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수학 교육 사상
1.1 수학의 교육적 가치 = 1
1.2 수학 교육 사상의 원류 = 8
1.3 수학 교육과 민주 사회의 합리성 추구 = 11
제2장 초등 수학 교육의 발달
2.1 산수 교육의 시작 = 21
2.2 19세기의 수학 교육 = 25
2.3 20세기 전반의 수학 교육 = 30
2.4 20세기 후반의 수학 교육 = 36
2.5 우리나라 초등 수학 교육의 발달 = 40
제3장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천
3.1 제1차 교육과정 : 생활 단원 학습 중심 = 47
3.2 제2차 교육과정 : 계통 학습 중심 = 49
3.3 제3차 교육과정 : 수학 교육의 현대화 = 52
3.4 제4차 교육과정 : 현대화의 반성, 문제 해결력 중시 = 55
3.5 제5차 교육과정 : 문제 해결력과 기초 학력 중시 = 60
3.6 제6차 교육과정 : 문제 해결력, 기초 기능의 중시, 컴퓨터의 활용 = 63
3.7 제7차 교육과정 : 학생 중심, 수준별 교육과정 = 66
3.8 2007년 개정 교육과정 = 70
제4장 자극-반응 이론과 수학학습
4.1 손다이크 : 효과의 법칙 = 76
4.2 스키너 : 강화 이론과 프로그램 학습 = 80
4.3 가네 : 학습 내용의 조직 = 86
제5장 통찰론과 수학학습
5.1 형태 심리학 = 97
5.2 베르트하이머 : 생산적 사고 = 100
5.3 수학에서의 발견 - 발명의 사고 과정 = 102
5.4 브라우넬 : 의미 충실한 수학 학습 = 108
제6장 발견 방법과 수학 학습
6.1 소크라테스 대화법 = 113
6.2 브루너 = 126
6.3 오수벨 = 134
제7장 구성주의 이론과 수학 학습
7.1 피아제 = 145
7.2 비고츠키 = 158
제8장 수학 학습 심리학
8.1 스켐프 = 171
8.2 디에네스 = 183
8.3 반힐 = 193
8.4 숀펠드 = 201
제9장 수학적 지식의 특성과 수학적 사고
9.1 수학적 지식의 특성 = 209
9.2 수학적 사고 = 214
9.3 수학 : 규칙성의 추구 = 219
9.4 수학적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 221
제10장 수학 학습부진아의 지도
10.1 수학 학습부진아의 개념 = 235
10.2 수학 학습부진의 요인 및 특성 = 237
10.3 수학 학습부진아의 진단 및 지도 절차 = 241
10.4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 원리 = 244
제11장 수학 영재 교육
11.1 수학 영재의 정의 = 249
11.2 수학 영재의 특성 = 252
11.3 수학 영재의 판별 = 253
11.4 수학 영재 프로그램 개발 및 지도 원리 = 256
제12장 교수 학습 매체의 활용
12.1 수학과 교수 학습 매체의 기능과 분류 = 263
12.2 수학과 교수 학습 매체 사용 시의 유의점 = 275
12.3 게임을 통한 수학 학습 = 277
제13장 수학적 문제 해결력의 신장
13.1 문제 해결력 강조의 배경 = 285
13.2 우리나라에서의 문제 해결 교육 = 286
13.3 문제 해결 과정의 4단계 = 288
13.4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 전략 = 289
13.5 문제의 유형 = 304
제14장 수학과 평가
14.1 수학과 평가의 의의 = 309
14.2 수학과 평가의 유형 = 314
14.3 수학과 평가의 내용 = 316
14.4 수학과 평가의 방법 = 329
14.5 수학 학습 평가를 위한 평가 도구 = 337
부록 = 347
찾아보기 = 383
제1장 수학 교육 사상
1.1 수학의 교육적 가치 = 1
1.2 수학 교육 사상의 원류 = 8
1.3 수학 교육과 민주 사회의 합리성 추구 = 11
제2장 초등 수학 교육의 발달
2.1 산수 교육의 시작 = 21
2.2 19세기의 수학 교육 = 25
2.3 20세기 전반의 수학 교육 = 30
2.4 20세기 후반의 수학 교육 = 36
2.5 우리나라 초등 수학 교육의 발달 = 40
제3장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천
3.1 제1차 교육과정 : 생활 단원 학습 중심 = 47
3.2 제2차 교육과정 : 계통 학습 중심 = 49
3.3 제3차 교육과정 : 수학 교육의 현대화 = 52
3.4 제4차 교육과정 : 현대화의 반성, 문제 해결력 중시 = 55
3.5 제5차 교육과정 : 문제 해결력과 기초 학력 중시 = 60
3.6 제6차 교육과정 : 문제 해결력, 기초 기능의 중시, 컴퓨터의 활용 = 63
3.7 제7차 교육과정 : 학생 중심, 수준별 교육과정 = 66
3.8 2007년 개정 교육과정 = 70
제4장 자극-반응 이론과 수학학습
4.1 손다이크 : 효과의 법칙 = 76
4.2 스키너 : 강화 이론과 프로그램 학습 = 80
4.3 가네 : 학습 내용의 조직 = 86
제5장 통찰론과 수학학습
5.1 형태 심리학 = 97
5.2 베르트하이머 : 생산적 사고 = 100
5.3 수학에서의 발견 - 발명의 사고 과정 = 102
5.4 브라우넬 : 의미 충실한 수학 학습 = 108
제6장 발견 방법과 수학 학습
6.1 소크라테스 대화법 = 113
6.2 브루너 = 126
6.3 오수벨 = 134
제7장 구성주의 이론과 수학 학습
7.1 피아제 = 145
7.2 비고츠키 = 158
제8장 수학 학습 심리학
8.1 스켐프 = 171
8.2 디에네스 = 183
8.3 반힐 = 193
8.4 숀펠드 = 201
제9장 수학적 지식의 특성과 수학적 사고
9.1 수학적 지식의 특성 = 209
9.2 수학적 사고 = 214
9.3 수학 : 규칙성의 추구 = 219
9.4 수학적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 221
제10장 수학 학습부진아의 지도
10.1 수학 학습부진아의 개념 = 235
10.2 수학 학습부진의 요인 및 특성 = 237
10.3 수학 학습부진아의 진단 및 지도 절차 = 241
10.4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 원리 = 244
제11장 수학 영재 교육
11.1 수학 영재의 정의 = 249
11.2 수학 영재의 특성 = 252
11.3 수학 영재의 판별 = 253
11.4 수학 영재 프로그램 개발 및 지도 원리 = 256
제12장 교수 학습 매체의 활용
12.1 수학과 교수 학습 매체의 기능과 분류 = 263
12.2 수학과 교수 학습 매체 사용 시의 유의점 = 275
12.3 게임을 통한 수학 학습 = 277
제13장 수학적 문제 해결력의 신장
13.1 문제 해결력 강조의 배경 = 285
13.2 우리나라에서의 문제 해결 교육 = 286
13.3 문제 해결 과정의 4단계 = 288
13.4 문제 해결을 위한 사고 전략 = 289
13.5 문제의 유형 = 304
제14장 수학과 평가
14.1 수학과 평가의 의의 = 309
14.2 수학과 평가의 유형 = 314
14.3 수학과 평가의 내용 = 316
14.4 수학과 평가의 방법 = 329
14.5 수학 학습 평가를 위한 평가 도구 = 337
부록 = 347
찾아보기 = 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