 69
4.4.1 화학적 요소와 물리적 요소 = 69
4.4.2 제한요소와 생물군계 = 70
4.4.3 기후 = 71
4.4.4 토양 = 72
4.4.5 기후, 토양 및 생물군계의 관계 = 74
제5장 생태계의 기능
5.1 에너지흐름과 물질순환 = 76
5.1.1 생태계수준의 에너지흐름과 물질순환 = 76
5.1.2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 77
5.2 태양에너지 및 지구에너지의 흐름 = 78
5.2.1 태양전자기복사열 = 78
5.2.2 지구적 에너지흐름 = 79
5.3 생태계의 에너지흐름 = 81
5.3.1 먹이사슬 = 81
5.3.2 먹이사슬과 제2에너지법칙 = 84
5.3.3 먹이그물 = 85
5.3.4 식물의 총1차에너지생산성 및 순1차에너지생산성 = 86
5.4 생태계의 화학적 순환 = 90
5.4.1 생물지리화학적순환의 유형 = 90
5.4.2 기체상 탄소와 산소의 순환 = 92
5.4.3 기체상 질소의 순환 = 94
5.4.4 침전성 인의 순환 = 96
5.5 생태적 지위 = 97
5.5.1 생태적 지위의 개념 = 97
5.5.2 우리의 생태적 지위 = 99
제6장 생태계의 변화
6.1 생태계의 진화 = 102
6.1.1 생태적 천이 = 102
6.1.2 생태적 천이의 유형 = 104
6.2 생태계의 안정성 = 107
6.2.1 안정성이란 무엇인가? = 107
6.2.2 동태적 정상상태 = 108
6.2.3 생태계의 안정성과 부의 환류 = 110
6.2.4 내성수준과 환류 = 111
6.2.5 외부압박에 대한 개체의 반응 = 113
6.2.6 외부압박에 대한 개체군의 반응 = 114
6.2.7 시차와 상승효과 = 115
6.2.8 생물적 확대 = 116
6.2.9 생태계의 안정성 = 118
6.2.10 생태적 모델 만들기 = 119
6.3 생태계에 대한 압박 = 120
6.3.1 환경압박의 영향 = 120
6.3.2 에너지흐름의 교란 = 121
6.3.3 산소, 질소 및 인의 순환교란 = 124
6.3.4 합성화학물질로 인한 화학물질순환과 먹이사슬 교란 = 126
6.3.5 생물종의 제거와 도입으로 인한 생태계의 단순화 = 126
6.4 인간과 생태계 = 127
6.4.1 생태의 단순화 = 127
6.4.2 단순화와 다양화의 균형 = 128
6.4.3 생태학으로부터 얻은 교훈 = 130
제7장 대기오염
7.1 대기오염과 실내공기오염 = 131
7.1.1 대기오염 = 131
7.1.2 실내공기오염 = 132
7.2 대기오염의 역사 = 133
7.3 대기 조성성분 및 대기권의 구조 = 134
7.3.1 생태적 평형상태와 화학적 평형상태 = 134
7.3.2 산출접근방법과 투입접근방법 = 134
7.3.3 취약한 대기권 = 135
7.3.4 오존층 파괴 = 135
7.4 대기오염, 대기오염물질 및 배출원 = 136
7.4.1 대기오염의 정의 = 136
7.4.2 대기오염물질 = 136
7.4.3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 138
7.5 대기오염의 영향 = 139
7.5.1 대기오염영향의 유형 = 141
7.5.2 재산, 식물 및 동물에 대한 피해 = 141
7.5.3 인간건강에 대한 피해 = 143
7.6 공기 질 기준 = 146
7.6.1 대기환경기준 = 146
7.6.2 실내공기질기준 = 147
7.7 주요 공기오염문제 = 147
7.7.1 대기오염문제 = 148
7.7.2 실내공기질오염문제 = 155
7.8 대기오염방지대책 = 155
7.8.1 오염원별 대기환경보전정책 = 156
7.8.2 오염물질별 대기환경보전정책 = 156
7.9 대기환경문제의 개관 = 159
