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역사문헌 및 연구논저 목록
Ⅰ. 신앙 내용
1. 삼국사기 = 23
2. 삼국유사 = 46
3. 고려사 = 62
4. 세종실록 오례의 = 98
5. 신증동국여지승람 = 194
Ⅱ. 제문 · 축문
1. 동국이상국집 = 277
2. 동문선 = 325
3. 修堂集 8 제문 = 352
4. 순암선생문집 20 제문 = 355
5. 양촌선생문집 23 제문류 = 364
6. 연려실기술 별집 4 사전전고 = 371
7. 완당전집 7 제문 = 384
8. 잠곡유고 = 386
9. 증정교린지 4 지 = 400
10. 춘정집 11 제문 = 405
11. 해행총재 - 해사일기 제문 = 426
12. 홍재전서 = 431
Ⅲ. 기타
1. 선화봉사고려도경 = 467
[2] 문헌설화편-1
1. 인물 관련 이야기
장보고의 청해진 = 17
장보고와 해상왕국 = 28
서산대사가 얻은 연적의 신통력 = 30
용와 아들 가르친 율곡선생 = 36
용왕 아들을 가르친 율곡 = 39
이율곡과 은복개 = 42
퇴계선생과 해인 = 52
용궁에서 가져온 해인 = 52
용궁에서 가져온 해인 = 57
용궁의 신비 · 지상의 기적-해인을 얻은 가야산 산로 = 62
선돌목 이야기 = 69
고향에 간 선돌이 = 71
손돌목 = 74
손돌공 진혼제 = 79
선돌이 죽은 선돌목가 터진개 = 81
선돌이 억울하게 죽은 선돌목 = 83
손돌목 전설: 채록대로 표기 = 85
손돌목 이야기: 채록대로 표기 = 86
선들이 추위: 채록대로 표기 = 87
선돌이 억울하게 죽은 선돌목 = 89
임경업 장군 전설 = 90
임경업 장군 일화 = 92
임경업 장군 이야기 = 94
연평도 조기잡이 = 97
조기 잡는 법을 가르쳐준 임 장군 = 101
임경업 장군을 모신 곶창산 = 103
가시나무로 조기잡은 임경업 장군 = 104
볼음도 이름지은 임경업 장군 = 105
부적 던져 민어 잡은 임경업 = 106
가시나무로 조기 잡은 임경업 = 107
임경업 장군 전설 = 108
임경업장군 일화: 채록대로 표기 = 110
가시나무로 조기 잡은 임경업 = 111
소강절과 동해용왕 = 112
박장군 전설 = 117
이토정(1) = 120
부처님 공양한 덕에 천자가 된 사람 = 122
당태종의 회생 = 132
가뭄에 비 내리고 천벌받은 용왕 아들 = 138
현종과 남해당(시종면 옥야리 남해포) = 142
계명당(시종면 와우리) = 145
김완장군과 몽해(서호면 몽해리) = 147
<짚은 모실> 노래와 왕녀 신화 = 150
수로부인 = 153
수로부인 = 155
중국사신을 혼내준 뱃사공 = 157
석씨의 시조 = 160
선문대할망 = 162
설문대할망 = 166
설문대 할망 = 168
설문대 하루방과 설문대 할망 = 170
설문대 할망 = 172
산호해녀 = 174
강장군의 행패 = 176
처용랑 = 178
처용랑과 역신에 얽힌 전설 = 180
처용설화 = 189
두모오 = 190
해공의 전설 = 191
세 해공의 전설 = 200
울릉도 심청이 = 209
안용복 장군 = 210
하늘사람 = 212
태하의 배성삼 = 215
용녀의 맵시 = 219
우해왕과 풍미녀 = 223
우민 선생의 사해용왕 퇴치 = 225
용왕의 아들과 선녀의 사랑 = 227
용왕의 아들과 선녀의 사랑 = 233
조부자의 거북사위 = 239
효열리 = 246
수토기담 = 248
신숙주와 청의동자 = 249
신숙주와 청의동자 - 양주의 시둔면 = 254
장사 홍맹룡 = 262
열녀 정부인 김씨 = 264
용왕 아들 삼형제 = 265
용왕황제국 말재딸애기 = 270
심술궂은 강선장 = 276
남선비 = 278
소천국과 백주 = 287
영등대왕 = 293
영등할망 = 295
태자 괴뇌깃도 = 296
서불과 불사약 = 301
서시과차문자 = 302
성삼문이 시로 대국학자를 쫓아보내다 = 303
오돌또기와 김복수 = 304
탐라국의 열녀 - 제주 열녀정문 = 309
돌아오지 않는 강 - 금해 김씨, 허씨 = 314
왕등도의 전씨 = 321
실수로 청룡을 쏜 궁사 = 323
허미수의 신통력 = 326
아기장수와 백마 = 333
구렁덩덩 서선비(2) = 335
신의없는 어부와 도깨비 = 341
표선의 백사장 = 342
고종달 = 343
유골에 묻어준 어부 = 346
알에서 태어난 임금 = 348
추씨의 시조 = 351
낭간 비구니 = 354
육지가 바다로 된 가청이 = 357
거무역리 = 359
신무왕의 화룡 멸적 = 361
내초도 김돈시굴 = 362
방씨의 일기 = 365
인황 구하는 동해 용왕을 재치로 이긴 사또 = 366
아들 억에 용왕 된 아버지 = 370
용왕의 병 고치고 침을 얻다 = 381
용왕의 딸과 소금장사 = 385
운수선생과 용왕 = 391
박동과 용녀 = 398
바닷속의 엽전 = 401
서천 서해궁에서 얻은 보물 = 402
인어를 구해서 자손이 흥했다는 도초도 명씨 = 405
용왕의 병을 고친 이야기 = 408
수궁 벼슬한 의원 = 409
대마-골 = 412
두 용의 해후 = 414
해적들의 퇴치 = 421
삼성혈 = 423
삼성혈에 얽힌 전설 = 426
삼성시조 = 431
망부석 = 433
압해송장수 = 434
"가실 가실" 만난 사랑 = 436
태하의 배성삼 = 439
용녀 = 442
연오랑과 세오녀 = 445
무왕의 화룡정점 = 447
문무왕릉과 감은사 = 449
청백리 이약동 = 454
해적을 토벌한 오돌래
김완장군과 몽해 = 458
보길도의 신선 윤선도 = 461
고운선생과 우이도 상산봉 = 464
서방여의 탑상골 = 465
심청이 살아난 연봉바위 = 467
비단에 싸여 살아난 심청 = 470
연꽃을 타고 돌아온 심청 = 475
용왕이 살려준 심청 = 480
심청이 살아난 연화리 = 487
율도를 개간시킨 조중봉 = 489
백령도와 거타지 = 491
새우잡던 오두어화와 권율 장군 = 493
2. 바위 관련 이야기
배바위 = 497
비 내려주는 탯돌 = 498
송장바위 = 499
송장바위2 = 500
천등산 굴껍질 = 502
용왕신과 원숭이 바위 = 503
죽도의 마고할미 돌 = 504
죽도의 마고할미 돌 = 507
약산동대의 거북바위 = 510
용선바위와 거북바위 = 511
용선바위와 거북바위 = 513
거북바위(조도) 전설 = 515
거북바위 = 516
용암수의 용바위와 거북바위 = 517
절부암 = 518
