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1. 국어교육학과 한국어교육학의 통합성과 독자성
Ⅰ. 서론: 보편성과 특수성 = 15
Ⅱ. 국어교육학과 한국어교육학의 만남: 통합성 = 18
1. 탐구 영역 측면 = 19
2. 교육과정 내용 및 관련 학문 측면 = 23
Ⅲ. 국어교육학과 한국어교육학의 자립: 독자성 = 25
1. 법적 근거 측면 = 26
2. 교육 참여자 측면 = 29
3. 교육과정 설계 및 교재 개발 측면 = 33
Ⅳ. 결론: 국어교육학과 한국어교육학의 상호성 = 36
2.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전략 탐색
Ⅰ. 서론 = 41
Ⅱ. 교육과정의 위치와 주요 쟁점 = 44
1. 교육과정 위치 = 44
2.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 46
Ⅲ.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전략 = 51
1.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요인 = 51
2.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절차 = 53
3.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식과 내용 = 57
Ⅴ. 결론 = 61
3.『2007년 수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이해
Ⅰ. 서론 = 65
Ⅱ.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 67
1.『2007년 수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위치 = 67
2.『2007년 수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 72
Ⅲ. 국어과 교육과정「내용」영역의 개정 내용 = 77
1.「내용」영역의 체제 = 77
2.「내용 요소 체계」의 비판적 이해 = 78
3.「학년별 내용」의 비판적 이해 = 84
Ⅳ. 결론 = 88
4. 국어 교과서 개발을 위한 방향 탐색
Ⅰ. 서론 = 93
Ⅱ. 교과서의 개념과 기능 = 95
1. 교과서의 개념 = 95
2. 교과서의 위상과 기능 = 98
Ⅲ. 이상적인 교과서의 조건 = 105
Ⅳ. 국어 교과서의 개발 방향 = 113
1. 교과서의 위상과 기능 반영 = 114
2. 이상적인 교과서의 모습 반영 = 115
3. 국어 교과서의 비판적 분석 결과 반영 = 117
4. 국어 교과서 사용자의 의견 반영 = 120
Ⅴ. 결론 = 122
5. 학교 급별 국어교과서 단원 전개 방식 분석
Ⅰ. 서론 = 127
Ⅱ. 교과서 분석 방법 = 129
1. 교과서의 체제(體制) = 129
2. 분석의 틀 = 130
Ⅲ. 국어 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 분석 = 134
1.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 = 134
2. 중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 전개 방식 = 144
3.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 전개 방식 = 151
Ⅳ. 결론 = 160
6. 國語 授業의 言語活動 樣相 연구
Ⅰ. 序論 = 165
Ⅱ. 硏究 方法 = 166
1. 硏究 問題 = 166
2. 硏究 對象 = 167
3. 硏究 節次 = 169
4. 分析 基準 = 169
Ⅲ. 硏究 結果 = 172
1.「말하기ㆍ듣기」수업 = 176
2.「읽기」수업 = 183
Ⅳ. 要約 및 論議 = 189
7. 質問 活動에 대한 세 가지 觀點 고찰
Ⅰ. 序論 : 敎室 對話의 여러 양상과 질문 활동 = 193
Ⅱ. 思考過程과 協商過程이 없는 질문 활동에 대한 반성 = 195
1. 敎師 主導的 質問 活動 = 197
2. 敎師의 案內가 없는 질문 활동 = 199
3. 下位 水準의 思考만을 이끄는 질문 활동 = 201
Ⅲ. 質問하기의 세 觀點 = 203
1. 質問의 제1觀點:認知的 處理 = 204
2. 質問의 제2觀點:社會的 相互作用 = 208
3. 質問의 제3觀點:文化的 現象 = 212
Ⅲ. 結論 = 215
8. 읽기 수업에서의 읽기 오독 분석의 활용 방안
