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진화생물학 = 1
1.1 진화란 무엇인가? = 1
1.2 다윈 이전 = 3
1.3 다윈 = 5
1.4 다윈의 진화설 = 6
1.5 다윈 이후의 진화적 학설 = 7
1.6 진화적 종합설 = 8
진화의 기본 원리 = 9
1.7 신종합설 이후의 진화생물학 = 10
1.8 철학적인 논쟁들 = 11
1.9 윤리, 종교 그리고 진화 = 11
1.10 사실과 이론으로서의 진화 = 12
2장 생명의 나무: 분류와 계통 = 15
2.1 분류 = 16
2.2 계통학적 역사의 추론 = 19
유사성과 공통조상 = 19
계통 추론의 복잡성 = 20
최대 파시모니 = 22
계통분석의 예 = 25
계통학적 가설들의 검토 = 27
2.3 분자시계 = 28
2.4 유전자 계통수 = 30
2.5 계통분석의 어려움 = 31
2.6 교잡 및 유전자 수평 전달 = 34
3장 진화의 방식 = 39
3.1 진화사와 분류 = 41
3.2 형질 진화의 역사 추론 = 42
3.3 계통분류학에서 추론된 진화적 변화의 방식 = 43
생물의 대다수 특징형질은 기존의 특징형질에서 변형되었다 = 43
불계적 유사성은 흔하다 = 46
형질 진화의 속도는 다르다 = 48
진화는 종종 점진적이다 = 49
형태의 변화는 흔히 기능의 변화와 상관되어 있다 = 49
종 사이의 유사성은 개체발생 내내 변한다 = 49
발생은 형해 진화의 일부 공통 방식의 토대가 된다 = 50
3.4 계통분석은 진화의 경향을 보여준다 = 55
3.5 많은 분계군이 적응방산을 보여준다 = 56
4장 화석 기록으로 본 진화 = 61
4.1 지질학적 기초 = 61
암석의 형성 = 61
판구조론 = 62
지질학적 시간 = 62
지질학적 연대 척도 = 63
4.2 화석 기록 = 63
종 내에서의 진화적 변화 = 63
상위 분류군들의 기원 = 64
4.3 일류의 화석 기록 = 72
4.4 계통과 화석 기록 = 76
4.5 진화적 경향 = 76
4.6 단속 평형 = 77
4.7 진화의 속도 = 79
5장 지구상의 생명의 역사 = 85
5.1 생명이 시작되기 전 = 86
5.2 생명의 출현 = 86
5.3 선캄브리아기의 생명 = 88
원핵생물들 = 88
진핵생물들 = 88
원생대의 생명 = 89
5.4 고생대의 생명: 캄브리아기 폭발 = 91
5.5 고생대의 생명: 오르도비스기에서 데본기로 = 93
바다 생명체 = 93
육지 생명체 = 94
5.6 고생대의 생명: 석탄기와 페름기 = 96
육상 생물 = 96
수생 생물 = 96
5.7 중생대의 생명 = 98
해양 생물 = 98
육상 식물과 절지동물들 = 99
척추동물 = 100
5.8 신생대 = 102
수생 생물 = 102
육상 생물 = 102
포유류의 적응방산 = 102
홍적세의 사건들 = 105
6장 진화와 지리학 = 111
6.1 진화의 생물지리학적 증거 = 111
6.2 주요한 분포 양상 = 113
6.3 지리적 분포를 결정하는 역사적 요인 = 115
6.4 역사 생물지리학의 가설 검증 = 117
역사 생물지리학적 분석의 예제들 = 117
지역 생물상의 조성 = 122
6.5 계통생물지리학 = 122
6.6 생물지리학: 생태학적 접근 = 125
섬 생물지리학 이론 = 125
생태적 군집의 구조와 종 다양성 = 126
군집의 수렴 = 126
6.7 현재의 분포 양상에 미치는 역사의 영향 = 128
7장 생물다양성의 진화 = 131
7.1 분류학적 다양성의 변화 추정 = 132
다양성의 추정 = 132
비율들 = 132
7.2 현생대에 이르기까지의 분류학적 다양성 = 134
기원율과 멸종률 = 135
멸종의 원인들 = 137
멸종률의 감퇴 = 138
대멸종 = 139
기원과 다양화 = 140
환경적 변화의 역할 = 146
7.3 생물다양성의 미래 = 146
8장 유전적 변이의 기원 = 151
8.1 유전자와 유전체들 = 152
8.2 유전자 돌연변이들 = 155
돌연변이의 종류 = 155
