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Ⅰ. 송영 연구 = 11
1. 송영의 전기적 사항 = 11
2. 송영 작품 연구와 세계 = 15
3. 양식과 형상화 문제 = 17
1) 소설양식과 극양식 = 17
2) 극적 형상화 문제 = 35
4. 작품 모티프 = 50
1) 노동자의 노동 모티프 = 54
2) 자본가 풍자 모티프 = 75
5. 야생화 연구 = 91
1) 문제제기 = 92
2) 대본의 서지적 문제 = 93
3) 작품 분석 = 98
4) 맺음말 = 115
6. 결론 = 117
7. 야생화 해설 = 120
1) 대본 입수 경위 = 120
2) 서지적 사항 = 121
3) 작품에 대하여 = 121
4) 수록한 「야생화」를 읽는 방법 = 123
5) 야생화 대본 = 123
8. 송영 연보 = 172
Ⅱ. 채만식 연구 = 177
1. 소설양식의 형상화 문제 = 177
2. 언어와 문장 = 178
1) 대화와 이야기 방식의 설화체 문장 = 178
2) 비어와 속어, 그리고 남도 사투리 = 190
3) 외래어와 의성어ㆍ의태어 = 193
4) 속담, 격언을 사용한 비유 = 197
3. 인물의 계충과 유형 = 199
1) 「레디메이드 인생」의 지식인 계층 = 199
2) 「태평천하」의 부르조아 계층 = 205
3) 인물의 유형 = 209
4. 시ㆍ공간의 양상 = 214
1) 「레디메이드 인생」의 시ㆍ공간 = 214
2) 「태평천하」의 시ㆍ공간 = 216
5. 플롯 = 219
1) 시점과 서술방식 = 219
2) 종결법 = 224
3) 장르 의식 = 228
6. 주제 = 233
1) 물질주의적 인간관 = 233
2) 성의 상품화 = 237
7. 소설인가? 아니면 희곡인가? = 240
1) 채만식 소설에 나타나는 노벨적 요소 = 240
2) 채만식 소설에 나타나는 반노벨적 요소 = 242
Ⅲ. 채만식의 희곡 = 245
1. 작품 형상화 과정 = 245
1) 소설양식과 극양식의 차이점 = 245
2) 극적 형상화 문제 = 257
2. 작품상의 모티프 = 274
1) 지식인 무능 모티프 = 277
2) 신구세대 대립 모티프 = 290
3. 「심봉사」 연구 = 303
1) 문제제기 = 304
2) 「심청전」과 「沈봉사」 = 307
3) 소설 「심봉사」 = 321
4) 각색과 창작의 거리 = 323
5) 결론을 대신하여 = 331
4. 결론 = 333
5. 채만식 연보 = 339
머리말 = 5
Ⅰ. 송영 연구 = 11
1. 송영의 전기적 사항 = 11
2. 송영 작품 연구와 세계 = 15
3. 양식과 형상화 문제 = 17
1) 소설양식과 극양식 = 17
2) 극적 형상화 문제 = 35
4. 작품 모티프 = 50
1) 노동자의 노동 모티프 = 54
2) 자본가 풍자 모티프 = 75
5. 야생화 연구 = 91
1) 문제제기 = 92
2) 대본의 서지적 문제 = 93
3) 작품 분석 = 98
4) 맺음말 = 115
6. 결론 = 117
7. 야생화 해설 = 120
1) 대본 입수 경위 = 120
2) 서지적 사항 = 121
3) 작품에 대하여 = 121
4) 수록한 「야생화」를 읽는 방법 = 123
5) 야생화 대본 = 123
8. 송영 연보 = 172
Ⅱ. 채만식 연구 = 177
1. 소설양식의 형상화 문제 = 177
2. 언어와 문장 = 178
1) 대화와 이야기 방식의 설화체 문장 = 178
2) 비어와 속어, 그리고 남도 사투리 = 190
3) 외래어와 의성어ㆍ의태어 = 193
4) 속담, 격언을 사용한 비유 = 197
3. 인물의 계충과 유형 = 199
1) 「레디메이드 인생」의 지식인 계층 = 199
2) 「태평천하」의 부르조아 계층 = 205
3) 인물의 유형 = 209
4. 시ㆍ공간의 양상 = 214
1) 「레디메이드 인생」의 시ㆍ공간 = 214
2) 「태평천하」의 시ㆍ공간 = 216
5. 플롯 = 219
1) 시점과 서술방식 = 219
2) 종결법 = 224
3) 장르 의식 = 228
6. 주제 = 233
1) 물질주의적 인간관 = 233
2) 성의 상품화 = 237
7. 소설인가? 아니면 희곡인가? = 240
1) 채만식 소설에 나타나는 노벨적 요소 = 240
2) 채만식 소설에 나타나는 반노벨적 요소 = 242
Ⅲ. 채만식의 희곡 = 245
1. 작품 형상화 과정 = 245
1) 소설양식과 극양식의 차이점 = 245
2) 극적 형상화 문제 = 257
2. 작품상의 모티프 = 274
1) 지식인 무능 모티프 = 277
2) 신구세대 대립 모티프 = 290
3. 「심봉사」 연구 = 303
1) 문제제기 = 304
2) 「심청전」과 「沈봉사」 = 307
3) 소설 「심봉사」 = 321
4) 각색과 창작의 거리 = 323
5) 결론을 대신하여 = 331
4. 결론 = 333
5. 채만식 연보 = 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