제8장 수자원
8.1 물의 특성과 공급 = 162
8.1.1 물의 특성 = 162
8.1.2 물의 공급 = 163
8.2 수자원의 공급, 재생 및 분배 = 164
8.2.1 세계의 수자원 = 164
8.2.2 수문순환 = 165
8.2.3 현재와 미래의 세계의 물 사용량 = 169
8.2.4 우리나라의 물 수요와 공급 = 171
8.3 수자원 관리 = 177
8.3.1 투입접근방법 = 177
8.3.2 산출접근방법 = 181
8.3.3 사용량접근방법 = 181
제9장 수질오염
9.1 수질오염의 정의, 오염물질 및 오염원 = 183
9.1.1 수질오염의 정의 = 183
9.1.2 주요 수질오염물질 = 184
9.1.3 수질오염원 = 187
9.2 수질오염 = 188
9.2.1 수질오염의 종류 및 영향 = 188
9.2.2 수질오염문제 = 188
9.3 수질환경기준 = 192
9.4 하천, 호소, 지하수 및 해양의 특성과 오염 = 193
9.4.1 하천의 특성과 오염 = 193
9.4.2 호소의 특성과 오염 = 200
9.4.3 지하수오염 = 202
9.4.4 하천과 호소의 열오염 = 203
9.4.5 해양오염 = 203
9.5 수질오염방지 = 209
9.5.1 수질오염방지 원칙과 방법 = 209
9.5.2 토양보존 = 212
9.5.3 하수처리 = 213
제10장 자연적 토지이용
10.1 토지윤리 = 218
10.1.1 토지사용방법 = 218
10.1.2 토지사용윤리 = 220
10.2 야생지역 = 221
10.2.1 야생지역지정의 필요성 = 221
10.2.2 야생지역보존체제 = 222
10.2.3 산림지역 = 223
10.3 하구 및 습지 = 226
10.3.1 하구지역의 중요성 = 226
10.3.2 하구지역의 이용 = 229
10.3.3 하구지역의 관리 = 229
10.4 자연공원의 지정 및 관리 = 229
10.4.1 자연공원체제 = 229
10.4.2 자연공원에 대한 압박 = 230
10.4.3 자연공원의 관리 = 231
10.5 야생생물 = 232
10.5.1 멸종, 절멸, 그리고 희귀종 및 멸종위기종 = 232
10.5.2 절멸의 원인 = 233
10.5.3 멸종위기종의 특성 = 234
10.5.4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 = 234
제11장 도시적 토지이용
11.1 기본개념 = 235
11.1.1 도시, 도시화 및 도시성장 = 235
11.1.2 대도시권, 비대도시권 및 도시구역 = 235
11.1.3 우리나라의 도시구분 = 236
11.2 도시화의 추세 = 236
11.2.1 세계의 도시화 추세 = 236
11.2.2 우리나라 도시화 추세 = 238
11.3 도시의 편익과 비용 = 239
11.3.1 도시의 편익 = 239
11.3.2 도시의 비용 = 240
11.3.3 개발도상국의 도시문제 = 240
11.3.4 개발도상국의 도시대책 = 241
11.4 도시생태계와 자연생태계 = 242
11.4.1 도시생태계 = 242
11.4.2 도시서식지, 생태적 지위 및 공간적 구조 = 244
11.4.3 도시생태계의 천이와 다양성 = 246
11.4.4 불완전 생태계로서의 도시 = 249
11.5 도시의 교통수단 = 250
11.5.1 교통수단의 선택 = 250
11.5.2 자동차의 도시환경 영향 = 250
11.5.3 자전거와 모터자전거 = 252
11.5.4 대중교통수단 = 252
11.5.5 보조교통수단 = 253
11.5.6 자동차사용의 억제 = 253
11.5.7 자동차의 개선 = 254
11.5.8 도시교통계획의 방법 = 254
11.6 토지이용계획과 토지이용억제 = 255
11.6.1 종합토지이용계획의 필요성 = 255