돌연변이의 예 = 158
돌연변이율 = 159
돌연변이의 표현형적 효과 = 163
적응성에 미치는 돌연변이의 효과 = 164
돌연변이의 한계 = 166
8.3 무작위적인 과정으로서의 돌연변이 = 167
8.4 재조합과 변이 = 168
8.5 핵형의 변화 = 168
다배수성 = 169
염색체 재배열 = 170
9장 변이 = 175
9.1 표현형적 변이를 구별시키는 원인들 = 176
9.2 개체군 내 유전적 변이의 기본 원리 = 178
대립유전자와 유전자형의 빈도: 하디-바인베르그 법칙 = 178
예: 인간의 MN유전자 좌위 = 180
하디-바인베르그 법칙의 중요성: 진화의 요인들 = 180
대립유전자, 유전자형 그리고 표현형의 빈도 = 182
근친교배 = 182
9.3 자연 개체군의 유전적 변이 = 184
다형성 = 184
생존력의 유전적 변이 = 184
근교약세 = 186
단백질의 유전적 변이 = 187
DNA 수준에서의 변이 = 189
다중 유전자 좌위와 연관의 효과 = 189
양적인 특징들의 변이 = 191
9.4 개체군 간의 변이 = 197
다지리적 변이의 양상 = 197
적응에 의한 지리적 변이 = 199
유전자 흐름 = 200
개체군 간의 대립유전자 빈도 차이 = 201
인간의 지리적 변이 = 203
10장 유전적 부동:무작위의 진화 = 209
10.1 유전적 부동의 이론 = 210
표본 오차로서 유전적 부동 = 210
합류 = 211
대립유전자 빈도들의 무작위 변동 = 212
10.2 유전적 부동에 의한 진화 = 214
유효 집단 크기 = 215
창시자 효과 = 215
실제 집단들에서 유전적 부동 = 216
10.3 분자진화의 중립 이론 = 218
중립 이론의 원리 = 219
종내 그리고 종간 변이 = 221
종간의 비교가 중립 이론을 지지해주는가? = 222
10.4 유전자 흐름과 유전적 부동 = 223
유전자 계통수들 그리고 집단 역사 = 224
현대 호모 사피엔스 기원을 다시 생각해보기 = 225
11장 자연선택과 적응 = 229
11.1 적응의 실례 = 230
11.2 자연선택의 본질 = 232
설계와 메커니즘 = 232
자연선택의 정의 = 232
자연선택과 우연 = 233
선택의 대상과 선택의 기준 = 233
11.3 자연선택에 대한 실험적 연구 = 234
세균 개체군 = 234
초파리에서 나타나는 역위 다형성 = 235
수컷의 생식성공 = 235
밀가루딱정벌레의 개체군 크기 = 237
이기적 유전인자 = 238
11.4 선택의 수준 = 238
개체선택과 그룹선택 = 238
종선택 = 240
11.5 적응의 본질 = 242
적응의 정의 = 242
적응의 인지 = 243
11.6 자연선택과 적응에서 기대되지 않는 것들 = 245
적응의 필요성 = 245
완전성 = 245
진보 = 246
자연의 조화와 균형 = 246
도덕과 윤리 = 246
12장 자연선택의 유전 이론 = 249
12.1 적응도 = 250
선택의 양식 = 250
적응도를 정의하는 것 = 250
적응도의 구성요소들 = 252
12.2 선택양식 = 253
지향성 선택 = 253
지향성 선택의 사례들 = 257
자연개체군들에 있는 해로운 대립유전자 = 257
12.3 균형선택에 의해 유지되는 다형성 = 260
이형접합자 이익 = 260
대립적이고 가변적인 선택 = 261
빈도 의존적 선택 = 262
역 빈도 의존적 선택 = 262
12.4 진화적 변화의 다양한 결과 = 265
양의 빈도 의존적 선택 = 265
이형접합자 불이익 = 265
적응지형도 = 266
선택과 유전적 부동의 상호작용 = 266
12.5 자연선택의 분자적 서명 = 268
이론적인 기대들 = 268
예들 = 268
12.6 자연선택의 강도 = 271
13장 표현형 형질의 진화 = 275
13.1 관찰된 진화 = 275
13.2 표현형 변이의 성분 = 277
13.3 다유전자 형질은 얼마나 다유전자적인가? = 278
13.4 연관 비평형 = 280
13.5 양적 형질의 진화 = 281
