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첫째 : 콧대 높았던 조선
1. 지혜 넘친 선비정신
역사속의 선비 = 17
직간하는 선비 = 18
우산각골의 청빈 = 20
누이를 고발한 의로움 = 21
2. 조총의 위력과 제조 공정 수수께끼 해법
조선의 승자총통 = 24
조선이 경험한 조총의 모든 것 = 25
베일에 숨은 조총 50년 세월 = 28
모조한 조총 성능의 문제들 = 31
수수께끼로 남은 제조공정 = 33
3. 전통사회 방아와 수차에 담은 이야기
우리는 수차ㆍ방아를 얼마나 알고 있나 = 36
조선시대 수차와 방아 이야기 = 37
19세기 전후의 수차와 방아 = 40
방아에 관한 민속 = 42
4. 망국의 비운은 우리 민족의 탓
엇갈린 19세기 초, 우리의 실상 = 44
조선ㆍ중국ㆍ일본의 서양수용 차이와 번역문화 = 46
흉내 낸 우리 근대화의 한계 = 50
근대화 지각의 결정타는 유교교육 = 53
5. 일본의 근대화를 왜 몰랐던가
외부 세상을 몰랐던 조선 = 56
막번(幕蕃)의 멸망과 명치유신 = 59
근대교육을 지향한 대대적인 개혁 = 61
산업기술의 총력화 = 63
파리ㆍ런던 산업박람회를 통한 국제교류 = 65
서양문화와의 만남 = 67
둘째 : 수구와 개화의 다툼
6. 청나라 유학생과 기기창 수난
군계학조(軍械學造)의 준비 = 71
유학생의 천진기기창 배치 = 72
파견된 유학생의 공과 = 75
7. 서둘렀던 고종의 신식교육과 전말
서양문명과의 만남 = 79
외국어학교, 농상공학교, 소학교, 사범학교, 중학교의 개교 = 80
민족 기술교육의 난맥상 = 86
셋째 : 극복과 시련의 벼랑
8. 한성의 4대문 개방과 전차ㆍ기차 나들이
한성 사람과 그들의 생활 = 93
경복궁 향원정에 전등 불 켜지다 = 98
전차와 경인선 기차 개통 = 101
한강 나루의 종식 = 106
9. 상투 자르고, 흑의입고, 귄련 피우고
일본에서 느낀 명치유신의 환상 = 109
인재양성의 실천 = 113
단발ㆍ흑의 등의 신생활운동 = 115
10. 최초의 해외 첨단과학을 강연하고 절규한 애국 학술대회
청년학도가 주관한 애국 학술단체「공업연구회」 = 118
세미나의 이색적인 발표내용 = 120
1899~1908년대 이공계 기술인력 얼마나 있었나 = 124
11. 개항바람에 밀물처럼 들어 온 양품의 홍수
밀물처럼 들어 온 외국인과 선박 = 128
상업광고의 시작 = 130
씽거미싱, 유성기, 양복, 모자, 구두, 위스키, 궐련 = 132
화장품, 조미료, 인단, 의약품, 우유, 식품, 염료 등 = 136
활동사진, 등사판, 사진관, 자전거, 정미기, 빙과기, 분무기 = 138
12. 이공계 이래서 인력 부족했다.
일제의 한반도 교육정책 = 141
공업전습소와 직업학교 = 142
연희전문학교, 경성공업전문학교 그리고 광산전문학교 = 147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 150
8.15 광복 당시의 과학기술 인력은 얼만가 = 152
넷째 : 이글어진 근대의 속성
13. 조 만식 선생의 애국ㆍ계몽운동
조 만식 선생의 청년시절 = 157
타고 난 강직성과 지조 = 158
물산장려운동의 의미 = 160
전국을 휩쓸었던 운동의 요약 = 161
물산장려회의 성과 = 165
14. 민족지본 기업인의 형성과 활동
한국철도 개척자 박기종 = 167
한말의 서울 거상(巨商) 백윤수ㆍ김윤면ㆍ박승직 = 169
백화점을 경영한 최남과 박흥식 = 172
근대기업 경성방직과 김양수 = 174
개성 상인과 김정호 = 176
고무신ㆍ양말ㆍ메리야스 공업의 개척자들 = 177
민족 기업을 겸행한 애국지사 = 180
15. 광복 전후 우리 사회
광분한 태평양전쟁과 내핍생활 = 184
원폭을 둘러 싼 이야기 = 187
8.15 해방의 희비 그리고 민생 = 189
한국전쟁 이중고 = 192
광복 후의 공업과 5.14 단전사건 = 194
교육, 보건, 위생 사정 = 195
여가ㆍ취미 생활 = 197
16. 생활필수품 수난시대
성냥ㆍ비누ㆍ치약ㆍ고무신ㆍ가마솥 = 204
자전거, 철판으로 두들겨 만든 버스 = 204
시-발자동차와 새나라자동차 = 206
불모지 개척의 산업전사 이모저모 = 209
다섯째 : 다시일어선 한국사람들
17. 부산피난ㆍ서울환도
피난살이 웬 말인가 = 213
우후죽순 생겨난 하꼬방 = 216