11.6.2 팽창도시와 밀집도시 = 256
11.6.3 우리나라 토지이용정책의 주요 원칙 = 256
11.6.4 토지이용계획기법 = 257
11.6.5 토지이용억제 = 259
제12장 고형폐기물
12.1 고형폐기물 = 261
12.1.1 생활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 = 261
12.1.2 지정폐기물 = 261
12.1.3 감염성폐기물 = 262
12.2 고형폐기물의 발생 = 262
12.2.1 고형폐기물 발생원 = 262
12.2.2 고형폐기물 발생량 = 262
12.3 생활폐기물의 처리 = 262
12.3.1 생활폐기물처리의 중요성 = 262
12.3.2 생활폐기물의 처리방법 = 263
12.3.3 생활폐기물 처리방법 개선 = 264
12.3.4 생활폐기물 수집방법 개선 = 265
12.4 생활폐기물로부터 자원회수 = 266
12.4.1 자원순환사회 = 266
12.4.2 생활폐기물재활용공장 = 267
12.4.3 생활폐기물의 발생원분리배출 = 268
12.5 소량폐기물사회 = 268
12.5.1 단위제품 및 1인당 자원사용량의 감축 = 269
12.5.2 내구기간이 긴 제품의 설계 = 270
12.5.3 제품의 재사용 = 271
12.5.4 소량폐기물사회 만들기 = 271
제13장 에너지자원
13.1 에너지자원의 종류 = 274
13.1.1 비재생성에너지자원 = 274
13.1.2 재생성에너지자원 = 275
13.1.3 유도체에너지자원 = 275
13.2 세계의 에너지수요와 공급 = 275
13.2.1 세계의 에너지수요 = 275
13.2.2 세계의 에너지공급 = 277
13.3 에너지위기와 대책 = 279
13.3.1 4개의 에너지위기 = 279
13.3.2 에너지위기의 원인 = 279
13.3.3 에너지위기의 극복 = 281
13.4 에너지의 개념 = 282
13.4.1 에너지의 질과 흐름 = 282
13.4.2 제1법칙에너지효율 = 285
13.4.3 제2법칙에너지효율 = 286
13.4.4 순유유용에너지 = 287
13.5 대체에너지 = 289
13.5.1 총체적 평가 = 289
13.5.2 비재생성에너지의 길과 재생성에너지의 길 = 294
13.5.3 환경영향의 선택 = 295
13.6 에너지계획 = 297
13.6.1 에너지계획의 원칙 = 297
13.6.2 에너지제1법칙과 제2법칙의 혁명 = 298
13.7 에너지절약 = 299
13.7.1 가장 중요한 에너지대안 = 299
13.7.2 수송부문 = 299
13.7.3 주택 및 상업부분 = 300
13.7.4 산업부문 = 302
13.8 비재생성에너지 = 303
13.8.1 화석연료 = 303
13.8.2 핵분열에너지 = 305
13.8.3 핵융합에너지 = 306
13.9 재생성에너지 = 308
13.9.1 하천과 해양에너지 = 308
13.9.2 태양에너지 = 308
13.9.3 바람과 지열에너지 = 310
13.9.4 생체, 생체연료, 도시쓰레기 및 수소가스 = 311
제14장 환경과 정치
14.1 환경피해에 대한 소송 = 317
14.1.1 환경피해소송의 문제점 = 317
14.1.2 환경피해소송의 성과 = 318
14.1.3 환경피해소송 개선방안 = 319
14.2 환경입법 = 320
14.3 지속가능지구공동체의 실현 = 324
14.3.1 장기계획의 수립 = 324
14.3.2 자동제어체제의 정치학 = 326
14.4 지속가능지구공동체를 위한 정부 = 331
14.4.1 정부의 자동제어장치 = 331
14.4.2 자동제어정치체제 성격 = 333
14.4.3 우리나라 정부의 자동제어장치의 결함 = 334
14.5 지속가능지구라는 새로운 세계질서 = 341
14.5.1 평화로 가는 길 = 341