자연 집단의 유전적 분산 = 281
선택에 대한 반응 = 281
인위적 선택에 대한 반응 = 283
13.6 자연 집단에서 작용하는 선택 = 285
양적 형질에 대한 자연선택 측정 = 285
양적 형질에 대한 선택의 예 = 285
13.7 양적 형질 진화의 중립 모형 = 288
13.8 무엇이 양적 형질의 유전 변이를 유지하는가? = 288
13.9 양적 형질의 상관 진화 = 288
상관 선택 = 289
유전적 상관 = 289
유전적 상관의 예 = 290
유전적 상관이 진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290
13.10 유전학은 장기간 진화를 예견할 수 있는가? = 292
13.11 반응 정상 범위 = 293
표현형 유연성 = 293
협량화 = 293
변이성의 진화 = 295
14장 충돌과 협력 = 299
14.1 충돌과 협력을 위한 기본 얼개 = 300
조직의 수준 = 300
포괄 적응도와 친족선택 = 300
상호작용에 적용하는 빈도-의존적 선택 = 301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 = 301
14.2 성 선택 = 303
성선택의 개념 = 303
수컷 사이와 정자 사이의 대항경쟁 = 304
짝 선택에 의한 성선택 = 305
짝 선택의 직접 이익 = 306
감각 편향 = 306
짝 선택의 간접 이익 = 307
대립적 공진화 = 309
14.3 사회적 상호작용과 협력의 진화 = 311
협력과 이타 행동의 이론 = 311
관계 있는 개체 사이의 상호작용 = 313
14.4 유전적 전쟁터: 핵가족 = 314
교배 방식과 교배쌍의 돌보기 = 315
유생살해, 낙태 및 한배살해 = 316
교배짝-새끼 충돌 = 317
14.5 유전적 충돌 = 317
기생, 상리공생 그리고 개체의 진화 = 320
15장 종 = 323
15.1 종이란 무엇인가? = 324
계통학적 종 개념 = 324
생물학적 종 개념 = 324
생물학적 종 개념의 범위와 적용 = 325
종 개념이 상충되는 경우 = 328
15.2 유전자 흐름을 막는 장벽 = 329
교배 전 장벽 = 329
교배 후, 접합 전 장벽 = 331
접합 후 장벽 = 332
15.3 종을 진단하는 방법 = 332
15.4 종 사이 차이점들 = 333
15.5 생식 장벽의 유전학적 근거 = 335
생식격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들 = 335
생식격리를 야기하는 유전자의 기능 = 337
염색체의 차이와 접합 후 격리 = 338
세포질 불화합 = 339
생식격리에 관한 유전학적 연구의 의미 = 340
15.6 종 사이의 분자적 분기 = 341
15.7 잡종형성 = 342
1차 및 2차 잡종형성지대 = 342
잡종형성지대의 유전학적 역동성 = 343
잡종형성지대의 운명 = 344
16장 종분화 = 347
16.1 종분화의 방식 = 348
16.2 이소적 종분화 = 349
이소적 종분화의 증거 = 349
분단성 이소적 종분화의 메커니즘 = 351
생태적 선택과 종분화 = 352
성선택과 종분화 = 353
생식격리의 강화 = 355
근소적 종분화 = 356
16.3 이소적 종분화의 대안들 = 360
측소적 종분화 = 360
동소적 종분화 = 361
16.4 다배수성과 재조합성 종분화 = 364
다배수성 = 364
재조합성 종분화 = 365
16.5 종분화는 얼마나 빠른가? = 366
16.6 종분화의 의미 = 368
17장 어떻게 적응하는가: 생식성공 = 373
17.1 개체선택과 그룹선택 = 374
17.2 생활사 진화 = 375
적응도의 구성요소들로서의 생활사 특질들 = 375
교환 = 376
17.3 생활사 진화 이론 = 378
생활사 길이와 노화 = 379
생식의 연령 계획 = 379
자손의 수와 크기 = 380
증가율의 진화 = 381
수컷의 생식성공 = 382
17.4 생식의 양식들 = 384
