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제1장 프로시론의 전개과정 연구
1. 서론 = 11
2. 1920∼30년대 프로시론의 전개과정 = 16
1) 낭만주의 시론 = 16
⑴ 상징주의 시론 = 16
⑵ 민중시론의 매개적 위치 = 29
2) 프로파간다 시론 = 46
⑴ 프로파간다 시론의 성립 = 46
⑵ 프로파간다 문학의 추상성 비판 = 65
⑶ 프로파간다 시의 대중화 = 82
3) 프로시론의 확립 = 101
⑴ 단편서사시론과 형상론 = 101
⑵ 프로시의 감상성 비판 = 115
⑶ 프로시의 낭만성 = 131
4) 프로시론과 모더니즘 시론 = 147
⑴ 풍자시론 = 147
⑵ 기교주의 논쟁 = 163
⑶ 신세대의 프로시론 = 173
3. 결론 = 186
제2장 프로시의 아포리아
1. 프로문학 연구에 앞서 = 193
2. 프로문학 연구의 두 방향 = 195
3. 프로문학 맹목의 지점 - 부르주아 서정시의 문제 = 199
4. 프로시인이 도시를 보는 법 = 204
5. 맺음말 = 212
제3장 민족문화와 친일문학 사이의 내재적 연속성 문제 연구: 최남선을 중심으로
1. 친일문학 연구의 전제 = 215
2. 학문적 독립선언 = 219
3. 단군의 사실성 문제 = 222
4. 두개의 눈 = 225
5. 죽은 문자를 넘어 = 228
6. 「단군론」이라는 외교문서 = 232
제4장 근대시의 역사지리학: 이용악론
1. 월북 시인의 비애 = 235
2. 조선적 상상력의 희생양, 오랑캐꽃 = 237
3. 시인, 밀수꾼의 상상력 = 240
4. 쌍두마차의 비밀 = 243
제5장 박두진 초기 시의 종교적 성격: 시집 『해』를 중심으로
1. ‘청록파’를 넘어서 = 247
2. 해야 솟아라 = 249
3. 산에 올라 = 253
4. 바다를 그리며 = 256
5. 장미로 피어나다 = 260
제6장 식민지 시대 교지(校誌)연구
1. 머리말 = 263
2. 고등보통학교 교지의 성격 = 265
3. 전문학교 교지 개관 = 268
1) 숭실대학의 교지 = 268
2) 연회전문의 교지 = 270
3) 경성제국대학의 『신흥(新興)』 = 272
4) 보성전문, 이화전문의 교지 = 275
4. 맺음말 = 276
책머리에 = 3
제1장 프로시론의 전개과정 연구
1. 서론 = 11
2. 1920∼30년대 프로시론의 전개과정 = 16
1) 낭만주의 시론 = 16
⑴ 상징주의 시론 = 16
⑵ 민중시론의 매개적 위치 = 29
2) 프로파간다 시론 = 46
⑴ 프로파간다 시론의 성립 = 46
⑵ 프로파간다 문학의 추상성 비판 = 65
⑶ 프로파간다 시의 대중화 = 82
3) 프로시론의 확립 = 101
⑴ 단편서사시론과 형상론 = 101
⑵ 프로시의 감상성 비판 = 115
⑶ 프로시의 낭만성 = 131
4) 프로시론과 모더니즘 시론 = 147
⑴ 풍자시론 = 147
⑵ 기교주의 논쟁 = 163
⑶ 신세대의 프로시론 = 173
3. 결론 = 186
제2장 프로시의 아포리아
1. 프로문학 연구에 앞서 = 193
2. 프로문학 연구의 두 방향 = 195
3. 프로문학 맹목의 지점 - 부르주아 서정시의 문제 = 199
4. 프로시인이 도시를 보는 법 = 204
5. 맺음말 = 212
제3장 민족문화와 친일문학 사이의 내재적 연속성 문제 연구: 최남선을 중심으로
1. 친일문학 연구의 전제 = 215
2. 학문적 독립선언 = 219
3. 단군의 사실성 문제 = 222
4. 두개의 눈 = 225
5. 죽은 문자를 넘어 = 228
6. 「단군론」이라는 외교문서 = 232
제4장 근대시의 역사지리학: 이용악론
1. 월북 시인의 비애 = 235
2. 조선적 상상력의 희생양, 오랑캐꽃 = 237
3. 시인, 밀수꾼의 상상력 = 240
4. 쌍두마차의 비밀 = 243
제5장 박두진 초기 시의 종교적 성격: 시집 『해』를 중심으로
1. ‘청록파’를 넘어서 = 247
2. 해야 솟아라 = 249
3. 산에 올라 = 253
4. 바다를 그리며 = 256
5. 장미로 피어나다 = 260
제6장 식민지 시대 교지(校誌)연구
1. 머리말 = 263
2. 고등보통학교 교지의 성격 = 265
3. 전문학교 교지 개관 = 268
1) 숭실대학의 교지 = 268
2) 연회전문의 교지 = 270
3) 경성제국대학의 『신흥(新興)』 = 272
4) 보성전문, 이화전문의 교지 = 275
4. 맺음말 = 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