14.5.2 지속가능지구 세계질서로의 접근방법 = 342
14.5.3 문화적 다양성의 보존 = 344
제15장 환경과 경제학
15.1 경제와 환경과의 관계 = 345
15.1.1 경제성장이 모든 문제의 해결책인가? = 346
15.1.2 모든 경제성장이 인간복지를 반드시 증진시키는가? = 346
15.2 경제성장의 유형과 방향 = 348
15.2.1 경제성장의 유형 = 348
15.2.2 경제성장의 방향 = 349
15.3 환경과 경제와의 관계 = 357
15.3.1 내부 및 외부비용 = 358
15.3.2 부적정한 재산권체제 = 361
15.3.3 불완전한 시장구조 = 363
15.3.4 할인율의 불일치 = 363
15.3.5 정부실패 = 364
15.3.6 선점자에 의한 환경재의 사유화 = 365
15.3.7 재판에 의한 환경재의 사유화 = 366
15.3.8 환경재의 국유화 = 366
15.3.9 재정적 부담의 부과 = 367
15.3.10 환경기준 = 372
15.3.11 환경개선 비용과 이익 = 376
15.3.12 환경개선과 일자리창출 = 377
15.3.13 배출권 거래 = 168
제16장 환경윤리
16.1 3개의 덫 = 382
16.1.1 맹신적 기술낙관주의 = 383
16.1.2 암울한 숙명론적 비관주의 = 383
16.1.3 무관심으로부터의 탈출 = 384
16.2 환경문제 인식과 실천행동의 네 단계 = 389
16.2.1 오염원인과 대처방법 인식 = 389
16.2.2 인구과잉문제 해결 = 390
16.2.3 우주선 지구 = 390
16.2.4 지속가능 지구 = 391
16.3 지속가능지구 윤리 = 394
16.3.1 지속가능지구를 위한 도구 = 394
16.3.2 자연에 대한 태도 = 395
16.3.3 지속가능지구윤리 접근방법 = 397
16.3.4 얕은 환경주의와 깊은 생태학 = 399
16.3.5 지속가능지구공동체 윤리 = 399
16.4 지속가능지구공동체를 위한 사업 = 400
16.4.1 환경위기의 주요 원인 = 401
9.4.2 실천계획 = 403
16.5 개인적 실천사항 = 404
16.5.1 개인이 실천할 수 있는 10가지 = 404
16.5.2 세상을 바꾸는 개인 = 406
제1장 인구, 자원 및 환경
1.1 환경 = 1
1.1.1 환경의 정의 = 2
1.1.2 환경구성요소의 이론적 분류 = 2
1.1.3 환경구성요소의 제도적 분류 = 3
1.2 환경오염 = 5
1.2.1 환경오염의 정의 = 5
1.2.2 오염물질 및 그 종류 = 6
1.2.3 오염물질농도와 한계오염물질 = 7
1.2.4 오염물질 배출원 = 8
1.2.5 주요환경문제 및 환경오염사건 = 8
1.3 환경문제의 발생원인 = 10
1.3.1 기술진보와 경제성장 = 11
1.3.2 인구증가와 인구의 도시집중 = 13
1 3.3 자원의 과다사용 = 17
1.3.4 자연환경 훼손 및 파괴 = 20
1.3.5 시차 = 21
1.3.6 경체체제 = 22
1.3.7 정치체제 = 22
1.3.8 윤리체제 = 22
1.4 지구환경문제의 해결 = 22
1.4.1 환경문제에 대한 시각 = 22
1.4.2 환경문제 분석의 틀 = 24
1.4.3 환경문제 해결 접근방법 = 26
1.4.4 환경과 기술 = 27
1.4.5 환경과 정치, 경제 및 윤리 = 29
1.4.6 사회문화적 진화 = 29
제2장 인간과 환경
2.1 초기수렵채취사회 = 33
2.1.1 인류의 적응능력 개발 = 33
2.1.2 소규모집단유목생활 = 33
2.1.3 자연속의 인류 = 34
2.2 후기수렵채취사회 = 34
2.2.1 수렵채취도구의 개량 = 34
2.2.2 과다수렵 및 화전행위 = 35
2.2.3 풍요로운 사회? = 36
2.3 농경사회 = 36