돌연변이율의 진화 = 384
유성생식과 무성생식 = 385
성의 문제점 = 385
성과 재조합 이점에 대한 가설들 = 387
17.5 성비, 성 할당 그리고 성 결정 = 389
성비의 진화 = 390
성 할당, 암수한몸 및 암수딴몸 = 391
17.6 근친교배와 이계교배 = 392
근친교배와 이계교배의 이점 = 392
18장 공진화: 진화하는 종간 상호작용 = 397
18.1 공진화의 성질 = 398
18.2 종 결합의 계통적 측면 = 399
18.3 적들과 희생자들의 공진화 = 400
적-희생자 공진화 모델 = 401
포식자-피식자 공진화의 예들 = 402
전염성 질병과 기생충 독성의 진화 = 404
18.4 상리공생 = 406
18.5 경쟁적 상호작용들의 진화 = 409
군집 양상 = 410
여러 종들 간 상호작용 = 411
19장 유전자와 유전체의 진화 = 417
19.1 유전자와 단백질의 진화 = 419
적응진화와 중립성 = 419
정화선택과 양의 선택하에서 염기서열의 진화 = 421
영장류에 있어서 적응 분자진화 = 421
유전체 전체에 걸친 적응진화 = 423
19.2 유전체 다양성과 진화 = 423
유전체 구조의 다양성 = 423
바이러스와 미생물의 유전체들: 가장 작은 유전체들 = 425
C 값의 역설 = 425
반복서열과 전이인자들 = 426
19.3 새로운 유전자의 기원 = 428
유전자 수평 전달 = 428
엑손 재편성 = 428
유전자 키메리즘과 가공된 위유전자 = 430
모티프 배수화와 엑손 손실 = 431
유전자 중복과 유전자군 = 432
19.4 유전자군의 계통적 적응적 다양화 = 434
유전자 전환 = 434
유전자 중복에 따른 계통적 양상 = 434
최근 복제된 좌위의 선택적 운명 = 435
유전자 중복의 비율 = 436
20장 진화와 발생 = 439
20.1 Hox 유전자들과 현대 진화 발생생물학의 여명 = 440
20.2 현대 진화 발생생물학에 있어서 증거의 종류들 = 444
20.3 상동성의 진화하는 개념 = 445
20.4 진화적으로 보존적인 발생경로 = 447
20.5 유전자 조절의 진화: 발생진화의 시금석 = 449
형태진화의 모듈 방식 = 451
기능보충과 새로운 형질의 진화 = 451
이시발생의 발생유전학 = 453
상대성장의 진화 = 454
20.6 발생학적 제약과 형태적 진화 = 456
20.7 단기적인 형태진화의 발생유전학적 기반 = 459
20.8 유전자 조절 진화의 분자유전학적 기반 = 459
20.9 인간의 진화 발생생물학을 향한 연구 = 461
21장 대진화: 종 수준 이상에서의 진화 = 465
21.1 진화의 속도 = 466
형질 진화의 속도 = 466
단속 평형 = 467
정체 = 467
21.2 점진주의와 도약주의 = 469
21.3 계통적 보전주의와 변화 = 471
안정화 선택 = 471
변이에 대한 제한 = 472
21.4 새로운 특징의 진화 = 474
초기의 특징과 새로운 특징의 설명 = 474
복잡한 특징 = 475
21.5 경향과 진보 = 477
경향: 종류와 원인 = 477
경향의 예들 = 477
생명의 역사에 있어 주요한 경향이 존재하는가? = 479
진보의 문제 = 482
22장 진화 과학, 창조론 그리고 사회 = 485
22.1 창조론자와 다른 회의론자 = 485
22.2 과학, 믿음 그리고 교육 = 487
22.3 진화의 증거 = 489
화석 기록 = 489
계통학과 비교연구 = 489
유전자와 유전체 = 490
생물 지리학 = 490
설계 주장의 오류 = 490
관찰된 진화와 그 메커니즘 = 491
22.4 창조론자들의 논쟁에 대한 반박 = 492
진화에 관한 논쟁들 = 496
22.5 왜 진화를 가르쳐야 하는가? = 496
건강과 의학 = 497
농업과 자연 자원 = 498
환경과 보존 = 499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이해 = 500
용어풀이 = 503
찾아보기 = 512