두견새 우는 절부암 = 520
절부암 = 528
절부암(2) = 531
절부암 = 534
절부암의 사연 = 536
배바위와 철불 = 539
애바위에 얽힌 한 = 540
날씨 알리는 노는 바위 = 542
예언하는 바위 = 544
금구도와 마당바위 = 546
선장바위 유래 = 547
씹바위 이야기 = 548
댕바위와 용굴 = 549
낙화암과 홍상도 = 550
촛대바위는 효녀바위 = 552
촛대바위 = 554
구멍바위 = 556
삼선암의 유래(왕자와 미녀) = 557
삼도사 바위 = 563
삼도사의 바위 = 570
용녀와 곡성바위 = 577
윤웅바위 = 584
가리 바위 = 587
용굴올레 = 588
용난굴과 학바위(1) = 594
용난굴과 학바위(2) = 595
마고할미 고쟁이 말린 바위 = 597
죽도의 마귀할미 돌 = 598
할미바위와 할아비바위 = 601
거아도의 탑할머니 = 603
솟방우 = 605
장사 바위의 전설 = 606
대왕암과 감은사 = 612
월성 바위의 유래 = 615
노고바위 전설 = 618
온 식구가 굳어진 노구암 = 619
노인과 이심이 = 620
용두암 = 622
용머리 바위 = 623
죽도의 용바위 전설 = 627
애바위에 얽힌 한 = 628
는들바위와 아기장수 = 630
떨걱바위 = 633
피바위(2) = 635
흑산피바위 = 637
용궁 = 638
사신의 등선로였던 병풍바위 = 639
바다로 뛰쳐나간 독바위 = 641
물에 빠져죽으려 한 독바위 = 642
흑산진리 꼼돌바위 = 643
섬마을의 애환을 담은 효성의 탈상바위 = 644
해적섬과 탈상바위 = 646
용녀 바위 = 648
죽산의 삼형제 바위 = 651
화상암 = 654
갓바위의 유래 = 655
고하도의 탕건바위 = 658
백도 매바위 = 660
꽁돌바위와 피밧다랭이 = 661
안좌도 벼락바위 = 662
옛날 장수가 있었던 자리 = 665
화장새가 혈서를 썼다는 암벽 = 667
원순제와 소청도 분바위 = 66
호구암과 대부도의 개 = 670
사기리 함허동천과 각시바위 = 671
누명 쓴 각시가 죽은 각시바위 = 672
꽁무니가 바다로 향한 말바위 = 675
갓바위 = 676
형제바위 = 679
빈섬과 독수리바위 = 682
[3] 문헌설화편-2
1. 비석 관련 이야기
척주동해비(陟洲東海碑) = 21
삼보 퇴한비 = 23
퇴조비(退韓碑)의 유래 = 25
열녀비 = 29
백이숙제(伯夷叔薺)의 비(碑) = 31
2. 동물 관련 이야기
앓던 이가 문어가 되다 = 39
문어 때문에 생긴 오해 = 40
문어가 된 역졸 = 44
문어가 된 90노인 = 45
홍련암의 지킴이 문어 = 46
댓섬 앞바다의 문어 = 47
하늘로 간 용 = 48
하늘로 간 용(龍) = 49
쌍화도(雙和島)의 두 마리 용 = 50
청룡(靑龍)과 황룡(黃龍)이 이끈 배 = 60
뱀 이야기 = 66
모산도와 죽도의 구렁이 = 68
반동화구멍과 구렁이 = 70
형제도의 구렁이 = 72
은혜갚은 뱀과 노루 = 78
대청도 이무기와 소청도 이무기의 만남 = 80
러시아 군함에 붙은 지네 = 81
노서아(露西亞) 군함에 붙은 지네 = 81
용궁왕자 자라의 보은 = 84
처녀방에 드나든 거북 - 채(蔡)씨의 시조 = 89
토끼와 별주부(鼈主簿) = 97
구멍바위의 가오리 = 103
명태의 유래 = 104
물고기가 병신이 된 유래 = 107
은혜 갚은 숭어 = 111
영광 굴비의 유래 = 113
대마골의 철마 = 116
명주고등 = 120
남생이 덕(德)을 본 구동 = 122
3. 식물 관련 이야기
동백꽃의 사연 = 129
馬梁(마량)의 ?栢꽃 = 132
귤나무의 유래 = 136
향기(香氣) 그윽한 횡간도(橫看島)의 풍란(風蘭) = 138
김(海苔)의 내력 = 139
효자암(孝子岩)과 팽나무 = 142
4. 섬 관련 이야기
비비각시섬의 유래 = 147
비비각시 = 150
비비각시 섬 = 153
서리섬이라는 명칭의 유래 = 154
비양도(飛揚島) = 156
치도-리(雉島里) = 157
형제섬의 전설 = 158
댓섬의 신비 = 159
댓섬의 신비(神秘) 가산도 = 165
동해의 밀물에 죽도의 서엽은 - 울능도의 세 해공(海公) = 170
독도 = 178
이덕도(二德島) = 179
비양도 이야기(Ⅰ) = 180
가파도 아기업개 = 182
호 종단(胡宗旦)과 차귀섬〔遮歸島〕 = 184
호종단과 차귀섬에 얽힌 전설 = 186
이어도 = 189
꽃섬의 비원 = 192
안면도가 섬이 된 까닭(1) = 199
안면도가 섬이 된 까닭(2) = 201
고드래 섬 = 202
우양호사로 둘러싸인 제주도 = 203
자루바가지 섬 = 204
태종대(太宗台)앞의 주전자 섬 = 205
주전자섬의 금기 = 207
삼학도(三鶴島)에 얽힌 사랑의 전설 = 208
삼학도(三鶴島)의 내력 = 214
어청도(於靑島)의 유래 = 217
간월도 = 219
갈남의 지형과 월미도 = 222
계화도의 유졸 = 223
계화도와 전간제 = 225
용도 이야기 = 228
불무섬 = 229
유재섬 = 230
섬이었던 화도 = 231
화도(花島)의 미녀(美女) = 232
장산태이용추 = 233
장군도(將軍島)를 두고 다투는 3용(龍) = 234
장군도(將軍島) = 238
오동(오동)열매를 따먹으러 봉황새 드나든 곳 = 239
오동도(梧桐島)의 내력 = 243
나불도(羅佛島) = 244
쌍도와 삼형제 = 246
유부도(有父島)와 유자도(有子島)의 사랑 = 249
씨름으로 결판을 낸 칠기도(七岐島) = 252
가난한 사람 위해 야산도 개간 = 254
씨름판에서 임자가린 칠기도(七岐島) = 257
말모섬(望山島)과 쪽박섬(石舟섬) = 259
묘도의 전설 = 260
백도(白島)의 유래 = 261
거문도(巨文島) = 262
남양(南洋)에서 떠온 가막섬 = 263
비라도와 최총각 = 265
가지(可之) 마을과 허사도(許沙島)의 유래 = 267
후궁(後宮)에게 하사한 나발섬(羅佛島) = 273
가지도 = 275
각씨도 = 276
관매도(觀梅島)의 경관전설 = 277
가사군도(加沙群島)의 지명전설 = 279
팔금도 유래 = 280
노파도 = 281
약산의 삼개문 = 282
제부도의 유래 = 283
남경도의 지명유래 = 284
형도의 탑과 오리섬 = 285
만경원 둑과 낭섬의 유래 = 286
백령도 = 288
추방된 선비가 사랑을 이룬 백령도 = 289
흰새가 사랑을 이어주었다는 '백령도' = 291
백령도 = 292
신향이와 대청도 = 293