2.3.1 목축의 시작 = 36
2.3.2 농경의 시작 = 37
2.3.3 사회적, 환경적 영향 = 38
2.4 산업사회 = 40
2.4.1 산업혁명 = 40
2.4.2 인구의 도시집중 = 40
2.4.3 산업화 비용 = 43
2.5 지속가능지구공동체 = 41
2.5.1 인간과 자연의 조화 = 41
2.5.2 문화적 진화 = 42
제3장 물질보존법칙과 에너지법칙
3.1 물질보존법책 = 44
3.1.1 물질보존법칙의 정의 = 44
3.1.2 물질보존법칙과 2차오염 = 44
3.1.3 물질보존법칙과간접오염 = 45
3.1.4 합계 영의 법칙 = 45
3.2 제1에너지법칙 = 45
3.2.1 에너지 형태 = 45
3.2.2 제1에너지법칙 = 46
3.3 제2에너지법칙 = 48
3.3.1 제2에너지법칙과 에너지질 = 48
3.3.2 열역학제2법칙과 무질서의 증가 = 51
3.4 물질보존법칙과 에너지법칙 및 환경위기 = 53
3.4.1 환경위기 해결의 열쇠 = 53
3.4.2 엔트로피의 내재적 한계 = 54
제4장 생태계의 구조
4.1 생태계의 개념 = 62
4.1.1 생태계의 정의 = 62
4.1.2 생태계의 구성요소 = 62
4.1.3 생태계 구성요소 간 상호작용 = 63
4.2 생태계의 계층구조 = 63
4.2.1 물질의 조직수준 = 63
4.2.2 생태권의 구성과 기능 = 67
4.3 생태계의 종류 = 68
4.4 생태계의 제한요소 = 69
4.4.1 화학적 요소와 물리적 요소 = 69
4.4.2 제한요소와 생물군계 = 70
4.4.3 기후 = 71
4.4.4 토양 = 72
4.4.5 기후, 토양 및 생물군계의 관계 = 74
제5장 생태계의 기능
5.1 에너지흐름과 물질순환 = 76
5.1.1 생태계수준의 에너지흐름과 물질순환 = 76
5.1.2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 77
5.2 태양에너지 및 지구에너지의 흐름 = 78
5.2.1 태양전자기복사열 = 78
5.2.2 지구적 에너지흐름 = 79
5.3 생태계의 에너지흐름 = 81
5.3.1 먹이사슬 = 81
5.3.2 먹이사슬과 제2에너지법칙 = 84
5.3.3 먹이그물 = 85
5.3.4 식물의 총1차에너지생산성 및 순1차에너지생산성 = 86
5.4 생태계의 화학적 순환 = 90
5.4.1 생물지리화학적순환의 유형 = 90
5.4.2 기체상 탄소와 산소의 순환 = 92
5.4.3 기체상 질소의 순환 = 94
5.4.4 침전성 인의 순환 = 96
5.5 생태적 지위 = 97
5.5.1 생태적 지위의 개념 = 97
5.5.2 우리의 생태적 지위 = 99
제6장 생태계의 변화
6.1 생태계의 진화 = 102
6.1.1 생태적 천이 = 102
6.1.2 생태적 천이의 유형 = 104
6.2 생태계의 안정성 = 107
6.2.1 안정성이란 무엇인가? = 107
6.2.2 동태적 정상상태 = 108
6.2.3 생태계의 안정성과 부의 환류 = 110
6.2.4 내성수준과 환류 = 111
6.2.5 외부압박에 대한 개체의 반응 = 113
6.2.6 외부압박에 대한 개체군의 반응 = 114
6.2.7 시차와 상승효과 = 115
6.2.8 생물적 확대 = 116
6.2.9 생태계의 안정성 = 118
6.2.10 생태적 모델 만들기 = 119
6.3 생태계에 대한 압박 = 120
6.3.1 환경압박의 영향 = 120
6.3.2 에너지흐름의 교란 = 121
6.3.3 산소, 질소 및 인의 순환교란 = 124
6.3.4 합성화학물질로 인한 화학물질순환과 먹이사슬 교란 = 126
6.3.5 생물종의 제거와 도입으로 인한 생태계의 단순화 = 126
6.4 인간과 생태계 = 127
6.4.1 생태의 단순화 = 127
6.4.2 단순화와 다양화의 균형 = 128