1장 진화생물학 = 1
1.1 진화란 무엇인가? = 1
1.2 다윈 이전 = 3
1.3 다윈 = 5
1.4 다윈의 진화설 = 6
1.5 다윈 이후의 진화적 학설 = 7
1.6 진화적 종합설 = 8
진화의 기본 원리 = 9
1.7 신종합설 이후의 진화생물학 = 10
1.8 철학적인 논쟁들 = 11
1.9 윤리, 종교 그리고 진화 = 11
1.10 사실과 이론으로서의 진화 = 12
2장 생명의 나무: 분류와 계통 = 15
2.1 분류 = 16
2.2 계통학적 역사의 추론 = 19
유사성과 공통조상 = 19
계통 추론의 복잡성 = 20
최대 파시모니 = 22
계통분석의 예 = 25
계통학적 가설들의 검토 = 27
2.3 분자시계 = 28
2.4 유전자 계통수 = 30
2.5 계통분석의 어려움 = 31
2.6 교잡 및 유전자 수평 전달 = 34
3장 진화의 방식 = 39
3.1 진화사와 분류 = 41
3.2 형질 진화의 역사 추론 = 42
3.3 계통분류학에서 추론된 진화적 변화의 방식 = 43
생물의 대다수 특징형질은 기존의 특징형질에서 변형되었다 = 43
불계적 유사성은 흔하다 = 46
형질 진화의 속도는 다르다 = 48
진화는 종종 점진적이다 = 49
형태의 변화는 흔히 기능의 변화와 상관되어 있다 = 49
종 사이의 유사성은 개체발생 내내 변한다 = 49
발생은 형해 진화의 일부 공통 방식의 토대가 된다 = 50
3.4 계통분석은 진화의 경향을 보여준다 = 55
3.5 많은 분계군이 적응방산을 보여준다 = 56
4장 화석 기록으로 본 진화 = 61
4.1 지질학적 기초 = 61
암석의 형성 = 61
판구조론 = 62
지질학적 시간 = 62
지질학적 연대 척도 = 63
4.2 화석 기록 = 63
종 내에서의 진화적 변화 = 63
상위 분류군들의 기원 = 64
4.3 일류의 화석 기록 = 72
4.4 계통과 화석 기록 = 76
4.5 진화적 경향 = 76
4.6 단속 평형 = 77
4.7 진화의 속도 = 79
5장 지구상의 생명의 역사 = 85
5.1 생명이 시작되기 전 = 86
5.2 생명의 출현 = 86
5.3 선캄브리아기의 생명 = 88
원핵생물들 = 88
진핵생물들 = 88
원생대의 생명 = 89
5.4 고생대의 생명: 캄브리아기 폭발 = 91
5.5 고생대의 생명: 오르도비스기에서 데본기로 = 93
바다 생명체 = 93
육지 생명체 = 94
5.6 고생대의 생명: 석탄기와 페름기 = 96
육상 생물 = 96
수생 생물 = 96
5.7 중생대의 생명 = 98
해양 생물 = 98
육상 식물과 절지동물들 = 99
척추동물 = 100
5.8 신생대 = 102
수생 생물 = 102
육상 생물 = 102
포유류의 적응방산 = 102
홍적세의 사건들 = 105
6장 진화와 지리학 = 111
6.1 진화의 생물지리학적 증거 = 111
6.2 주요한 분포 양상 = 113
6.3 지리적 분포를 결정하는 역사적 요인 = 115
6.4 역사 생물지리학의 가설 검증 = 117
역사 생물지리학적 분석의 예제들 = 117
지역 생물상의 조성 = 122
6.5 계통생물지리학 = 122
6.6 생물지리학: 생태학적 접근 = 125
섬 생물지리학 이론 = 125
생태적 군집의 구조와 종 다양성 = 126
군집의 수렴 = 126
6.7 현재의 분포 양상에 미치는 역사의 영향 = 128
7장 생물다양성의 진화 = 131
7.1 분류학적 다양성의 변화 추정 = 132
다양성의 추정 = 132
비율들 = 132
7.2 현생대에 이르기까지의 분류학적 다양성 = 134
기원율과 멸종률 = 135
멸종의 원인들 = 137
멸종률의 감퇴 = 138
대멸종 = 139
기원과 다양화 = 140
환경적 변화의 역할 = 146
7.3 생물다양성의 미래 = 146
8장 유전적 변이의 기원 = 151
8.1 유전자와 유전체들 = 152
8.2 유전자 돌연변이들 = 155
돌연변이의 종류 = 155
돌연변이의 예 = 158
돌연변이율 = 159
돌연변이의 표현형적 효과 = 163