Ⅰ. 서론: 다양한 읽기 장면 = 221
Ⅱ. 읽기의 과정 = 224
Ⅲ. 읽기 오독 분석(Reading Miscue Analysis) = 228
Ⅳ. 읽기 오독 분석의 절차 = 230
Ⅴ. 결론 = 234
9. 수업 담화에서의 질문활동 구조
Ⅰ. 서론 = 239
Ⅱ. 수업 질문활동과 일반 질문활동 = 240
Ⅲ. 의사소통의 목적과 구조 = 244
1. 의사소통의 목적 = 244
2. 의사소통의 구조 = 247
Ⅳ. 의사소통으로서의 질문활동 = 251
1. 질문활동의 목적 = 251
2. 질문활동의 구조 = 251
Ⅴ. 결론 = 256
10. 국어 수업의 수준별ㆍ주체별 질문활동 연구
Ⅰ. 서론 = 261
Ⅱ. 질문의 유형 = 263
1. 주체별 유형 = 263
2. 수준별 유형 = 265
Ⅲ. 연구 방법 = 269
1. 연구 대상 = 269
2. 연구 절차 = 270
3. 개념 설정 = 271
Ⅳ. 연구 결과 = 275
1. 질문과 질문활동 = 275
2. 질문 수준별 양상 = 277
3. 질문 주체별 양상 = 279
Ⅴ. 결론 = 282
11. 읽기 교육에서의 콘텍스트: 의미와 적용
Ⅰ. 서론 = 289
Ⅱ. 콘텍스트의 의미 = 292
Ⅲ. 콘텍스트와 읽기의 교육적 만남 = 297
Ⅳ. 콘텍스트가 주도하는 읽기 교수-학습 = 302
Ⅴ. 결론 = 306
12. 실증주의적 관점의 독서 평가 방법
Ⅰ. 교육 평가로서의 독서 평가 = 309
Ⅱ. 독서 평가의 관점 = 312
1. 분절적 평가 관점 = 315
2. 통합적 평가 관점 = 318
Ⅲ. 독서 평가의 실제 = 320
1. 재인 검사 = 321
2. 질문만들기 = 322
3. 중요도평정 = 324
4. 빈칸메우기 = 326
Ⅳ. 마무리 = 330
13. 국어과 교과학습 진단평가 도구 개발 연구
Ⅰ. 서론 = 333
Ⅱ. 연구 방법 = 335
1. 개발 내용 = 335
2. 개발 절차 = 336
Ⅲ. 평가 영역 설정의 근거와 평가 내용 = 338
1. 평가 영역 = 339
2. 평가 내용 = 341
Ⅳ. 검사 시행 결과 분석 및 문항 수정 = 343
1. 검사 참여 학생 = 344
2. 검사 시행 과정 = 344
3. 검사 결과 = 345
4. 문항 수정 및 선제 결과 = 348
Ⅴ. 결론 및 제언 = 356
색인 = 361
머리말 = 4
1. 국어교육학과 한국어교육학의 통합성과 독자성
Ⅰ. 서론: 보편성과 특수성 = 15
Ⅱ. 국어교육학과 한국어교육학의 만남: 통합성 = 18
1. 탐구 영역 측면 = 19
2. 교육과정 내용 및 관련 학문 측면 = 23
Ⅲ. 국어교육학과 한국어교육학의 자립: 독자성 = 25
1. 법적 근거 측면 = 26
2. 교육 참여자 측면 = 29
3. 교육과정 설계 및 교재 개발 측면 = 33
Ⅳ. 결론: 국어교육학과 한국어교육학의 상호성 = 36
2.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전략 탐색
Ⅰ. 서론 = 41
Ⅱ. 교육과정의 위치와 주요 쟁점 = 44
1. 교육과정 위치 = 44
2.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 46
Ⅲ.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전략 = 51
1. 한국어 교육과정 구성 요인 = 51
2.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절차 = 53
3.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식과 내용 = 57
Ⅴ. 결론 = 61
3.『2007년 수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이해
Ⅰ. 서론 = 65
Ⅱ.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 67
1.『2007년 수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위치 = 67
2.『2007년 수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 72
Ⅲ. 국어과 교육과정「내용」영역의 개정 내용 = 77
1.「내용」영역의 체제 = 77
2.「내용 요소 체계」의 비판적 이해 = 78
3.「학년별 내용」의 비판적 이해 = 84
Ⅳ. 결론 = 88
4. 국어 교과서 개발을 위한 방향 탐색
Ⅰ. 서론 = 93
Ⅱ. 교과서의 개념과 기능 = 95
1. 교과서의 개념 = 95