대청리 = 295
작약도 = 296
신도(信島)리 = 297
쌍오도 = 298
비졸도와 최어부 = 301
5. 바다 관련 이야기
칠산바다 = 305
칠산(七山) 바다의 내력 = 309
한진 바다 터진 이야기 = 314
바닷물이 짠 이유 = 316
바닷물이 짠 이유 = 319
바닷물이 짠 이유 = 324
바닷물이 짠 까닭 = 325
바닷물이 짠 이유 = 326
바닷물이 짠 내력 = 327
바닷물이 짠 이유 = 329
용연(龍淵)의 전설 = 331
황금바다 = 336
용해 = 339
이해(샘바다)의 전설 = 342
채석강(전라북도 기념물 제28호) = 343
바다가 우는 소리 = 344
배들어오던 해랑 = 345
바다였던 개건너 = 346
바다였던 하도리 = 347
고기가 많이 모이던 어두마을 = 348
돌산(突山)의 무술목(戊戌項) = 349
목질의 전설 = 352
신비(神秘)의 해구(海丘) = 353
강강술래터 = 354
궁살 = 357
주교리(珠橋里)의 유래 = 358
송교리 인근의 지명유래 = 359
살곶이의 지명유래 = 360
부뚜감의 발견 유래 = 362
송산면(松山面)ㆍ남경도ㆍ마산포의 지명유래 = 363
미나 잡던 미나펄 = 364
배운벌 유래 = 365
6. 산 관련 이야기
조산(造山)의 傅說 = 369
선녀부용(仙女芙蓉)이 놀다간 해망산(海望山) = 371
대마도주등(對馬島主嶝) = 372
성인봉의 산삼 = 376
갈미봉 = 380
대풍령 = 381
대풍령 = 382
배재 = 383
임금봉 = 384
뱀이 용으로 승천한 테두리산 = 385
만리에서 떠 들어온 마리산 = 386
압해효지 굴박산 = 387
우이도 상산봉 = 388
고이리 왕산 = 389
군산(軍山) = 391
용머리 = 394
회룡산과 가무작지 = 395
국수봉의 불사약 = 396
7. 포구 관련 이야기
장지포 이야기 = 399
보은 이야기 = 402
현포(玄圃) = 405
고포(姑浦)마을 = 407
전포(錢浦)마을의 유래 = 408
용당포의 전설 = 411
포구였던 선두리 = 413
배 다니던 선두포 = 414
조구나루(일명 조공진, 租貢津) = 415
고포리와 마산포의 전설 = 416
두 용이 싸우던 용기포 = 417
두 용이 싸우던 '용기포' = 418
8. 사찰 관련 이야기
용궁사 유래 = 421
용궁사 돌부처 = 424
용궁사의 돌부처 = 427
옥부처 이야기 = 430
오대산 문수사 석탑(五台山 文殊寺 石塔) = 432
문수사(文殊寺) 석탑기(石塔記) = 433
정암사(淨岩寺) 수마노탑(水瑪瑙塔) 전설 = 435
망해암 = 442
부석(浮石)과 부석사(浮石寺) = 444
해인사(海印寺)의 유래 = 447
낙산사(洛山寺)의 내력 = 453
어부들이 낚은 보문사 불상 = 463
선암사의 꿈 = 464
명월사(明月寺)의 흥망(興亡) = 466
돌미륵과 칠산(七山)의 바다 = 471
9. 해신당 관련 이야기
풍어 기원제 = 477
풍어기 이야기 = 479
안인 해랑사 = 481
해랑사의 풍어제 = 484
해령사의 여신 = 485
해령사의 여신(海靈祠 女神) = 486
안인진(安仁津)의 해랑당(海浪堂) = 487
해랑사의 풍어제(海浪祠 豊漁祭) = 488
해랑당 신 = 490
해령사(海靈祠)의 전설 = 492
해랑당(海浪堂)에 얽힌 전설 = 494
주문진 진이(眞伊) 성황 = 498
진이 서낭당 유래 = 503
소돌의 지형과 서낭당신 = 505
태하의 신 = 508
또 다른 이야기 = 518
울릉도의 성황당 = 521
성하신당(聖霞神堂) = 523
태하동 성황당 = 525
진리당 이야기 = 528
흑산도(黑山島)의 각시당 = 530
흑산진리처녀당 = 532
해신당(海神堂)과 농신당(農神堂) = 534
숲섬(森島)의 여드렛당 = 536
곶창굿 하던 치군터 = 540
외포리 곶창군 = 541
곶창굿하던 고창마을 = 543
볼음도 풍어제 = 544
인화리 풍어제와 산신제 = 547
남해당 제(祭) = 549
남해당 제(南海堂 祭) = 551
벽파정당 할아버지 = 553
벽파정 당할아버지의 영험 = 555
무민사(武愍祠) = 557
고돌산진(古突山鎭)의 벅수 = 558
횡간도의 관우묘 = = 561
안마도(鞍馬島) 당산봉(堂山峰) = 564
벼락재의 기우제 = 566
굴포 간척지와 堂祭 = 568
당신(堂神)의 영험(靈驗) = 569
성곡동 잿머리 성황제 = 571
당제산의 유래 = 574
탑제ㆍ왕진물ㆍ한우물의 유래 = 575
고사 지낸 이야기 = 576
숫총각을 제물로 받는 해신 = 577
숫총각을 제물로 받는 해신(海神) = 579
용의 승천과 용신제 = 581
용의 승천과 용신제 = 582
당개의 서낭당 = 583
임금님이 하사한 '당개의 성황당' = 585
참대통을 타고 온 서낭신 = 586
참대통을 타고 온 서낭신 = 588
수성당의 개양할미 = 589
10. 기타(제방, 동굴, 도깨비, 귀신 이야기 등)
용수동 제방 건설 = 593
용수동 제방 전설 = 595
원안둑(元安堰)과 중(?) = 596
할배대접 = 600
배성주 제사 = 602
배성주신 유래 = 603
진수식 전설 = 606
표류 시체 = 608
살아 있는 주검 = 610
바다 위의 상여 = 611
자비굴 = 613
외다리의 용굴 = 616
용굴 = 617
비련(悲戀)의 동굴 = 618
후포(厚浦)의 용치굴 = 625
용화리 용굴 = 626
헛것 = 627
황토구미 = 628
또깨불 이야기 = 629
동해 용왕신 이야기 = 630
산호수(珊瑚樹)와 마마신[痘神] = 632
이중탕(理中湯) = 637
목포(木浦)의 병귀신 = 638
처녀 원혼의 보답 = 646
그물 귀신 = 648
그물 귀신 = 650
등대귀신 전설 = 652
자은용추 = 653
비금용소 = 654
태이용추 = 655
습지였던 지레마을 = 657
뱃짐을 풀던 진따배기 두곡 = 658
활염을 만들던 삼산면 = 659
부내복종(府內福鍾) = 660
천리성의 애화 = 665
와달리의 용굴 = 669
천 명을 먹여 살릴 구라(救羅) = 670
별망성과 별초무 = 671
배다리 = 673
수유리 = 674
설내(써랫말) = 675
수현 = 676
배다리 = 677
굴을 따지 않는 날 검디통 = 678
[4]현지조사1-동해안
Ⅰ. 강원도
1. 강릉시 = 11
2. 동해시 = 73
3. 삼척시 = 81
4. 양양군 = 102
5. 북강원도 고성군 삼일포 매향비 = 191
Ⅱ. 경상북도
1. 경주시 = 197