적응성에 미치는 돌연변이의 효과 = 164
돌연변이의 한계 = 166
8.3 무작위적인 과정으로서의 돌연변이 = 167
8.4 재조합과 변이 = 168
8.5 핵형의 변화 = 168
다배수성 = 169
염색체 재배열 = 170
9장 변이 = 175
9.1 표현형적 변이를 구별시키는 원인들 = 176
9.2 개체군 내 유전적 변이의 기본 원리 = 178
대립유전자와 유전자형의 빈도: 하디-바인베르그 법칙 = 178
예: 인간의 MN유전자 좌위 = 180
하디-바인베르그 법칙의 중요성: 진화의 요인들 = 180
대립유전자, 유전자형 그리고 표현형의 빈도 = 182
근친교배 = 182
9.3 자연 개체군의 유전적 변이 = 184
다형성 = 184
생존력의 유전적 변이 = 184
근교약세 = 186
단백질의 유전적 변이 = 187
DNA 수준에서의 변이 = 189
다중 유전자 좌위와 연관의 효과 = 189
양적인 특징들의 변이 = 191
9.4 개체군 간의 변이 = 197
다지리적 변이의 양상 = 197
적응에 의한 지리적 변이 = 199
유전자 흐름 = 200
개체군 간의 대립유전자 빈도 차이 = 201
인간의 지리적 변이 = 203
10장 유전적 부동:무작위의 진화 = 209
10.1 유전적 부동의 이론 = 210
표본 오차로서 유전적 부동 = 210
합류 = 211
대립유전자 빈도들의 무작위 변동 = 212
10.2 유전적 부동에 의한 진화 = 214
유효 집단 크기 = 215
창시자 효과 = 215
실제 집단들에서 유전적 부동 = 216
10.3 분자진화의 중립 이론 = 218
중립 이론의 원리 = 219
종내 그리고 종간 변이 = 221
종간의 비교가 중립 이론을 지지해주는가? = 222
10.4 유전자 흐름과 유전적 부동 = 223
유전자 계통수들 그리고 집단 역사 = 224
현대 호모 사피엔스 기원을 다시 생각해보기 = 225
11장 자연선택과 적응 = 229
11.1 적응의 실례 = 230
11.2 자연선택의 본질 = 232
설계와 메커니즘 = 232
자연선택의 정의 = 232
자연선택과 우연 = 233
선택의 대상과 선택의 기준 = 233
11.3 자연선택에 대한 실험적 연구 = 234
세균 개체군 = 234
초파리에서 나타나는 역위 다형성 = 235
수컷의 생식성공 = 235
밀가루딱정벌레의 개체군 크기 = 237
이기적 유전인자 = 238
11.4 선택의 수준 = 238
개체선택과 그룹선택 = 238
종선택 = 240
11.5 적응의 본질 = 242
적응의 정의 = 242
적응의 인지 = 243
11.6 자연선택과 적응에서 기대되지 않는 것들 = 245
적응의 필요성 = 245
완전성 = 245
진보 = 246
자연의 조화와 균형 = 246
도덕과 윤리 = 246
12장 자연선택의 유전 이론 = 249
12.1 적응도 = 250
선택의 양식 = 250
적응도를 정의하는 것 = 250
적응도의 구성요소들 = 252
12.2 선택양식 = 253
지향성 선택 = 253
지향성 선택의 사례들 = 257
자연개체군들에 있는 해로운 대립유전자 = 257
12.3 균형선택에 의해 유지되는 다형성 = 260
이형접합자 이익 = 260
대립적이고 가변적인 선택 = 261
빈도 의존적 선택 = 262
역 빈도 의존적 선택 = 262
12.4 진화적 변화의 다양한 결과 = 265
양의 빈도 의존적 선택 = 265
이형접합자 불이익 = 265
적응지형도 = 266
선택과 유전적 부동의 상호작용 = 266
12.5 자연선택의 분자적 서명 = 268
이론적인 기대들 = 268
예들 = 268
12.6 자연선택의 강도 = 271
13장 표현형 형질의 진화 = 275
13.1 관찰된 진화 = 275
13.2 표현형 변이의 성분 = 277
13.3 다유전자 형질은 얼마나 다유전자적인가? = 278
13.4 연관 비평형 = 280
13.5 양적 형질의 진화 = 281
자연 집단의 유전적 분산 = 281
선택에 대한 반응 = 281