6.4.3 생태학으로부터 얻은 교훈 = 130
제7장 대기오염
7.1 대기오염과 실내공기오염 = 131
7.1.1 대기오염 = 131
7.1.2 실내공기오염 = 132
7.2 대기오염의 역사 = 133
7.3 대기 조성성분 및 대기권의 구조 = 134
7.3.1 생태적 평형상태와 화학적 평형상태 = 134
7.3.2 산출접근방법과 투입접근방법 = 134
7.3.3 취약한 대기권 = 135
7.3.4 오존층 파괴 = 135
7.4 대기오염, 대기오염물질 및 배출원 = 136
7.4.1 대기오염의 정의 = 136
7.4.2 대기오염물질 = 136
7.4.3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 138
7.5 대기오염의 영향 = 139
7.5.1 대기오염영향의 유형 = 141
7.5.2 재산, 식물 및 동물에 대한 피해 = 141
7.5.3 인간건강에 대한 피해 = 143
7.6 공기 질 기준 = 146
7.6.1 대기환경기준 = 146
7.6.2 실내공기질기준 = 147
7.7 주요 공기오염문제 = 147
7.7.1 대기오염문제 = 148
7.7.2 실내공기질오염문제 = 155
7.8 대기오염방지대책 = 155
7.8.1 오염원별 대기환경보전정책 = 156
7.8.2 오염물질별 대기환경보전정책 = 156
7.9 대기환경문제의 개관 = 159
제8장 수자원
8.1 물의 특성과 공급 = 162
8.1.1 물의 특성 = 162
8.1.2 물의 공급 = 163
8.2 수자원의 공급, 재생 및 분배 = 164
8.2.1 세계의 수자원 = 164
8.2.2 수문순환 = 165
8.2.3 현재와 미래의 세계의 물 사용량 = 169
8.2.4 우리나라의 물 수요와 공급 = 171
8.3 수자원 관리 = 177
8.3.1 투입접근방법 = 177
8.3.2 산출접근방법 = 181
8.3.3 사용량접근방법 = 181
제9장 수질오염
9.1 수질오염의 정의, 오염물질 및 오염원 = 183
9.1.1 수질오염의 정의 = 183
9.1.2 주요 수질오염물질 = 184
9.1.3 수질오염원 = 187
9.2 수질오염 = 188
9.2.1 수질오염의 종류 및 영향 = 188
9.2.2 수질오염문제 = 188
9.3 수질환경기준 = 192
9.4 하천, 호소, 지하수 및 해양의 특성과 오염 = 193
9.4.1 하천의 특성과 오염 = 193
9.4.2 호소의 특성과 오염 = 200
9.4.3 지하수오염 = 202
9.4.4 하천과 호소의 열오염 = 203
9.4.5 해양오염 = 203
9.5 수질오염방지 = 209
9.5.1 수질오염방지 원칙과 방법 = 209
9.5.2 토양보존 = 212
9.5.3 하수처리 = 213
제10장 자연적 토지이용
10.1 토지윤리 = 218
10.1.1 토지사용방법 = 218
10.1.2 토지사용윤리 = 220
10.2 야생지역 = 221
10.2.1 야생지역지정의 필요성 = 221
10.2.2 야생지역보존체제 = 222
10.2.3 산림지역 = 223
10.3 하구 및 습지 = 226
10.3.1 하구지역의 중요성 = 226
10.3.2 하구지역의 이용 = 229
10.3.3 하구지역의 관리 = 229
10.4 자연공원의 지정 및 관리 = 229
10.4.1 자연공원체제 = 229
10.4.2 자연공원에 대한 압박 = 230
10.4.3 자연공원의 관리 = 231
10.5 야생생물 = 232
10.5.1 멸종, 절멸, 그리고 희귀종 및 멸종위기종 = 232
10.5.2 절멸의 원인 = 233
10.5.3 멸종위기종의 특성 = 234
10.5.4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 = 234