2. 교과서의 위상과 기능 = 98
Ⅲ. 이상적인 교과서의 조건 = 105
Ⅳ. 국어 교과서의 개발 방향 = 113
1. 교과서의 위상과 기능 반영 = 114
2. 이상적인 교과서의 모습 반영 = 115
3. 국어 교과서의 비판적 분석 결과 반영 = 117
4. 국어 교과서 사용자의 의견 반영 = 120
Ⅴ. 결론 = 122
5. 학교 급별 국어교과서 단원 전개 방식 분석
Ⅰ. 서론 = 127
Ⅱ. 교과서 분석 방법 = 129
1. 교과서의 체제(體制) = 129
2. 분석의 틀 = 130
Ⅲ. 국어 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 분석 = 134
1.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단원 전개 방식 = 134
2. 중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 전개 방식 = 144
3.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 전개 방식 = 151
Ⅳ. 결론 = 160
6. 國語 授業의 言語活動 樣相 연구
Ⅰ. 序論 = 165
Ⅱ. 硏究 方法 = 166
1. 硏究 問題 = 166
2. 硏究 對象 = 167
3. 硏究 節次 = 169
4. 分析 基準 = 169
Ⅲ. 硏究 結果 = 172
1.「말하기ㆍ듣기」수업 = 176
2.「읽기」수업 = 183
Ⅳ. 要約 및 論議 = 189
7. 質問 活動에 대한 세 가지 觀點 고찰
Ⅰ. 序論 : 敎室 對話의 여러 양상과 질문 활동 = 193
Ⅱ. 思考過程과 協商過程이 없는 질문 활동에 대한 반성 = 195
1. 敎師 主導的 質問 活動 = 197
2. 敎師의 案內가 없는 질문 활동 = 199
3. 下位 水準의 思考만을 이끄는 질문 활동 = 201
Ⅲ. 質問하기의 세 觀點 = 203
1. 質問의 제1觀點:認知的 處理 = 204
2. 質問의 제2觀點:社會的 相互作用 = 208
3. 質問의 제3觀點:文化的 現象 = 212
Ⅲ. 結論 = 215
8. 읽기 수업에서의 읽기 오독 분석의 활용 방안
Ⅰ. 서론: 다양한 읽기 장면 = 221
Ⅱ. 읽기의 과정 = 224
Ⅲ. 읽기 오독 분석(Reading Miscue Analysis) = 228
Ⅳ. 읽기 오독 분석의 절차 = 230
Ⅴ. 결론 = 234
9. 수업 담화에서의 질문활동 구조
Ⅰ. 서론 = 239
Ⅱ. 수업 질문활동과 일반 질문활동 = 240
Ⅲ. 의사소통의 목적과 구조 = 244
1. 의사소통의 목적 = 244
2. 의사소통의 구조 = 247
Ⅳ. 의사소통으로서의 질문활동 = 251
1. 질문활동의 목적 = 251
2. 질문활동의 구조 = 251
Ⅴ. 결론 = 256
10. 국어 수업의 수준별ㆍ주체별 질문활동 연구
Ⅰ. 서론 = 261
Ⅱ. 질문의 유형 = 263
1. 주체별 유형 = 263
2. 수준별 유형 = 265
Ⅲ. 연구 방법 = 269
1. 연구 대상 = 269
2. 연구 절차 = 270
3. 개념 설정 = 271
Ⅳ. 연구 결과 = 275
1. 질문과 질문활동 = 275
2. 질문 수준별 양상 = 277
3. 질문 주체별 양상 = 279
Ⅴ. 결론 = 282
11. 읽기 교육에서의 콘텍스트: 의미와 적용
Ⅰ. 서론 = 289
Ⅱ. 콘텍스트의 의미 = 292
Ⅲ. 콘텍스트와 읽기의 교육적 만남 = 297
Ⅳ. 콘텍스트가 주도하는 읽기 교수-학습 = 302
Ⅴ. 결론 = 306
12. 실증주의적 관점의 독서 평가 방법
Ⅰ. 교육 평가로서의 독서 평가 = 309
Ⅱ. 독서 평가의 관점 = 312
1. 분절적 평가 관점 = 315
2. 통합적 평가 관점 = 318
Ⅲ. 독서 평가의 실제 = 320
1. 재인 검사 = 321
2. 질문만들기 = 322
3. 중요도평정 = 324
4. 빈칸메우기 = 326
Ⅳ. 마무리 = 330
13. 국어과 교과학습 진단평가 도구 개발 연구
Ⅰ. 서론 = 333
Ⅱ. 연구 방법 = 335
1. 개발 내용 = 335
2. 개발 절차 = 336
Ⅲ. 평가 영역 설정의 근거와 평가 내용 = 338
1. 평가 영역 = 339
2. 평가 내용 = 341
Ⅳ. 검사 시행 결과 분석 및 문항 수정 = 343
1. 검사 참여 학생 = 344
2. 검사 시행 과정 = 344
3. 검사 결과 = 345
4. 문항 수정 및 선제 결과 = 348
Ⅴ. 결론 및 제언 = 356
색인 =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