인위적 선택에 대한 반응 = 283
13.6 자연 집단에서 작용하는 선택 = 285
양적 형질에 대한 자연선택 측정 = 285
양적 형질에 대한 선택의 예 = 285
13.7 양적 형질 진화의 중립 모형 = 288
13.8 무엇이 양적 형질의 유전 변이를 유지하는가? = 288
13.9 양적 형질의 상관 진화 = 288
상관 선택 = 289
유전적 상관 = 289
유전적 상관의 예 = 290
유전적 상관이 진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290
13.10 유전학은 장기간 진화를 예견할 수 있는가? = 292
13.11 반응 정상 범위 = 293
표현형 유연성 = 293
협량화 = 293
변이성의 진화 = 295
14장 충돌과 협력 = 299
14.1 충돌과 협력을 위한 기본 얼개 = 300
조직의 수준 = 300
포괄 적응도와 친족선택 = 300
상호작용에 적용하는 빈도-의존적 선택 = 301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 = 301
14.2 성 선택 = 303
성선택의 개념 = 303
수컷 사이와 정자 사이의 대항경쟁 = 304
짝 선택에 의한 성선택 = 305
짝 선택의 직접 이익 = 306
감각 편향 = 306
짝 선택의 간접 이익 = 307
대립적 공진화 = 309
14.3 사회적 상호작용과 협력의 진화 = 311
협력과 이타 행동의 이론 = 311
관계 있는 개체 사이의 상호작용 = 313
14.4 유전적 전쟁터: 핵가족 = 314
교배 방식과 교배쌍의 돌보기 = 315
유생살해, 낙태 및 한배살해 = 316
교배짝-새끼 충돌 = 317
14.5 유전적 충돌 = 317
기생, 상리공생 그리고 개체의 진화 = 320
15장 종 = 323
15.1 종이란 무엇인가? = 324
계통학적 종 개념 = 324
생물학적 종 개념 = 324
생물학적 종 개념의 범위와 적용 = 325
종 개념이 상충되는 경우 = 328
15.2 유전자 흐름을 막는 장벽 = 329
교배 전 장벽 = 329
교배 후, 접합 전 장벽 = 331
접합 후 장벽 = 332
15.3 종을 진단하는 방법 = 332
15.4 종 사이 차이점들 = 333
15.5 생식 장벽의 유전학적 근거 = 335
생식격리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들 = 335
생식격리를 야기하는 유전자의 기능 = 337
염색체의 차이와 접합 후 격리 = 338
세포질 불화합 = 339
생식격리에 관한 유전학적 연구의 의미 = 340
15.6 종 사이의 분자적 분기 = 341
15.7 잡종형성 = 342
1차 및 2차 잡종형성지대 = 342
잡종형성지대의 유전학적 역동성 = 343
잡종형성지대의 운명 = 344
16장 종분화 = 347
16.1 종분화의 방식 = 348
16.2 이소적 종분화 = 349
이소적 종분화의 증거 = 349
분단성 이소적 종분화의 메커니즘 = 351
생태적 선택과 종분화 = 352
성선택과 종분화 = 353
생식격리의 강화 = 355
근소적 종분화 = 356
16.3 이소적 종분화의 대안들 = 360
측소적 종분화 = 360
동소적 종분화 = 361
16.4 다배수성과 재조합성 종분화 = 364
다배수성 = 364
재조합성 종분화 = 365
16.5 종분화는 얼마나 빠른가? = 366
16.6 종분화의 의미 = 368
17장 어떻게 적응하는가: 생식성공 = 373
17.1 개체선택과 그룹선택 = 374
17.2 생활사 진화 = 375
적응도의 구성요소들로서의 생활사 특질들 = 375
교환 = 376
17.3 생활사 진화 이론 = 378
생활사 길이와 노화 = 379
생식의 연령 계획 = 379
자손의 수와 크기 = 380
증가율의 진화 = 381
수컷의 생식성공 = 382
17.4 생식의 양식들 = 384
돌연변이율의 진화 = 384
유성생식과 무성생식 = 385
성의 문제점 = 385
