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묘일무의 미학적 본질
문묘석전일무의 연구동향
1. 들어가는 말 = 15
1) 연구 의의와 목적 = 15
2) 연구 범위와 방법 = 17
3) 용어의 정리 = 18
2. 문묘석전일무의 연구동향 = 24
1) 갑오개혁 이후 일무의 전승 = 24
2) 일제 강점기 일무의 침체 = 26
3) 광복 이후 일무의 정비 = 42
4) 근래 일무의 논쟁 = 44
3. 문묘석전일무의 문제점 = 48
1) 일무의 진정성 검토 = 48
2) 일무의 원형성 검토 = 55
4. 나오는 말 = 59
한문화 콘텐츠로서의 석전대제
1. 문제의 제기 = 61
2. 석전의 명칭과 의식 및 일무 = 66
3. 중원왕조의 석전 = 76
4. 신라ㆍ고려조의 석전 = 82
5. 조선조의 석전과 사전 = 87
6. 결언 = 95
문묘제례악무의 생명미학
1. 예악과 제례 = 99
2. 존현의식(尊賢意識)과 인간문화의 생명미 = 103
3. 문묘 제례악무의 안락화동(安樂和同)의 미의식 = 108
4. 인간다움의 문화의식 = 114
전통음악 전승 이론 수립을 위한 시론
1. 서론 = 119
2. 구조적 성격 = 124
1) 예(禮)의 구조적 성격 = 124
2) 악(樂)의 구조적 성격 = 126
3) 시간(時)의 구조적 성격 = 127
4) 공간(空)의 구조 = 129
3. 내재 원리 = 131
1) 음양오행적 원리 = 131
2) 구조주의적 관점 = 134
4. 결론 = 136
중요무형문화재의 원형의 의미
1. 머리말 = 141
2. 세계무형문화유산에서 무형문화재의 정의 = 143
3. 전승의 단절과 복원된 중요무형문화재 = 146
4. '원형'을 바라보는 시각 = 148
1) 전승의 기준으로서 '원형' = 148
2) 기원 중심의 '원형' = 150
5. 중요무형문화재의 역사성과 기ㆍ예능의 전승 = 151
6. 문화의 원형과 무형문화재의 원형 = 154
7. 분야별 원형기준의 필요성 = 158
Ⅱ. 일무전승의 사료적 분석
문묘석전 일무의 사적 고찰
1. 들어가는 말 = 163
2. 문묘와 일무의 관계 = 164
3. 문묘석전 일무의 역사적 배경 = 165
4. 문묘 석전일무의 구조적 원리 = 166
1) 일무의 뜻 = 166
2) 석전일무의 인원수 유래 = 167
3) 석전일무의 형성 = 172
5. 나오는 말 = 180
『春官通考』소재 文廟祭禮 佾舞圖의 史料的 가치
1. 서론 = 185
2.『춘관통고』소재 일무도의 성격 = 188
3.『춘관통고』소재 일무도의 정확성 = 196
4. 결론 = 207
한국 문묘제례악무의 전승과 고유성
1. 서언 = 211
2. 한국 석전의 개괄과 연변 = 213
1) 한국의 문묘와 동국 18현 = 215
2) 고종의 2월 상정일 문묘석전 = 217
3) 중요무형문화재로서의 석전대제 = 220
3. 한국의 석전 예(禮)ㆍ악(樂)ㆍ무(舞) = 221
1) 공자시호는 대성지성문선왕 = 224
2) 제례악의 등가와 헌가 = 227
3) 문무와 무무 = 231
4. 한국 문묘제례일무의 고유성 = 233
1) 일무원(佾舞員)의 서쪽 무위(舞位) = 236
2) 무구(舞具)의 동이(同異) = 240
3) 속악일무와 대동(大同) = 245
4) 한국의 일무와 삼진삼퇴(三進三退) = 247
5. 현행 문묘제계일무의 전승 = 249
6. 결어 = 265
일제강점기 경학원 석전의 변화 양상
1. 서론 = 273
2. 경학원과 문묘석전 = 276
1) 경학원의 설치와 역할 = 276
2) 문묘석전의 강연회 = 280
3. 경학원 문묘석전의 전개 = 283
1) 문묘석전의 신위(神位)와 배위(拜位) = 284
2) 거행일과 절차 = 289
3) 문묘석전의 육일무가 팔일무로 = 291
4. 결론 = 296
한국적 문묘제례일무의 재현
1. 서언 = 299
2. 무형문화재의 생명과 무형의 전승성 = 303
3. 현행 문묘제례일무 재현의 독자성 = 307
1) 무원의 위치와 향외(向外)ㆍ향리(向裏)의 방향 = 310
2) 약과 적 = 314
3) 간과 척 = 315
4) 춤동작(춤사위) = 318
5) 문묘제례악의 차이 = 322
6) 삼진삼퇴 = 323
4. 한국 문묘제례일무의 고유성 = 324
5. 문헌 무보에 의한 원형 재현의 한계성 = 327
6. 결언 = 330
1) 현행 문묘제례일무 재현의 독자성 = 330
2) 한국 문묘제례일무의 고유성 = 332
3) 문헌 무보에 의한 원형 재현의 한계성 = 333
부록
【영문초록】= 339
【일문초록】= 363
【찾아보기】= 379
