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길 찾는 교사들에게 5
1부 대안적 교육을 꿈꾸며
1장 어떠한 교육이 삶을 변화시키는가 = 15
2장 세계 대안학교들과 그 교육사상적 동기들 = 21
2부 교사교육의 '자기양성 원칙'의 교육적ㆍ시대적 이유
1장 교육의 가치론적ㆍ교육적ㆍ시대적 배경 = 43
1. 인간관ㆍ세계관ㆍ교육관이라는 세 기둥
2. 교육의 모습
3. 시대의 변화와 교육의 대응
4. 미래사회와 교육적 대안의 두 가지 방향
2장 교사의 보편적 능력들 - 파카사 = 75
3부 대안교육 사상의 아홉 가지 범주
1장 자유와 공동체 = 86
1. 자유의 개념
2.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
3. 자유와 교육
4. 자유주의 교육과 공동체 교육
5. 학교 사례
6. 자유로운 공동체를 이끄는 교사교육
2장 사회ㆍ정치적 해방 = 121
1. 세 가지 사상적 전통과 교육실천 사례들
2. 사회ㆍ정치 안에서 교사교육하기
3장 전인성과 통섭적 연관 구조 = 154
1. 전체성과 다각적으로 보기
2. '교류' 교육과정과 '그물망' 교육과정
3. 전인적 교사교육
4장 종교와 영성 = 183
1. 자유 종교교육과 영성
2. 세 가지 유형의 자유 종교교육
3. 믿음의 교사
5장 자연과 우주적 전망에 기초한 생태학 = 209
1. 왜 생태주의인가
2. 생태주의의 의미
3. 교육에 있어서 생태주의 문제
4. 학교 사례 - 한국 대안교육 현장의 생태주의 교육
5. 생철학과 교사교육
6장 미와 예술 = 229
1. 과잉 속의 결핍
2. 예술교육의 원점
3. 감성과 인간의 성장
4. 예술교육의 전략
5. 예술교육과 감성적 교사교육
7장 손과 노작활동 = 253
1. 노동과 정신의 분리, 그리고 인간 삶의 소외
2. 노작교육의 주창자들과 학교 사례
3. 노작활동을 하는 교사
8장 작은 학교 = 286
1. 학교의 규모가 중요한 까닭
2. 작은 학교와 교육 효율성
3. 작은 학교의 가치와 특징
4. 학교 밖 학습 자원의 연계
5. 하틀랜드의 '작은 학교'와 '인간적인 규모의 교육'
6. 인간적 규모의 교사교육
9장 독창성과 토착화 = 318
1. '스승'에 대한 동양의 전통적 이해
2. 동양 전통의 '교학관'
3. 공자와 퇴계를 통해 배우는 교사의 자기양성
4. '서당'을 통해 본 전통교학의 실례
4부 대안적 교사대학 모형 탐색
1장 교육과정ㆍ교육 내용ㆍ교수-학습 체계 설계 = 385
1. 생명교육학적 접근
2. 사회적 능력
3. 민주시민의식
4. 종교적ㆍ영적 차원에서의 총체성
5. 미적ㆍ예술적 감수성
6. 문화적 능력
2장 학사 일정 운영 체제 설계 = 408
5부 길 찾는 교사들을 돕는 교(강)사들과 해야 할 남은 이야기 = 411
부록 = 431
1. 교사양성 교육과정 개혁에 관련된 사례 - 독일
2. 한국 대안학교 교사양성 교육과정 백서
3. 지식의 통섭에 대해
4.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
참고문헌 = 537
저자 소개 = 550
서문 길 찾는 교사들에게 5
1부 대안적 교육을 꿈꾸며
1장 어떠한 교육이 삶을 변화시키는가 = 15
2장 세계 대안학교들과 그 교육사상적 동기들 = 21
2부 교사교육의 '자기양성 원칙'의 교육적ㆍ시대적 이유
1장 교육의 가치론적ㆍ교육적ㆍ시대적 배경 = 43
1. 인간관ㆍ세계관ㆍ교육관이라는 세 기둥
2. 교육의 모습
3. 시대의 변화와 교육의 대응
4. 미래사회와 교육적 대안의 두 가지 방향
2장 교사의 보편적 능력들 - 파카사 = 75
3부 대안교육 사상의 아홉 가지 범주
1장 자유와 공동체 = 86
1. 자유의 개념
2.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
3. 자유와 교육
4. 자유주의 교육과 공동체 교육
5. 학교 사례
6. 자유로운 공동체를 이끄는 교사교육
2장 사회ㆍ정치적 해방 = 121
1. 세 가지 사상적 전통과 교육실천 사례들
2. 사회ㆍ정치 안에서 교사교육하기
3장 전인성과 통섭적 연관 구조 = 154
1. 전체성과 다각적으로 보기
2. '교류' 교육과정과 '그물망' 교육과정
3. 전인적 교사교육
4장 종교와 영성 = 183
1. 자유 종교교육과 영성
2. 세 가지 유형의 자유 종교교육
3. 믿음의 교사
5장 자연과 우주적 전망에 기초한 생태학 = 209
1. 왜 생태주의인가
2. 생태주의의 의미
3. 교육에 있어서 생태주의 문제
4. 학교 사례 - 한국 대안교육 현장의 생태주의 교육
5. 생철학과 교사교육
6장 미와 예술 = 229
1. 과잉 속의 결핍
2. 예술교육의 원점
3. 감성과 인간의 성장
4. 예술교육의 전략
5. 예술교육과 감성적 교사교육
7장 손과 노작활동 = 253
1. 노동과 정신의 분리, 그리고 인간 삶의 소외
2. 노작교육의 주창자들과 학교 사례
3. 노작활동을 하는 교사
8장 작은 학교 = 286
1. 학교의 규모가 중요한 까닭
2. 작은 학교와 교육 효율성
3. 작은 학교의 가치와 특징
4. 학교 밖 학습 자원의 연계
5. 하틀랜드의 '작은 학교'와 '인간적인 규모의 교육'
6. 인간적 규모의 교사교육
9장 독창성과 토착화 = 318
1. '스승'에 대한 동양의 전통적 이해
2. 동양 전통의 '교학관'
3. 공자와 퇴계를 통해 배우는 교사의 자기양성
4. '서당'을 통해 본 전통교학의 실례
4부 대안적 교사대학 모형 탐색
1장 교육과정ㆍ교육 내용ㆍ교수-학습 체계 설계 = 385
1. 생명교육학적 접근
2. 사회적 능력
3. 민주시민의식
4. 종교적ㆍ영적 차원에서의 총체성
5. 미적ㆍ예술적 감수성
6. 문화적 능력
2장 학사 일정 운영 체제 설계 = 408
5부 길 찾는 교사들을 돕는 교(강)사들과 해야 할 남은 이야기 = 411
부록 = 431
1. 교사양성 교육과정 개혁에 관련된 사례 - 독일
2. 한국 대안학교 교사양성 교육과정 백서
3. 지식의 통섭에 대해
4. 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
참고문헌 = 537
저자 소개 = 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