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머리에 ... 5
서두의 논의 ... 11
Ⅰ부 생존과 삶의 방식
1. 1940년대 전반기 한국소설사 기술의 현황과 문제점 ... 25
2. 1940년대 농민소설의 전망과 그 변이 ... 54
- 1940년대 농민소설의 텍스트 상호전이현상
3. 한국소설과 마도강 체험 ... 77
- 이농형 농민소설에 나타나는 간도ㆍ만주 공간: <삼봉이네 집>을 중심으로
4. 1940년대 전반기 만주이민소설의 세 유형 ... 109
- 안수길의《북원》에 나타나는 현실 반영 방식 고찰
Ⅱ부 북방파와 그 시의식
5. 일제강점기 북방파 시에 나타나는 시의식 ... 141
6. 백석의 시에 이르기 위한 예비적 고찰 ... 172
7. 일제강점기 북방파 이민문학에 나타나는 작가의식 연구 ... 193
- 백석의 후기 시를 중심으로
8. 포의전전布衣轉轉한 시인의 방랑과 그 정체 ... 237
- 이설주의 초기 시를 중심으로
Ⅲ부 잡종사회의 인간상
9. 잡종사회의 주변인 ... 273
- 만주이민소설의 인물유형
10. 중국 조선족 문학에 나타나는 고향의식 ... 308
11. 심연수 소설의 서사전략 고찰 ... 338
- 단편 <비누>, <석마>, <석류>, <농향>의 인물 창조에 나타나는 서사 기법
12. 마도강문학 연구 ... 371
-《만주조선문예선》, 여로형 만주이민소설을 중심으로
참고 문헌 ... 411
서두의 논의 ... 11
Ⅰ부 생존과 삶의 방식
1. 1940년대 전반기 한국소설사 기술의 현황과 문제점 ... 25
2. 1940년대 농민소설의 전망과 그 변이 ... 54
- 1940년대 농민소설의 텍스트 상호전이현상
3. 한국소설과 마도강 체험 ... 77
- 이농형 농민소설에 나타나는 간도ㆍ만주 공간: <삼봉이네 집>을 중심으로
4. 1940년대 전반기 만주이민소설의 세 유형 ... 109
- 안수길의《북원》에 나타나는 현실 반영 방식 고찰
Ⅱ부 북방파와 그 시의식
5. 일제강점기 북방파 시에 나타나는 시의식 ... 141
6. 백석의 시에 이르기 위한 예비적 고찰 ... 172
7. 일제강점기 북방파 이민문학에 나타나는 작가의식 연구 ... 193
- 백석의 후기 시를 중심으로
8. 포의전전布衣轉轉한 시인의 방랑과 그 정체 ... 237
- 이설주의 초기 시를 중심으로
Ⅲ부 잡종사회의 인간상
9. 잡종사회의 주변인 ... 273
- 만주이민소설의 인물유형
10. 중국 조선족 문학에 나타나는 고향의식 ... 308
11. 심연수 소설의 서사전략 고찰 ... 338
- 단편 <비누>, <석마>, <석류>, <농향>의 인물 창조에 나타나는 서사 기법
12. 마도강문학 연구 ... 371
-《만주조선문예선》, 여로형 만주이민소설을 중심으로
참고 문헌 ...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