2. 울릉군 = 229
3. 울진군 = 317
Ⅲ. 울산광역시
1. 울주군 = 353
[5]현지조사2-서해안
Ⅰ. 인천광역시
1. 강화군 = 11
1) 강화군 길상면 동림동 꽃향나무당제 = 11
2)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 곶창굿 = 34
3) 강화군 교동면 해양 민속 = 65
4) 강화군 교동면 부군당제 = 78
5) 강화군 교동면 사신당제 = 84
6) 강화군 교동면 읍내리 산단제 = 103
7)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풍어제 = 132
8) 강화군 화도면 내리 후포 당굿 = 162
Ⅱ. 전라남도
1. 영광군 = 181
1) 영광군 법성면 입압리 매향비(埋香碑) = 181
Ⅲ. 전라북도
1. 고창군 = 197
1) 고창군 심원면 고전리 고인돌 = 197
2)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 당산제와 영신당제 = 199
3)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 영신당제 = 209
2. 부안군 = 235
1) 부안군 계화면 당산리 당산제 = 235
2) 부안군 계화면 궁안리 당산(雙鳥石竿)제 = 239
3) 부안군 계화면 창북리 당산제 = 253
4) 부안군 계화면 돈지마을 당산제 = 267
5) 부안군 벽산면 격포리 수성당제 ① = 276
6) 부안군 벽산면 격포리 수성당 ② = 301
7) 부안군 위도면 띠뱃놀이 ① = 309
8) 부안군 위도면 치도리 당산제 ① = 404
9) 부안군 위도면 치도리 당산제 ② = 416
10) 부안군 위도면 치도리 내원암 = 424
11) 부안군 위도면 설화와 민속 = 439
12) 부안군 위도면 위도 띠뱃놀이 ② = 459
13) 부안군 진서면 진서리 구진마을 당산제 = 487
14) 부안군 진서면 곰소마을 역사와 민속 = 495
15) 부안군 위도면 상왕등도 산신제 = 511
Ⅳ. 충청남도
1. 당진군 = 525
1)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안섬 풍어당굿 = 525
[6] 현지조사3-남해안
Ⅰ. 경상남도
1. 거제시 = 13
1) 거제시 동부면 수산마을 별신굿 = 13
2) 거제시 거제면 오수리 죽림마을 별신굿 = 21
3) 거제시 일운면 와현리 서불 관련 설화 = 46
2. 김해시 = 53
1) 김해시 구산동 김수로왕과 허왕후 관련 설화 = 53
2) 김해시 해은사 소장 김수로왕과 허왕후 영정 = 69
3) 김해시 삼안동 초선대 = 75
3. 남해군 = 80
1)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노량마을 당산제 = 80
2) 남해군 남면 선구리 줄끗기와 동제 = 96
3) 남해군 남면 홍현리 가천마을 미륵불 = 123
4) 남해군 이동면 화계리 배선제 = 135
5) 남해군 창선면 진동리 적량마을 국사당제 = 154
6)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석각 = 166
4. 진해시 = 179
1) 진해시 연도동 연도 당제 = 179
2) 진해시 웅천동 괴정마을 당산제 = 203
3) 진해시 수도동 수도마을 당산제 = 214
5. 통영시 = 233
1)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죽도 별신굿 = 233
Ⅱ. 전라남도
1. 신안군 = 283
1) 신안군 중도면 우전리 신당산 당제 = 283
2) 신안군 지도면 사옥도 당촌 당제와 돌장승 = 289
2. 여수시 = 297
1) 여수시 설화와 민속 = 297
2) 여수시 돌산읍 군내리 본산제당(영위당) = 308
3) 여수시 남면 횡간리 당제와 관왕묘 = 320
4) 여수시 여서동 텃골 당제 = 332
3. 영암군 = 338
1)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정원명석비(貞元銘石碑) = 338
2) 영암군 서호면 엄길리 암각매향비(岩刻埋香碑) = 354
3) 영암군 미암면 채지리 매향비(埋香碑) = 356
4) 영암군 시종면 옥야리 남해당(南海堂) = 358
4. 완도군 = 375
1)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 당제 = 35
2) 완도군 청산면 풍어제 = 386
3) 완도군 청산면 당리 당제 = 392
4) 완도군 청산면 지리 당제 = 414
5) 완도군 청산면 국화리 배굿 = 429
6) 완도군 청산면 도청리 민속과 초분 = 434
7) 완도군 완도읍의 당제 = 447
5. 진도군 = 455
1) 진도군 고군면 석현리 장승제 = 455
2) 진도군 고군면 벽파리 할아버지당 = 457
3)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 신당 ① = 466
4)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 신당 ② = 471
5) 진도군 고군면 회동리 뽕할머니영당 = 475
6) 진도군 고군면 원포리 하율 돔바우 = 481
7) 진도군 고군면 원포리 하율 당제 = 484
8) 진도군 고군면 원포리 할아버지당 = 489
9) 진도군 고군면 연동리 선돌(샘)제 = 498
6. 해남군 = 501
1) 해남군 마산면 맹진리 매향비(埋香碑) = 501
2) 해남군 송호면 당하리 갈산마을 당산 = 507
Ⅲ. 제주도
1. 남제주군 = 531
1) 남제주군 성산읍 온평리 혼인지(婚姻池)와 연혼포 = 531
2) 남제주군 성산읍 시흥리 하로산당 = 534
2. 북제주군 = 539
1) 북제주군 조천읍 조천리 영등굿 = 539
2) 북제주군 조천읍 신흥리 방사탑 = 546
3) 북제주군 조천읍 와흘리 본향당 = 556
4) 북제주군 구좌읍 덕천리 본향당 = 559
5) 북제주군 한경면 용수리 방사탑 = 561
6) 북제주군 한경면 용수리 해녀 민속 = 574
3. 서귀포시 = 580
1) 서귀포시 하원동 법화사 = 580
2) 서귀포시 하원동 대포리 해녀당 = 589
4. 제주시 = 596
1) 제주도 무신궁(巫神宮) = 596
2) 제주시 이도 1동 삼성혈(三姓穴) = 600