서울로 서울로, 민족 대이동 = 218
서울의 변화, 고개 든 교육열기 = 220
18. 1950~60년대 고갯길
판잣집 난립과 쌀ㆍ연탄 걱정 = 223
미제 문화와 암 달러 장사 = 228
양복, 양장 입고 외식하고 = 231
흔들리는 농촌 도시 빈민들 = 235
기업의 태동 그리고 국산 시멘트ㆍ판유리ㆍ비료와 경제개발 = 237
암흑기를 탈출한 희망의 싹이 움트다 = 240
19. 이공계 연구소와 특수대학원 설립
한국원자력연구소(KAEIR) = 243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 247
한국과학원(KAIST) = 250
20. 벌거벗은 산림과 연탄 애환30년 세월
산림황폐의 어제 = 257
'연탄파동'과 수요공급 = 261
연탄은 연료의 구세주다 = 263
연탄과 온돌의 만남 = 266
21. 불세출의 인물 유일한 박사
유일한 선생의 생애와 성품 = 268
민족기업, 유한양행과 기업가 정신 = 271
재미 독립애국운동 = 274
22. 세상이 놀란 '경제개발' 신화
근대화에 접목한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 = 277
월남 특수의 신화 = 282
경부고속도로 개통, 육상수송 숨 트다 = 286
중동의 '횃불' 신화 = 291
23. 극비리에 추진한 '핵개발' 진상
북한의 위협ㆍ미군 철수 = 293
몇 가지 핵개발 사업 내막 = 295
미국 정보망에 걸리다 = 299
박 정희의 죽음과 역사의 아이러니 = 301
24. 고도성장과 국민생활의 변모
고도성장에 뛰어 든 사람들 = 303
중화학공업 성장과 수출고 신장 = 305
의식주와 여가 생활의 변모 = 310
참고문헌
첫째 : 콧대 높았던 조선
1. 지혜 넘친 선비정신
역사속의 선비 = 17
직간하는 선비 = 18
우산각골의 청빈 = 20
누이를 고발한 의로움 = 21
2. 조총의 위력과 제조 공정 수수께끼 해법
조선의 승자총통 = 24
조선이 경험한 조총의 모든 것 = 25
베일에 숨은 조총 50년 세월 = 28
모조한 조총 성능의 문제들 = 31
수수께끼로 남은 제조공정 = 33
3. 전통사회 방아와 수차에 담은 이야기
우리는 수차ㆍ방아를 얼마나 알고 있나 = 36
조선시대 수차와 방아 이야기 = 37
19세기 전후의 수차와 방아 = 40
방아에 관한 민속 = 42
4. 망국의 비운은 우리 민족의 탓
엇갈린 19세기 초, 우리의 실상 = 44
조선ㆍ중국ㆍ일본의 서양수용 차이와 번역문화 = 46
흉내 낸 우리 근대화의 한계 = 50
근대화 지각의 결정타는 유교교육 = 53
5. 일본의 근대화를 왜 몰랐던가
외부 세상을 몰랐던 조선 = 56
막번(幕蕃)의 멸망과 명치유신 = 59
근대교육을 지향한 대대적인 개혁 = 61
산업기술의 총력화 = 63
파리ㆍ런던 산업박람회를 통한 국제교류 = 65
서양문화와의 만남 = 67
둘째 : 수구와 개화의 다툼
6. 청나라 유학생과 기기창 수난
군계학조(軍械學造)의 준비 = 71
유학생의 천진기기창 배치 = 72
파견된 유학생의 공과 = 75
7. 서둘렀던 고종의 신식교육과 전말
서양문명과의 만남 = 79
외국어학교, 농상공학교, 소학교, 사범학교, 중학교의 개교 = 80
민족 기술교육의 난맥상 = 86
셋째 : 극복과 시련의 벼랑
8. 한성의 4대문 개방과 전차ㆍ기차 나들이
한성 사람과 그들의 생활 = 93
경복궁 향원정에 전등 불 켜지다 = 98
전차와 경인선 기차 개통 = 101
한강 나루의 종식 = 106
9. 상투 자르고, 흑의입고, 귄련 피우고
일본에서 느낀 명치유신의 환상 = 109
인재양성의 실천 = 113
단발ㆍ흑의 등의 신생활운동 = 115
10. 최초의 해외 첨단과학을 강연하고 절규한 애국 학술대회
청년학도가 주관한 애국 학술단체「공업연구회」 = 118
세미나의 이색적인 발표내용 = 120
1899~1908년대 이공계 기술인력 얼마나 있었나 = 124
11. 개항바람에 밀물처럼 들어 온 양품의 홍수
밀물처럼 들어 온 외국인과 선박 = 128
상업광고의 시작 = 130
씽거미싱, 유성기, 양복, 모자, 구두, 위스키, 궐련 = 132
화장품, 조미료, 인단, 의약품, 우유, 식품, 염료 등 = 136
활동사진, 등사판, 사진관, 자전거, 정미기, 빙과기, 분무기 = 138
12. 이공계 이래서 인력 부족했다.