성과 재조합 이점에 대한 가설들 = 387
17.5 성비, 성 할당 그리고 성 결정 = 389
성비의 진화 = 390
성 할당, 암수한몸 및 암수딴몸 = 391
17.6 근친교배와 이계교배 = 392
근친교배와 이계교배의 이점 = 392
18장 공진화: 진화하는 종간 상호작용 = 397
18.1 공진화의 성질 = 398
18.2 종 결합의 계통적 측면 = 399
18.3 적들과 희생자들의 공진화 = 400
적-희생자 공진화 모델 = 401
포식자-피식자 공진화의 예들 = 402
전염성 질병과 기생충 독성의 진화 = 404
18.4 상리공생 = 406
18.5 경쟁적 상호작용들의 진화 = 409
군집 양상 = 410
여러 종들 간 상호작용 = 411
19장 유전자와 유전체의 진화 = 417
19.1 유전자와 단백질의 진화 = 419
적응진화와 중립성 = 419
정화선택과 양의 선택하에서 염기서열의 진화 = 421
영장류에 있어서 적응 분자진화 = 421
유전체 전체에 걸친 적응진화 = 423
19.2 유전체 다양성과 진화 = 423
유전체 구조의 다양성 = 423
바이러스와 미생물의 유전체들: 가장 작은 유전체들 = 425
C 값의 역설 = 425
반복서열과 전이인자들 = 426
19.3 새로운 유전자의 기원 = 428
유전자 수평 전달 = 428
엑손 재편성 = 428
유전자 키메리즘과 가공된 위유전자 = 430
모티프 배수화와 엑손 손실 = 431
유전자 중복과 유전자군 = 432
19.4 유전자군의 계통적 적응적 다양화 = 434
유전자 전환 = 434
유전자 중복에 따른 계통적 양상 = 434
최근 복제된 좌위의 선택적 운명 = 435
유전자 중복의 비율 = 436
20장 진화와 발생 = 439
20.1 Hox 유전자들과 현대 진화 발생생물학의 여명 = 440
20.2 현대 진화 발생생물학에 있어서 증거의 종류들 = 444
20.3 상동성의 진화하는 개념 = 445
20.4 진화적으로 보존적인 발생경로 = 447
20.5 유전자 조절의 진화: 발생진화의 시금석 = 449
형태진화의 모듈 방식 = 451
기능보충과 새로운 형질의 진화 = 451
이시발생의 발생유전학 = 453
상대성장의 진화 = 454
20.6 발생학적 제약과 형태적 진화 = 456
20.7 단기적인 형태진화의 발생유전학적 기반 = 459
20.8 유전자 조절 진화의 분자유전학적 기반 = 459
20.9 인간의 진화 발생생물학을 향한 연구 = 461
21장 대진화: 종 수준 이상에서의 진화 = 465
21.1 진화의 속도 = 466
형질 진화의 속도 = 466
단속 평형 = 467
정체 = 467
21.2 점진주의와 도약주의 = 469
21.3 계통적 보전주의와 변화 = 471
안정화 선택 = 471
변이에 대한 제한 = 472
21.4 새로운 특징의 진화 = 474
초기의 특징과 새로운 특징의 설명 = 474
복잡한 특징 = 475
21.5 경향과 진보 = 477
경향: 종류와 원인 = 477
경향의 예들 = 477
생명의 역사에 있어 주요한 경향이 존재하는가? = 479
진보의 문제 = 482
22장 진화 과학, 창조론 그리고 사회 = 485
22.1 창조론자와 다른 회의론자 = 485
22.2 과학, 믿음 그리고 교육 = 487
22.3 진화의 증거 = 489
화석 기록 = 489
계통학과 비교연구 = 489
유전자와 유전체 = 490
생물 지리학 = 490
설계 주장의 오류 = 490
관찰된 진화와 그 메커니즘 = 491
22.4 창조론자들의 논쟁에 대한 반박 = 492
진화에 관한 논쟁들 = 496
22.5 왜 진화를 가르쳐야 하는가? = 496
건강과 의학 = 497
농업과 자연 자원 = 498
환경과 보존 = 499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이해 = 500
용어풀이 = 503
찾아보기 = 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