3) 제주시 화북 1동 삼사석(三射石) = 602
4) 제주시 삼양 1동 당산제 = 604
5) 제주시 월평동 다라쿳당 = 610
Ⅰ. 신앙 내용
1. 삼국사기 = 23
2. 삼국유사 = 46
3. 고려사 = 62
4. 세종실록 오례의 = 98
5. 신증동국여지승람 = 194
Ⅱ. 제문 · 축문
1. 동국이상국집 = 277
2. 동문선 = 325
3. 修堂集 8 제문 = 352
4. 순암선생문집 20 제문 = 355
5. 양촌선생문집 23 제문류 = 364
6. 연려실기술 별집 4 사전전고 = 371
7. 완당전집 7 제문 = 384
8. 잠곡유고 = 386
9. 증정교린지 4 지 = 400
10. 춘정집 11 제문 = 405
11. 해행총재 - 해사일기 제문 = 426
12. 홍재전서 = 431
Ⅲ. 기타
1. 선화봉사고려도경 = 467
[2] 문헌설화편-1
1. 인물 관련 이야기
장보고의 청해진 = 17
장보고와 해상왕국 = 28
서산대사가 얻은 연적의 신통력 = 30
용와 아들 가르친 율곡선생 = 36
용왕 아들을 가르친 율곡 = 39
이율곡과 은복개 = 42
퇴계선생과 해인 = 52
용궁에서 가져온 해인 = 52
용궁에서 가져온 해인 = 57
용궁의 신비 · 지상의 기적-해인을 얻은 가야산 산로 = 62
선돌목 이야기 = 69
고향에 간 선돌이 = 71
손돌목 = 74
손돌공 진혼제 = 79
선돌이 죽은 선돌목가 터진개 = 81
선돌이 억울하게 죽은 선돌목 = 83
손돌목 전설: 채록대로 표기 = 85
손돌목 이야기: 채록대로 표기 = 86
선들이 추위: 채록대로 표기 = 87
선돌이 억울하게 죽은 선돌목 = 89
임경업 장군 전설 = 90
임경업 장군 일화 = 92
임경업 장군 이야기 = 94
연평도 조기잡이 = 97
조기 잡는 법을 가르쳐준 임 장군 = 101
임경업 장군을 모신 곶창산 = 103
가시나무로 조기잡은 임경업 장군 = 104
볼음도 이름지은 임경업 장군 = 105
부적 던져 민어 잡은 임경업 = 106
가시나무로 조기 잡은 임경업 = 107
임경업 장군 전설 = 108
임경업장군 일화: 채록대로 표기 = 110
가시나무로 조기 잡은 임경업 = 111
소강절과 동해용왕 = 112
박장군 전설 = 117
이토정(1) = 120
부처님 공양한 덕에 천자가 된 사람 = 122
당태종의 회생 = 132
가뭄에 비 내리고 천벌받은 용왕 아들 = 138
현종과 남해당(시종면 옥야리 남해포) = 142
계명당(시종면 와우리) = 145
김완장군과 몽해(서호면 몽해리) = 147
<짚은 모실> 노래와 왕녀 신화 = 150
수로부인 = 153
수로부인 = 155
중국사신을 혼내준 뱃사공 = 157
석씨의 시조 = 160
선문대할망 = 162
설문대할망 = 166
설문대 할망 = 168
설문대 하루방과 설문대 할망 = 170
설문대 할망 = 172
산호해녀 = 174
강장군의 행패 = 176
처용랑 = 178
처용랑과 역신에 얽힌 전설 = 180
처용설화 = 189
두모오 = 190
해공의 전설 = 191
세 해공의 전설 = 200
울릉도 심청이 = 209
안용복 장군 = 210
하늘사람 = 212
태하의 배성삼 = 215
용녀의 맵시 = 219
우해왕과 풍미녀 = 223
우민 선생의 사해용왕 퇴치 = 225
용왕의 아들과 선녀의 사랑 = 227
용왕의 아들과 선녀의 사랑 = 233
조부자의 거북사위 = 239
효열리 = 246
수토기담 = 248
신숙주와 청의동자 = 249
신숙주와 청의동자 - 양주의 시둔면 = 254
장사 홍맹룡 = 262
열녀 정부인 김씨 = 264
용왕 아들 삼형제 = 265
용왕황제국 말재딸애기 = 270
심술궂은 강선장 = 276
남선비 = 278
소천국과 백주 = 287
영등대왕 = 293
영등할망 = 295
태자 괴뇌깃도 = 296
서불과 불사약 = 301
서시과차문자 = 302
성삼문이 시로 대국학자를 쫓아보내다 = 303
오돌또기와 김복수 = 304
탐라국의 열녀 - 제주 열녀정문 = 309
돌아오지 않는 강 - 금해 김씨, 허씨 = 314
왕등도의 전씨 = 321
실수로 청룡을 쏜 궁사 = 323
허미수의 신통력 = 326
아기장수와 백마 = 333
구렁덩덩 서선비(2) = 335
신의없는 어부와 도깨비 = 341
표선의 백사장 = 342
고종달 = 343
유골에 묻어준 어부 = 346
알에서 태어난 임금 = 348
추씨의 시조 = 351
낭간 비구니 = 354
육지가 바다로 된 가청이 = 357
거무역리 = 359
신무왕의 화룡 멸적 = 361
내초도 김돈시굴 = 362
방씨의 일기 = 365
인황 구하는 동해 용왕을 재치로 이긴 사또 = 366
아들 억에 용왕 된 아버지 = 370
용왕의 병 고치고 침을 얻다 = 381
용왕의 딸과 소금장사 = 385
운수선생과 용왕 = 391
박동과 용녀 = 398
바닷속의 엽전 = 401
서천 서해궁에서 얻은 보물 = 402
인어를 구해서 자손이 흥했다는 도초도 명씨 = 405
용왕의 병을 고친 이야기 = 408
수궁 벼슬한 의원 = 409
대마-골 = 412
두 용의 해후 = 414
해적들의 퇴치 = 421
삼성혈 = 423
삼성혈에 얽힌 전설 = 426
삼성시조 = 431
망부석 = 433
압해송장수 = 434
"가실 가실" 만난 사랑 = 436
태하의 배성삼 = 439
용녀 = 442
연오랑과 세오녀 = 445
무왕의 화룡정점 = 447
문무왕릉과 감은사 = 449
청백리 이약동 = 454
해적을 토벌한 오돌래
김완장군과 몽해 = 458
보길도의 신선 윤선도 = 461
고운선생과 우이도 상산봉 = 464
서방여의 탑상골 = 465
심청이 살아난 연봉바위 = 467
비단에 싸여 살아난 심청 = 470
연꽃을 타고 돌아온 심청 = 475
용왕이 살려준 심청 = 480
심청이 살아난 연화리 = 487
율도를 개간시킨 조중봉 = 489
백령도와 거타지 = 491
새우잡던 오두어화와 권율 장군 = 493
2. 바위 관련 이야기
배바위 = 497
비 내려주는 탯돌 = 498
송장바위 = 499
송장바위2 = 500
천등산 굴껍질 = 502
용왕신과 원숭이 바위 = 503
죽도의 마고할미 돌 = 504
죽도의 마고할미 돌 = 507
약산동대의 거북바위 = 510
용선바위와 거북바위 = 511
용선바위와 거북바위 = 513
거북바위(조도) 전설 = 515
거북바위 = 516
용암수의 용바위와 거북바위 = 517
절부암 = 518
