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말 = 5
지은이 서문: 한국어판 출간에 부쳐 = 7
옮긴이의 말 = 11
01 시험개발기술이란 무엇인가? = 17
다양성 속에 깃든 통일성 = 17
시험개발을 위한 기본도구 = 20
시험작성세부계획서의 역사 = 23
시험작성세부계획서의 명료성과 시험의 타당도 = 29
시험의 목적과 시험작성세부계획서 = 31
현장교사와 시험작성세부계획서 = 34
준거를 얼마나 구체적으로 설정할 것인가 = 36
Popham의 시험작성세부계획서 모형 = 41
요약 = 42
2∼7장 미리보기 = 45
02 시험작성세부계획서의 구성요소 = 49
시험작성세부계획서의 형식 = 49
시험작성세부계획서의 구성요소 = 50
시험작성세부계획서 형식에 정답은 없다 = 64
03 세부계획서를 작성할 때 고려해야 할 것들 = 73
문제점 1: 세부계획서에서 GD가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 74
문제점 2: PA와 RA는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 79
문제점 3: 역설계하기 = 86
문제점 4: 문항/과제가 세부계획서와 일치하는가? = 92
문제점 5: 하나의 문항이냐, 일련의 절차냐? = 100
문제점 6: 세부계획서 기본양식 = 104
문제점 7: 세부계획서, 구체성과 보편성 사이의 줄타기 = 109
문제점 8: 세부계획서의 소유권은 누구에게 있는가? = 116
맺음말 = 121
04 본격적인 시험개발에 돌입하다 = 123
우연을 길들여라: 세부계획서, 또는 붕어빵 시험을 찍어내는 공장 = 123
피드백, 그리고 피드백을 바탕으로 시험 뜯어고치기 = 129
세부계획서, 고칠 것인가 말 것인가? = 132
세부계획서 일람표 가지고 세부계획서 만들기 = 136
실제 시험에 들어가기 앞서 사전시험 실시하기 = 140
세부계획서 은행과 세부계획서 지도 = 145
세부계획서의 마무리 시점을 언제로 잡아야 할까? = 149
맺음말 = 154
05 시험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155
첫 번째 시나리오: RES 학교 = 158
두 번째 시나리오: IMAGE 시험 = 165
세 번째 시나리오: UCLA ESLPE = 170
네 번째 시나리오: 특명, 입학점수를 낮춰라! = 177
다섯 번째 시나리오: "새 술은 새 부대에" = 182
여섯 번째 시나리오: 특명, 시험의 길이를 줄여라! = 186
맺음말 = 191
06 개인 플레이 No, 팀 플레이 Yes! = 195
우리가 함께라면 못할 것이 없다 = 195
집단이란 무엇인가? = 196
집단 상호작용 과정: 계획에서 의사결정까지 = 202
시험개발팀 상호작용 과정 연구: 계획에서 의사결정까지 = 212
실험 참여자 = 212
자료 수집과 분석 = 214
연구결과 = 216
결론 = 229
07 시험개발, 이제는 실제상황이다 = 237
돌아보기 그리고 미리 보기 = 237
평가는 과연 결정되어 있는 것인가, 만들어가는 것인가? = 239
평가, 어떻게 바꿀 것인가? = 242
평가, 누가 바꿀 것인가? = 245
평가, 누구를 위해 바꿀 것인가? = 253
부록 1 언어평가를 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몇 가지 상식 = 257
평가의 목적 = 257
조작적 정의 그리고 분리평가 vs. 통합평가 = 259
통계 = 260
신뢰도와 타당도 = 261
부록 2 시험작성세부계획서 작성 워크숍 = 265
인용문헌 = 275
찾아보기 = 285
감사의 말 = 5
지은이 서문: 한국어판 출간에 부쳐 = 7
옮긴이의 말 = 11
01 시험개발기술이란 무엇인가? = 17
다양성 속에 깃든 통일성 = 17
시험개발을 위한 기본도구 = 20
시험작성세부계획서의 역사 = 23
시험작성세부계획서의 명료성과 시험의 타당도 = 29
시험의 목적과 시험작성세부계획서 = 31
현장교사와 시험작성세부계획서 = 34
준거를 얼마나 구체적으로 설정할 것인가 = 36
Popham의 시험작성세부계획서 모형 = 41
요약 = 42
2∼7장 미리보기 = 45
02 시험작성세부계획서의 구성요소 = 49
시험작성세부계획서의 형식 = 49
시험작성세부계획서의 구성요소 = 50
시험작성세부계획서 형식에 정답은 없다 = 64
03 세부계획서를 작성할 때 고려해야 할 것들 = 73
문제점 1: 세부계획서에서 GD가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 74
문제점 2: PA와 RA는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 79
문제점 3: 역설계하기 = 86
문제점 4: 문항/과제가 세부계획서와 일치하는가? = 92
문제점 5: 하나의 문항이냐, 일련의 절차냐? = 100
문제점 6: 세부계획서 기본양식 = 104
문제점 7: 세부계획서, 구체성과 보편성 사이의 줄타기 = 109
문제점 8: 세부계획서의 소유권은 누구에게 있는가? = 116
맺음말 = 121
04 본격적인 시험개발에 돌입하다 = 123
우연을 길들여라: 세부계획서, 또는 붕어빵 시험을 찍어내는 공장 = 123
피드백, 그리고 피드백을 바탕으로 시험 뜯어고치기 = 129
세부계획서, 고칠 것인가 말 것인가? = 132
세부계획서 일람표 가지고 세부계획서 만들기 = 136
실제 시험에 들어가기 앞서 사전시험 실시하기 = 140
세부계획서 은행과 세부계획서 지도 = 145
세부계획서의 마무리 시점을 언제로 잡아야 할까? = 149
맺음말 = 154
05 시험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155
첫 번째 시나리오: RES 학교 = 158
두 번째 시나리오: IMAGE 시험 = 165
세 번째 시나리오: UCLA ESLPE = 170
네 번째 시나리오: 특명, 입학점수를 낮춰라! = 177
다섯 번째 시나리오: "새 술은 새 부대에" = 182
여섯 번째 시나리오: 특명, 시험의 길이를 줄여라! = 186
맺음말 = 191
06 개인 플레이 No, 팀 플레이 Yes! = 195
우리가 함께라면 못할 것이 없다 = 195
집단이란 무엇인가? = 196
집단 상호작용 과정: 계획에서 의사결정까지 = 202
시험개발팀 상호작용 과정 연구: 계획에서 의사결정까지 = 212
실험 참여자 = 212
자료 수집과 분석 = 214
연구결과 = 216
결론 = 229
07 시험개발, 이제는 실제상황이다 = 237
돌아보기 그리고 미리 보기 = 237
평가는 과연 결정되어 있는 것인가, 만들어가는 것인가? = 239
평가, 어떻게 바꿀 것인가? = 242
평가, 누가 바꿀 것인가? = 245
평가, 누구를 위해 바꿀 것인가? = 253
부록 1 언어평가를 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몇 가지 상식 = 257
평가의 목적 = 257
조작적 정의 그리고 분리평가 vs. 통합평가 = 259
통계 = 260
신뢰도와 타당도 = 261
부록 2 시험작성세부계획서 작성 워크숍 = 265
인용문헌 = 275
찾아보기 = 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