일제의 한반도 교육정책 = 141
공업전습소와 직업학교 = 142
연희전문학교, 경성공업전문학교 그리고 광산전문학교 = 147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 150
8.15 광복 당시의 과학기술 인력은 얼만가 = 152
넷째 : 이글어진 근대의 속성
13. 조 만식 선생의 애국ㆍ계몽운동
조 만식 선생의 청년시절 = 157
타고 난 강직성과 지조 = 158
물산장려운동의 의미 = 160
전국을 휩쓸었던 운동의 요약 = 161
물산장려회의 성과 = 165
14. 민족지본 기업인의 형성과 활동
한국철도 개척자 박기종 = 167
한말의 서울 거상(巨商) 백윤수ㆍ김윤면ㆍ박승직 = 169
백화점을 경영한 최남과 박흥식 = 172
근대기업 경성방직과 김양수 = 174
개성 상인과 김정호 = 176
고무신ㆍ양말ㆍ메리야스 공업의 개척자들 = 177
민족 기업을 겸행한 애국지사 = 180
15. 광복 전후 우리 사회
광분한 태평양전쟁과 내핍생활 = 184
원폭을 둘러 싼 이야기 = 187
8.15 해방의 희비 그리고 민생 = 189
한국전쟁 이중고 = 192
광복 후의 공업과 5.14 단전사건 = 194
교육, 보건, 위생 사정 = 195
여가ㆍ취미 생활 = 197
16. 생활필수품 수난시대
성냥ㆍ비누ㆍ치약ㆍ고무신ㆍ가마솥 = 204
자전거, 철판으로 두들겨 만든 버스 = 204
시-발자동차와 새나라자동차 = 206
불모지 개척의 산업전사 이모저모 = 209
다섯째 : 다시일어선 한국사람들
17. 부산피난ㆍ서울환도
피난살이 웬 말인가 = 213
우후죽순 생겨난 하꼬방 = 216
서울로 서울로, 민족 대이동 = 218
서울의 변화, 고개 든 교육열기 = 220
18. 1950~60년대 고갯길
판잣집 난립과 쌀ㆍ연탄 걱정 = 223
미제 문화와 암 달러 장사 = 228
양복, 양장 입고 외식하고 = 231
흔들리는 농촌 도시 빈민들 = 235
기업의 태동 그리고 국산 시멘트ㆍ판유리ㆍ비료와 경제개발 = 237
암흑기를 탈출한 희망의 싹이 움트다 = 240
19. 이공계 연구소와 특수대학원 설립
한국원자력연구소(KAEIR) = 243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 247
한국과학원(KAIST) = 250
20. 벌거벗은 산림과 연탄 애환30년 세월
산림황폐의 어제 = 257
'연탄파동'과 수요공급 = 261
연탄은 연료의 구세주다 = 263
연탄과 온돌의 만남 = 266
21. 불세출의 인물 유일한 박사
유일한 선생의 생애와 성품 = 268
민족기업, 유한양행과 기업가 정신 = 271
재미 독립애국운동 = 274
22. 세상이 놀란 '경제개발' 신화
근대화에 접목한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 = 277
월남 특수의 신화 = 282
경부고속도로 개통, 육상수송 숨 트다 = 286
중동의 '횃불' 신화 = 291
23. 극비리에 추진한 '핵개발' 진상
북한의 위협ㆍ미군 철수 = 293
몇 가지 핵개발 사업 내막 = 295
미국 정보망에 걸리다 = 299
박 정희의 죽음과 역사의 아이러니 = 301
24. 고도성장과 국민생활의 변모
고도성장에 뛰어 든 사람들 = 303
중화학공업 성장과 수출고 신장 = 305
의식주와 여가 생활의 변모 = 310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