두견새 우는 절부암 = 520
절부암 = 528
절부암(2) = 531
절부암 = 534
절부암의 사연 = 536
배바위와 철불 = 539
애바위에 얽힌 한 = 540
날씨 알리는 노는 바위 = 542
예언하는 바위 = 544
금구도와 마당바위 = 546
선장바위 유래 = 547
씹바위 이야기 = 548
댕바위와 용굴 = 549
낙화암과 홍상도 = 550
촛대바위는 효녀바위 = 552
촛대바위 = 554
구멍바위 = 556
삼선암의 유래(왕자와 미녀) = 557
삼도사 바위 = 563
삼도사의 바위 = 570
용녀와 곡성바위 = 577
윤웅바위 = 584
가리 바위 = 587
용굴올레 = 588
용난굴과 학바위(1) = 594
용난굴과 학바위(2) = 595
마고할미 고쟁이 말린 바위 = 597
죽도의 마귀할미 돌 = 598
할미바위와 할아비바위 = 601
거아도의 탑할머니 = 603
솟방우 = 605
장사 바위의 전설 = 606
대왕암과 감은사 = 612
월성 바위의 유래 = 615
노고바위 전설 = 618
온 식구가 굳어진 노구암 = 619
노인과 이심이 = 620
용두암 = 622
용머리 바위 = 623
죽도의 용바위 전설 = 627
애바위에 얽힌 한 = 628
는들바위와 아기장수 = 630
떨걱바위 = 633
피바위(2) = 635
흑산피바위 = 637
용궁 = 638
사신의 등선로였던 병풍바위 = 639
바다로 뛰쳐나간 독바위 = 641
물에 빠져죽으려 한 독바위 = 642
흑산진리 꼼돌바위 = 643
섬마을의 애환을 담은 효성의 탈상바위 = 644
해적섬과 탈상바위 = 646
용녀 바위 = 648
죽산의 삼형제 바위 = 651
화상암 = 654
갓바위의 유래 = 655
고하도의 탕건바위 = 658
백도 매바위 = 660
꽁돌바위와 피밧다랭이 = 661
안좌도 벼락바위 = 662
옛날 장수가 있었던 자리 = 665
화장새가 혈서를 썼다는 암벽 = 667
원순제와 소청도 분바위 = 66
호구암과 대부도의 개 = 670
사기리 함허동천과 각시바위 = 671
누명 쓴 각시가 죽은 각시바위 = 672
꽁무니가 바다로 향한 말바위 = 675
갓바위 = 676
형제바위 = 679
빈섬과 독수리바위 = 682
[3] 문헌설화편-2
1. 비석 관련 이야기
척주동해비(陟洲東海碑) = 21
삼보 퇴한비 = 23
퇴조비(退韓碑)의 유래 = 25
열녀비 = 29
백이숙제(伯夷叔薺)의 비(碑) = 31
2. 동물 관련 이야기
앓던 이가 문어가 되다 = 39
문어 때문에 생긴 오해 = 40
문어가 된 역졸 = 44
문어가 된 90노인 = 45
홍련암의 지킴이 문어 = 46
댓섬 앞바다의 문어 = 47
하늘로 간 용 = 48
하늘로 간 용(龍) = 49
쌍화도(雙和島)의 두 마리 용 = 50
청룡(靑龍)과 황룡(黃龍)이 이끈 배 = 60
뱀 이야기 = 66
모산도와 죽도의 구렁이 = 68
반동화구멍과 구렁이 = 70
형제도의 구렁이 = 72
은혜갚은 뱀과 노루 = 78
대청도 이무기와 소청도 이무기의 만남 = 80
러시아 군함에 붙은 지네 = 81
노서아(露西亞) 군함에 붙은 지네 = 81
용궁왕자 자라의 보은 = 84
처녀방에 드나든 거북 - 채(蔡)씨의 시조 = 89
토끼와 별주부(鼈主簿) = 97
구멍바위의 가오리 = 103
명태의 유래 = 104
물고기가 병신이 된 유래 = 107
은혜 갚은 숭어 = 111
영광 굴비의 유래 = 113
대마골의 철마 = 116
명주고등 = 120
남생이 덕(德)을 본 구동 = 122
3. 식물 관련 이야기
동백꽃의 사연 = 129
馬梁(마량)의 ?栢꽃 = 132
귤나무의 유래 = 136
향기(香氣) 그윽한 횡간도(橫看島)의 풍란(風蘭) = 138
김(海苔)의 내력 = 139
효자암(孝子岩)과 팽나무 = 142
4. 섬 관련 이야기
비비각시섬의 유래 = 147
비비각시 = 150
비비각시 섬 = 153
서리섬이라는 명칭의 유래 = 154
비양도(飛揚島) = 156
치도-리(雉島里) = 157
형제섬의 전설 = 158
댓섬의 신비 = 159
댓섬의 신비(神秘) 가산도 = 165
동해의 밀물에 죽도의 서엽은 - 울능도의 세 해공(海公) = 170
독도 = 178
이덕도(二德島) = 179
비양도 이야기(Ⅰ) = 180
가파도 아기업개 = 182
호 종단(胡宗旦)과 차귀섬〔遮歸島〕 = 184
호종단과 차귀섬에 얽힌 전설 = 186
이어도 = 189
꽃섬의 비원 = 192
안면도가 섬이 된 까닭(1) = 199
안면도가 섬이 된 까닭(2) = 201
고드래 섬 = 202
우양호사로 둘러싸인 제주도 = 203
자루바가지 섬 = 204
태종대(太宗台)앞의 주전자 섬 = 205
주전자섬의 금기 = 207
삼학도(三鶴島)에 얽힌 사랑의 전설 = 208
삼학도(三鶴島)의 내력 = 214
어청도(於靑島)의 유래 = 217
간월도 = 219
갈남의 지형과 월미도 = 222
계화도의 유졸 = 223
계화도와 전간제 = 225
용도 이야기 = 228
불무섬 = 229
유재섬 = 230
섬이었던 화도 = 231
화도(花島)의 미녀(美女) = 232
장산태이용추 = 233
장군도(將軍島)를 두고 다투는 3용(龍) = 234
장군도(將軍島) = 238
오동(오동)열매를 따먹으러 봉황새 드나든 곳 = 239
오동도(梧桐島)의 내력 = 243
나불도(羅佛島) = 244
쌍도와 삼형제 = 246
유부도(有父島)와 유자도(有子島)의 사랑 = 249
씨름으로 결판을 낸 칠기도(七岐島) = 252
가난한 사람 위해 야산도 개간 = 254
씨름판에서 임자가린 칠기도(七岐島) = 257
말모섬(望山島)과 쪽박섬(石舟섬) = 259
묘도의 전설 = 260
백도(白島)의 유래 = 261
거문도(巨文島) = 262
남양(南洋)에서 떠온 가막섬 = 263
비라도와 최총각 = 265
가지(可之) 마을과 허사도(許沙島)의 유래 = 267
후궁(後宮)에게 하사한 나발섬(羅佛島) = 273
가지도 = 275
각씨도 = 276
관매도(觀梅島)의 경관전설 = 277
가사군도(加沙群島)의 지명전설 = 279
팔금도 유래 = 280
노파도 = 281
약산의 삼개문 = 282
제부도의 유래 = 283
남경도의 지명유래 = 284
형도의 탑과 오리섬 = 285
만경원 둑과 낭섬의 유래 = 286
백령도 = 288
추방된 선비가 사랑을 이룬 백령도 = 289
흰새가 사랑을 이어주었다는 '백령도' = 291
백령도 = 292
신향이와 대청도 = 293