Ⅰ. 문묘일무의 미학적 본질
문묘석전일무의 연구동향
1. 들어가는 말 = 15
1) 연구 의의와 목적 = 15
2) 연구 범위와 방법 = 17
3) 용어의 정리 = 18
2. 문묘석전일무의 연구동향 = 24
1) 갑오개혁 이후 일무의 전승 = 24
2) 일제 강점기 일무의 침체 = 26
3) 광복 이후 일무의 정비 = 42
4) 근래 일무의 논쟁 = 44
3. 문묘석전일무의 문제점 = 48
1) 일무의 진정성 검토 = 48
2) 일무의 원형성 검토 = 55
4. 나오는 말 = 59
한문화 콘텐츠로서의 석전대제
1. 문제의 제기 = 61
2. 석전의 명칭과 의식 및 일무 = 66
3. 중원왕조의 석전 = 76
4. 신라ㆍ고려조의 석전 = 82
5. 조선조의 석전과 사전 = 87
6. 결언 = 95
문묘제례악무의 생명미학
1. 예악과 제례 = 99
2. 존현의식(尊賢意識)과 인간문화의 생명미 = 103
3. 문묘 제례악무의 안락화동(安樂和同)의 미의식 = 108
4. 인간다움의 문화의식 = 114
전통음악 전승 이론 수립을 위한 시론
1. 서론 = 119
2. 구조적 성격 = 124
1) 예(禮)의 구조적 성격 = 124
2) 악(樂)의 구조적 성격 = 126
3) 시간(時)의 구조적 성격 = 127
4) 공간(空)의 구조 = 129
3. 내재 원리 = 131
1) 음양오행적 원리 = 131
2) 구조주의적 관점 = 134
4. 결론 = 136
중요무형문화재의 원형의 의미
1. 머리말 = 141
2. 세계무형문화유산에서 무형문화재의 정의 = 143
3. 전승의 단절과 복원된 중요무형문화재 = 146
4. '원형'을 바라보는 시각 = 148
1) 전승의 기준으로서 '원형' = 148
2) 기원 중심의 '원형' = 150
5. 중요무형문화재의 역사성과 기ㆍ예능의 전승 = 151
6. 문화의 원형과 무형문화재의 원형 = 154
7. 분야별 원형기준의 필요성 = 158
Ⅱ. 일무전승의 사료적 분석
문묘석전 일무의 사적 고찰
1. 들어가는 말 = 163
2. 문묘와 일무의 관계 = 164
3. 문묘석전 일무의 역사적 배경 = 165
4. 문묘 석전일무의 구조적 원리 = 166
1) 일무의 뜻 = 166
2) 석전일무의 인원수 유래 = 167
3) 석전일무의 형성 = 172
5. 나오는 말 = 180
『春官通考』소재 文廟祭禮 佾舞圖의 史料的 가치
1. 서론 = 185
2.『춘관통고』소재 일무도의 성격 = 188
3.『춘관통고』소재 일무도의 정확성 = 196
4. 결론 = 207
한국 문묘제례악무의 전승과 고유성
1. 서언 = 211
2. 한국 석전의 개괄과 연변 = 213
1) 한국의 문묘와 동국 18현 = 215
2) 고종의 2월 상정일 문묘석전 = 217
3) 중요무형문화재로서의 석전대제 = 220
3. 한국의 석전 예(禮)ㆍ악(樂)ㆍ무(舞) = 221
1) 공자시호는 대성지성문선왕 = 224
2) 제례악의 등가와 헌가 = 227
3) 문무와 무무 = 231
4. 한국 문묘제례일무의 고유성 = 233
1) 일무원(佾舞員)의 서쪽 무위(舞位) = 236
2) 무구(舞具)의 동이(同異) = 240
3) 속악일무와 대동(大同) = 245
4) 한국의 일무와 삼진삼퇴(三進三退) = 247
5. 현행 문묘제계일무의 전승 = 249
6. 결어 = 265
일제강점기 경학원 석전의 변화 양상
1. 서론 = 273
2. 경학원과 문묘석전 = 276
1) 경학원의 설치와 역할 = 276
2) 문묘석전의 강연회 = 280
3. 경학원 문묘석전의 전개 = 283
1) 문묘석전의 신위(神位)와 배위(拜位) = 284
2) 거행일과 절차 = 289
3) 문묘석전의 육일무가 팔일무로 = 291
4. 결론 = 296
한국적 문묘제례일무의 재현
1. 서언 = 299
2. 무형문화재의 생명과 무형의 전승성 = 303
3. 현행 문묘제례일무 재현의 독자성 = 307
1) 무원의 위치와 향외(向外)ㆍ향리(向裏)의 방향 = 310
2) 약과 적 = 314
3) 간과 척 = 315
4) 춤동작(춤사위) = 318
5) 문묘제례악의 차이 = 322
6) 삼진삼퇴 = 323
4. 한국 문묘제례일무의 고유성 = 324
5. 문헌 무보에 의한 원형 재현의 한계성 = 327
6. 결언 = 330
1) 현행 문묘제례일무 재현의 독자성 = 330
2) 한국 문묘제례일무의 고유성 = 332
3) 문헌 무보에 의한 원형 재현의 한계성 = 333
부록
【영문초록】= 339
【일문초록】= 363
【찾아보기】=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