제11장 도시적 토지이용
11.1 기본개념 = 235
11.1.1 도시, 도시화 및 도시성장 = 235
11.1.2 대도시권, 비대도시권 및 도시구역 = 235
11.1.3 우리나라의 도시구분 = 236
11.2 도시화의 추세 = 236
11.2.1 세계의 도시화 추세 = 236
11.2.2 우리나라 도시화 추세 = 238
11.3 도시의 편익과 비용 = 239
11.3.1 도시의 편익 = 239
11.3.2 도시의 비용 = 240
11.3.3 개발도상국의 도시문제 = 240
11.3.4 개발도상국의 도시대책 = 241
11.4 도시생태계와 자연생태계 = 242
11.4.1 도시생태계 = 242
11.4.2 도시서식지, 생태적 지위 및 공간적 구조 = 244
11.4.3 도시생태계의 천이와 다양성 = 246
11.4.4 불완전 생태계로서의 도시 = 249
11.5 도시의 교통수단 = 250
11.5.1 교통수단의 선택 = 250
11.5.2 자동차의 도시환경 영향 = 250
11.5.3 자전거와 모터자전거 = 252
11.5.4 대중교통수단 = 252
11.5.5 보조교통수단 = 253
11.5.6 자동차사용의 억제 = 253
11.5.7 자동차의 개선 = 254
11.5.8 도시교통계획의 방법 = 254
11.6 토지이용계획과 토지이용억제 = 255
11.6.1 종합토지이용계획의 필요성 = 255
11.6.2 팽창도시와 밀집도시 = 256
11.6.3 우리나라 토지이용정책의 주요 원칙 = 256
11.6.4 토지이용계획기법 = 257
11.6.5 토지이용억제 = 259
제12장 고형폐기물
12.1 고형폐기물 = 261
12.1.1 생활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 = 261
12.1.2 지정폐기물 = 261
12.1.3 감염성폐기물 = 262
12.2 고형폐기물의 발생 = 262
12.2.1 고형폐기물 발생원 = 262
12.2.2 고형폐기물 발생량 = 262
12.3 생활폐기물의 처리 = 262
12.3.1 생활폐기물처리의 중요성 = 262
12.3.2 생활폐기물의 처리방법 = 263
12.3.3 생활폐기물 처리방법 개선 = 264
12.3.4 생활폐기물 수집방법 개선 = 265
12.4 생활폐기물로부터 자원회수 = 266
12.4.1 자원순환사회 = 266
12.4.2 생활폐기물재활용공장 = 267
12.4.3 생활폐기물의 발생원분리배출 = 268
12.5 소량폐기물사회 = 268
12.5.1 단위제품 및 1인당 자원사용량의 감축 = 269
12.5.2 내구기간이 긴 제품의 설계 = 270
12.5.3 제품의 재사용 = 271
12.5.4 소량폐기물사회 만들기 = 271
제13장 에너지자원
13.1 에너지자원의 종류 = 274
13.1.1 비재생성에너지자원 = 274
13.1.2 재생성에너지자원 = 275
13.1.3 유도체에너지자원 = 275
13.2 세계의 에너지수요와 공급 = 275
13.2.1 세계의 에너지수요 = 275
13.2.2 세계의 에너지공급 = 277
13.3 에너지위기와 대책 = 279
13.3.1 4개의 에너지위기 = 279
13.3.2 에너지위기의 원인 = 279
13.3.3 에너지위기의 극복 = 281
13.4 에너지의 개념 = 282
13.4.1 에너지의 질과 흐름 = 282
13.4.2 제1법칙에너지효율 = 285
13.4.3 제2법칙에너지효율 = 286
13.4.4 순유유용에너지 = 287
13.5 대체에너지 = 289
13.5.1 총체적 평가 = 289
13.5.2 비재생성에너지의 길과 재생성에너지의 길 = 294
13.5.3 환경영향의 선택 = 295
13.6 에너지계획 = 297
13.6.1 에너지계획의 원칙 = 297