대청리 = 295
작약도 = 296
신도(信島)리 = 297
쌍오도 = 298
비졸도와 최어부 = 301
5. 바다 관련 이야기
칠산바다 = 305
칠산(七山) 바다의 내력 = 309
한진 바다 터진 이야기 = 314
바닷물이 짠 이유 = 316
바닷물이 짠 이유 = 319
바닷물이 짠 이유 = 324
바닷물이 짠 까닭 = 325
바닷물이 짠 이유 = 326
바닷물이 짠 내력 = 327
바닷물이 짠 이유 = 329
용연(龍淵)의 전설 = 331
황금바다 = 336
용해 = 339
이해(샘바다)의 전설 = 342
채석강(전라북도 기념물 제28호) = 343
바다가 우는 소리 = 344
배들어오던 해랑 = 345
바다였던 개건너 = 346
바다였던 하도리 = 347
고기가 많이 모이던 어두마을 = 348
돌산(突山)의 무술목(戊戌項) = 349
목질의 전설 = 352
신비(神秘)의 해구(海丘) = 353
강강술래터 = 354
궁살 = 357
주교리(珠橋里)의 유래 = 358
송교리 인근의 지명유래 = 359
살곶이의 지명유래 = 360
부뚜감의 발견 유래 = 362
송산면(松山面)ㆍ남경도ㆍ마산포의 지명유래 = 363
미나 잡던 미나펄 = 364
배운벌 유래 = 365
6. 산 관련 이야기
조산(造山)의 傅說 = 369
선녀부용(仙女芙蓉)이 놀다간 해망산(海望山) = 371
대마도주등(對馬島主嶝) = 372
성인봉의 산삼 = 376
갈미봉 = 380
대풍령 = 381
대풍령 = 382
배재 = 383
임금봉 = 384
뱀이 용으로 승천한 테두리산 = 385
만리에서 떠 들어온 마리산 = 386
압해효지 굴박산 = 387
우이도 상산봉 = 388
고이리 왕산 = 389
군산(軍山) = 391
용머리 = 394
회룡산과 가무작지 = 395
국수봉의 불사약 = 396
7. 포구 관련 이야기
장지포 이야기 = 399
보은 이야기 = 402
현포(玄圃) = 405
고포(姑浦)마을 = 407
전포(錢浦)마을의 유래 = 408
용당포의 전설 = 411
포구였던 선두리 = 413
배 다니던 선두포 = 414
조구나루(일명 조공진, 租貢津) = 415
고포리와 마산포의 전설 = 416
두 용이 싸우던 용기포 = 417
두 용이 싸우던 '용기포' = 418
8. 사찰 관련 이야기
용궁사 유래 = 421
용궁사 돌부처 = 424
용궁사의 돌부처 = 427
옥부처 이야기 = 430
오대산 문수사 석탑(五台山 文殊寺 石塔) = 432
문수사(文殊寺) 석탑기(石塔記) = 433
정암사(淨岩寺) 수마노탑(水瑪瑙塔) 전설 = 435
망해암 = 442
부석(浮石)과 부석사(浮石寺) = 444
해인사(海印寺)의 유래 = 447
낙산사(洛山寺)의 내력 = 453
어부들이 낚은 보문사 불상 = 463
선암사의 꿈 = 464
명월사(明月寺)의 흥망(興亡) = 466
돌미륵과 칠산(七山)의 바다 = 471
9. 해신당 관련 이야기
풍어 기원제 = 477
풍어기 이야기 = 479
안인 해랑사 = 481
해랑사의 풍어제 = 484
해령사의 여신 = 485
해령사의 여신(海靈祠 女神) = 486
안인진(安仁津)의 해랑당(海浪堂) = 487
해랑사의 풍어제(海浪祠 豊漁祭) = 488
해랑당 신 = 490
해령사(海靈祠)의 전설 = 492
해랑당(海浪堂)에 얽힌 전설 = 494
주문진 진이(眞伊) 성황 = 498
진이 서낭당 유래 = 503
소돌의 지형과 서낭당신 = 505
태하의 신 = 508
또 다른 이야기 = 518
울릉도의 성황당 = 521
성하신당(聖霞神堂) = 523
태하동 성황당 = 525
진리당 이야기 = 528
흑산도(黑山島)의 각시당 = 530
흑산진리처녀당 = 532
해신당(海神堂)과 농신당(農神堂) = 534
숲섬(森島)의 여드렛당 = 536
곶창굿 하던 치군터 = 540
외포리 곶창군 = 541
곶창굿하던 고창마을 = 543
볼음도 풍어제 = 544
인화리 풍어제와 산신제 = 547
남해당 제(祭) = 549
남해당 제(南海堂 祭) = 551
벽파정당 할아버지 = 553
벽파정 당할아버지의 영험 = 555
무민사(武愍祠) = 557
고돌산진(古突山鎭)의 벅수 = 558
횡간도의 관우묘 = = 561
안마도(鞍馬島) 당산봉(堂山峰) = 564
벼락재의 기우제 = 566
굴포 간척지와 堂祭 = 568
당신(堂神)의 영험(靈驗) = 569
성곡동 잿머리 성황제 = 571
당제산의 유래 = 574
탑제ㆍ왕진물ㆍ한우물의 유래 = 575
고사 지낸 이야기 = 576
숫총각을 제물로 받는 해신 = 577
숫총각을 제물로 받는 해신(海神) = 579
용의 승천과 용신제 = 581
용의 승천과 용신제 = 582
당개의 서낭당 = 583
임금님이 하사한 '당개의 성황당' = 585
참대통을 타고 온 서낭신 = 586
참대통을 타고 온 서낭신 = 588
수성당의 개양할미 = 589
10. 기타(제방, 동굴, 도깨비, 귀신 이야기 등)
용수동 제방 건설 = 593
용수동 제방 전설 = 595
원안둑(元安堰)과 중(?) = 596
할배대접 = 600
배성주 제사 = 602
배성주신 유래 = 603
진수식 전설 = 606
표류 시체 = 608
살아 있는 주검 = 610
바다 위의 상여 = 611
자비굴 = 613
외다리의 용굴 = 616
용굴 = 617
비련(悲戀)의 동굴 = 618
후포(厚浦)의 용치굴 = 625
용화리 용굴 = 626
헛것 = 627
황토구미 = 628
또깨불 이야기 = 629
동해 용왕신 이야기 = 630
산호수(珊瑚樹)와 마마신[痘神] = 632
이중탕(理中湯) = 637
목포(木浦)의 병귀신 = 638
처녀 원혼의 보답 = 646
그물 귀신 = 648
그물 귀신 = 650
등대귀신 전설 = 652
자은용추 = 653
비금용소 = 654
태이용추 = 655
습지였던 지레마을 = 657
뱃짐을 풀던 진따배기 두곡 = 658
활염을 만들던 삼산면 = 659
부내복종(府內福鍾) = 660
천리성의 애화 = 665
와달리의 용굴 = 669
천 명을 먹여 살릴 구라(救羅) = 670
별망성과 별초무 = 671
배다리 = 673
수유리 = 674
설내(써랫말) = 675
수현 = 676
배다리 = 677
굴을 따지 않는 날 검디통 = 678
[4]현지조사1-동해안
Ⅰ. 강원도
1. 강릉시 = 11
2. 동해시 = 73
3. 삼척시 = 81
4. 양양군 = 102
5. 북강원도 고성군 삼일포 매향비 = 191
Ⅱ. 경상북도
