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5
제1장 일제강점기 교과서 연구의 대상과 방법 = 9
1. 들어가기 = 9
2. 연구 대상과 방법 = 10
3. 앞선 연구 = 14
제2장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교과서 정책 변천사 = 19
1. 들어가기 = 19
2. 교과서 정책 변천과 교과서 개발 실태 = 22
3. 나오기 = 69
제3장 조선어과 교과서 편찬사 = 71
1. 들어가기 = 71
2. 초등교육용 조선어과 교과서 편찬사 = 76
3. 중등 조선어과 교과서 편찬사 = 125
4. 마무리 = 145
제4장 조선어과 교과서 이데올로기와 광복 이후의 교과서에 끼친 영향 = 147
1. 머리말 = 147
2. 조선어과 교과서 이데올로기 = 148
3. 광복 이후의 교과서에 끼친 영향 = 171
4. 맺음말 = 80
참고문헌 = 183
참고자료 1: 일제강점기 교과서 편찬 관련 신문 보도자료 = 187
참고자료 2: 일제강점기 보통학교용 조선어과 교과서 단원분석표 = 265
참고자료 3: 일제강점기 중등학교(고보 여고보) 조선어과 단원분석표 = 304
참고자료 4: 조선어학회의 초등국어교본과 독본 비교분석표 = 320
참고자료 5: 조선어학회의 중등국어교본과 독본 비교분석표= 324
찾아보기 = 328
책을 펴내며 = 5
제1장 일제강점기 교과서 연구의 대상과 방법 = 9
1. 들어가기 = 9
2. 연구 대상과 방법 = 10
3. 앞선 연구 = 14
제2장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교과서 정책 변천사 = 19
1. 들어가기 = 19
2. 교과서 정책 변천과 교과서 개발 실태 = 22
3. 나오기 = 69
제3장 조선어과 교과서 편찬사 = 71
1. 들어가기 = 71
2. 초등교육용 조선어과 교과서 편찬사 = 76
3. 중등 조선어과 교과서 편찬사 = 125
4. 마무리 = 145
제4장 조선어과 교과서 이데올로기와 광복 이후의 교과서에 끼친 영향 = 147
1. 머리말 = 147
2. 조선어과 교과서 이데올로기 = 148
3. 광복 이후의 교과서에 끼친 영향 = 171
4. 맺음말 = 80
참고문헌 = 183
참고자료 1: 일제강점기 교과서 편찬 관련 신문 보도자료 = 187
참고자료 2: 일제강점기 보통학교용 조선어과 교과서 단원분석표 = 265
참고자료 3: 일제강점기 중등학교(고보 여고보) 조선어과 단원분석표 = 304
참고자료 4: 조선어학회의 초등국어교본과 독본 비교분석표 = 320
참고자료 5: 조선어학회의 중등국어교본과 독본 비교분석표= 324
찾아보기 = 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