13.6.2 에너지제1법칙과 제2법칙의 혁명 = 298
13.7 에너지절약 = 299
13.7.1 가장 중요한 에너지대안 = 299
13.7.2 수송부문 = 299
13.7.3 주택 및 상업부분 = 300
13.7.4 산업부문 = 302
13.8 비재생성에너지 = 303
13.8.1 화석연료 = 303
13.8.2 핵분열에너지 = 305
13.8.3 핵융합에너지 = 306
13.9 재생성에너지 = 308
13.9.1 하천과 해양에너지 = 308
13.9.2 태양에너지 = 308
13.9.3 바람과 지열에너지 = 310
13.9.4 생체, 생체연료, 도시쓰레기 및 수소가스 = 311
제14장 환경과 정치
14.1 환경피해에 대한 소송 = 317
14.1.1 환경피해소송의 문제점 = 317
14.1.2 환경피해소송의 성과 = 318
14.1.3 환경피해소송 개선방안 = 319
14.2 환경입법 = 320
14.3 지속가능지구공동체의 실현 = 324
14.3.1 장기계획의 수립 = 324
14.3.2 자동제어체제의 정치학 = 326
14.4 지속가능지구공동체를 위한 정부 = 331
14.4.1 정부의 자동제어장치 = 331
14.4.2 자동제어정치체제 성격 = 333
14.4.3 우리나라 정부의 자동제어장치의 결함 = 334
14.5 지속가능지구라는 새로운 세계질서 = 341
14.5.1 평화로 가는 길 = 341
14.5.2 지속가능지구 세계질서로의 접근방법 = 342
14.5.3 문화적 다양성의 보존 = 344
제15장 환경과 경제학
15.1 경제와 환경과의 관계 = 345
15.1.1 경제성장이 모든 문제의 해결책인가? = 346
15.1.2 모든 경제성장이 인간복지를 반드시 증진시키는가? = 346
15.2 경제성장의 유형과 방향 = 348
15.2.1 경제성장의 유형 = 348
15.2.2 경제성장의 방향 = 349
15.3 환경과 경제와의 관계 = 357
15.3.1 내부 및 외부비용 = 358
15.3.2 부적정한 재산권체제 = 361
15.3.3 불완전한 시장구조 = 363
15.3.4 할인율의 불일치 = 363
15.3.5 정부실패 = 364
15.3.6 선점자에 의한 환경재의 사유화 = 365
15.3.7 재판에 의한 환경재의 사유화 = 366
15.3.8 환경재의 국유화 = 366
15.3.9 재정적 부담의 부과 = 367
15.3.10 환경기준 = 372
15.3.11 환경개선 비용과 이익 = 376
15.3.12 환경개선과 일자리창출 = 377
15.3.13 배출권 거래 = 168
제16장 환경윤리
16.1 3개의 덫 = 382
16.1.1 맹신적 기술낙관주의 = 383
16.1.2 암울한 숙명론적 비관주의 = 383
16.1.3 무관심으로부터의 탈출 = 384
16.2 환경문제 인식과 실천행동의 네 단계 = 389
16.2.1 오염원인과 대처방법 인식 = 389
16.2.2 인구과잉문제 해결 = 390
16.2.3 우주선 지구 = 390
16.2.4 지속가능 지구 = 391
16.3 지속가능지구 윤리 = 394
16.3.1 지속가능지구를 위한 도구 = 394
16.3.2 자연에 대한 태도 = 395
16.3.3 지속가능지구윤리 접근방법 = 397
16.3.4 얕은 환경주의와 깊은 생태학 = 399
16.3.5 지속가능지구공동체 윤리 = 399
16.4 지속가능지구공동체를 위한 사업 = 400
16.4.1 환경위기의 주요 원인 = 401
9.4.2 실천계획 = 403
16.5 개인적 실천사항 = 404
16.5.1 개인이 실천할 수 있는 10가지 = 404
16.5.2 세상을 바꾸는 개인 = 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