1. 경주시 = 197
2. 울릉군 = 229
3. 울진군 = 317
Ⅲ. 울산광역시
1. 울주군 = 353
[5]현지조사2-서해안
Ⅰ. 인천광역시
1. 강화군 = 11
1) 강화군 길상면 동림동 꽃향나무당제 = 11
2)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 곶창굿 = 34
3) 강화군 교동면 해양 민속 = 65
4) 강화군 교동면 부군당제 = 78
5) 강화군 교동면 사신당제 = 84
6) 강화군 교동면 읍내리 산단제 = 103
7) 강화군 내가면 황청리 풍어제 = 132
8) 강화군 화도면 내리 후포 당굿 = 162
Ⅱ. 전라남도
1. 영광군 = 181
1) 영광군 법성면 입압리 매향비(埋香碑) = 181
Ⅲ. 전라북도
1. 고창군 = 197
1) 고창군 심원면 고전리 고인돌 = 197
2)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 당산제와 영신당제 = 199
3) 고창군 해리면 동호리 영신당제 = 209
2. 부안군 = 235
1) 부안군 계화면 당산리 당산제 = 235
2) 부안군 계화면 궁안리 당산(雙鳥石竿)제 = 239
3) 부안군 계화면 창북리 당산제 = 253
4) 부안군 계화면 돈지마을 당산제 = 267
5) 부안군 벽산면 격포리 수성당제 ① = 276
6) 부안군 벽산면 격포리 수성당 ② = 301
7) 부안군 위도면 띠뱃놀이 ① = 309
8) 부안군 위도면 치도리 당산제 ① = 404
9) 부안군 위도면 치도리 당산제 ② = 416
10) 부안군 위도면 치도리 내원암 = 424
11) 부안군 위도면 설화와 민속 = 439
12) 부안군 위도면 위도 띠뱃놀이 ② = 459
13) 부안군 진서면 진서리 구진마을 당산제 = 487
14) 부안군 진서면 곰소마을 역사와 민속 = 495
15) 부안군 위도면 상왕등도 산신제 = 511
Ⅳ. 충청남도
1. 당진군 = 525
1)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안섬 풍어당굿 = 525
[6] 현지조사3-남해안
Ⅰ. 경상남도
1. 거제시 = 13
1) 거제시 동부면 수산마을 별신굿 = 13
2) 거제시 거제면 오수리 죽림마을 별신굿 = 21
3) 거제시 일운면 와현리 서불 관련 설화 = 46
2. 김해시 = 53
1) 김해시 구산동 김수로왕과 허왕후 관련 설화 = 53
2) 김해시 해은사 소장 김수로왕과 허왕후 영정 = 69
3) 김해시 삼안동 초선대 = 75
3. 남해군 = 80
1)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노량마을 당산제 = 80
2) 남해군 남면 선구리 줄끗기와 동제 = 96
3) 남해군 남면 홍현리 가천마을 미륵불 = 123
4) 남해군 이동면 화계리 배선제 = 135
5) 남해군 창선면 진동리 적량마을 국사당제 = 154
6)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석각 = 166
4. 진해시 = 179
1) 진해시 연도동 연도 당제 = 179
2) 진해시 웅천동 괴정마을 당산제 = 203
3) 진해시 수도동 수도마을 당산제 = 214
5. 통영시 = 233
1)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죽도 별신굿 = 233
Ⅱ. 전라남도
1. 신안군 = 283
1) 신안군 중도면 우전리 신당산 당제 = 283
2) 신안군 지도면 사옥도 당촌 당제와 돌장승 = 289
2. 여수시 = 297
1) 여수시 설화와 민속 = 297
2) 여수시 돌산읍 군내리 본산제당(영위당) = 308
3) 여수시 남면 횡간리 당제와 관왕묘 = 320
4) 여수시 여서동 텃골 당제 = 332
3. 영암군 = 338
1)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정원명석비(貞元銘石碑) = 338
2) 영암군 서호면 엄길리 암각매향비(岩刻埋香碑) = 354
3) 영암군 미암면 채지리 매향비(埋香碑) = 356
4) 영암군 시종면 옥야리 남해당(南海堂) = 358
4. 완도군 = 375
1)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 당제 = 35
2) 완도군 청산면 풍어제 = 386
3) 완도군 청산면 당리 당제 = 392
4) 완도군 청산면 지리 당제 = 414
5) 완도군 청산면 국화리 배굿 = 429
6) 완도군 청산면 도청리 민속과 초분 = 434
7) 완도군 완도읍의 당제 = 447
5. 진도군 = 455
1) 진도군 고군면 석현리 장승제 = 455
2) 진도군 고군면 벽파리 할아버지당 = 457
3)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 신당 ① = 466
4) 진도군 임회면 굴포리 신당 ② = 471
5) 진도군 고군면 회동리 뽕할머니영당 = 475
6) 진도군 고군면 원포리 하율 돔바우 = 481
7) 진도군 고군면 원포리 하율 당제 = 484
8) 진도군 고군면 원포리 할아버지당 = 489
9) 진도군 고군면 연동리 선돌(샘)제 = 498
6. 해남군 = 501
1) 해남군 마산면 맹진리 매향비(埋香碑) = 501
2) 해남군 송호면 당하리 갈산마을 당산 = 507
Ⅲ. 제주도
1. 남제주군 = 531
1) 남제주군 성산읍 온평리 혼인지(婚姻池)와 연혼포 = 531
2) 남제주군 성산읍 시흥리 하로산당 = 534
2. 북제주군 = 539
1) 북제주군 조천읍 조천리 영등굿 = 539
2) 북제주군 조천읍 신흥리 방사탑 = 546
3) 북제주군 조천읍 와흘리 본향당 = 556
4) 북제주군 구좌읍 덕천리 본향당 = 559
5) 북제주군 한경면 용수리 방사탑 = 561
6) 북제주군 한경면 용수리 해녀 민속 = 574
3. 서귀포시 = 580
1) 서귀포시 하원동 법화사 = 580
2) 서귀포시 하원동 대포리 해녀당 = 589
4. 제주시 = 596
1) 제주도 무신궁(巫神宮) = 596
2) 제주시 이도 1동 삼성혈(三姓穴) = 600
3) 제주시 화북 1동 삼사석(三射石) = 602
4) 제주시 삼양 1동 당산제 = 604
5) 제주시 월평동 다라쿳당 = 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