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며 : 그 많던 조선 궁궐은 어떻게 붕괴되었는가 = 5
1부. 황권 강화를 위한 근대 조선(대한제국)의 움직임
1. 고종삼천지교高宗三遷之敎 - 창덕궁에서 경복궁을 거쳐 덕수궁까지 = 14
2. 조선 황제의 애달픈 역사를 증명하다 - 원구단의 철거와 조선호텔의 건축 = 48
3. 궁궐 의례의 변화와 존속 = 86
2부. 일제에 의한 조선 궁궐 수난사
1. 평양의 황건문이 남산으로 내려온 까닭은? - 궁궐 전각의 민간 이건과 변용 = 122
2. 대한제국, 평양에 황궁을 세우다 - 풍경궁의 영건에서 훼철까지 = 164
3. 창경원과 우에노공원, 그리고 메이지의 공간 지배 = 202
3부. 조선의 궁에 들어선 근대건축물
1. 궁궐에 들어선 근대건축물 = 240
2. 근대의 환상, 신문물 축제의 향연 = 280
참고 문헌 = 311
도판 출처 = 319
궁궐 연표 = 324
1부. 황권 강화를 위한 근대 조선(대한제국)의 움직임
1. 고종삼천지교高宗三遷之敎 - 창덕궁에서 경복궁을 거쳐 덕수궁까지 = 14
2. 조선 황제의 애달픈 역사를 증명하다 - 원구단의 철거와 조선호텔의 건축 = 48
3. 궁궐 의례의 변화와 존속 = 86
2부. 일제에 의한 조선 궁궐 수난사
1. 평양의 황건문이 남산으로 내려온 까닭은? - 궁궐 전각의 민간 이건과 변용 = 122
2. 대한제국, 평양에 황궁을 세우다 - 풍경궁의 영건에서 훼철까지 = 164
3. 창경원과 우에노공원, 그리고 메이지의 공간 지배 = 202
3부. 조선의 궁에 들어선 근대건축물
1. 궁궐에 들어선 근대건축물 = 240
2. 근대의 환상, 신문물 축제의 향연 = 280
참고 문헌 = 311
도판 출처 = 319
궁궐 연표 =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