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명청대 강남후원문화 시리즈」를 발간하며 = 4
책을 펴내며 = 8
프롤로그: 장강의 르네상스 = 13
Ⅰ. 명대 중기 소주 문인사회와 실경도 = 19
왜 실경도인가 = 19
중앙 정부와의 갈등 = 20
'우리의 소주'와 집단 정체성 = 23
호구와 등고 = 31
동장과 별호도 = 37
Ⅱ. 양명학 좌파 이탁오와 통속문학 옹호자들 = 44
장강의 휴머니스트 이탁오 = 44
공안파의 문학 주장 = 46
탕현조의『모란정』 = 49
이어와 공연문화 = 53
Ⅲ. 명말청초의 시각문화와 물질문화 = 56
휘주 상인 = 56
교양인 = 59
호화로운 정원 조성 = 62
보는 즐거움, 만지는 즐거움 = 70
아이콘의 유통 = 74
Ⅳ. 명말청초의 광인들 = 84
전형적인 인물화 = 84
아이러니와 비틀기 = 86
섬에 갇힌 진홍수 = 88
공현의 어두운 산하 = 91
광인화가 팔대산인의 하늘을 나는 물고기 = 95
운해에 갇힌 석도 = 101
오빈의 일그러진 산하 = 105
Ⅴ. 명말청초 강남의 출판문화 = 110
시각매체 출판과 구별 짓기 = 110
명말청초 시각매체와 커뮤니케이션의 변혁 = 112
명말청초 강남 지식인들의『서상기』출판 = 115
진홍수의『서상기』삽화 밑그림 제작 = 127
진홍수의 게임카드 그림 = 135
정대약의『정씨묵원』 = 139
문진형의『장물지』 = 143
고병의『고씨화보』 = 147
호정언의『십죽재서화보』 = 151
Ⅵ. 명말청초의 화가와 패트론 = 160
17세기 남경의 패트론 주량공 = 160
주량공과 진홍수 = 164
후원자에서 고객으로 = 173
에필로그: 장강 르네상스의 종말 = 179
항성모가 그린 집단초상화 = 179
강희제의 문화정책 = 181
공상임의『도화선』 = 184
참고문헌 = 189
찾아보기 = 195
「명청대 강남후원문화 시리즈」를 발간하며 = 4
책을 펴내며 = 8
프롤로그: 장강의 르네상스 = 13
Ⅰ. 명대 중기 소주 문인사회와 실경도 = 19
왜 실경도인가 = 19
중앙 정부와의 갈등 = 20
'우리의 소주'와 집단 정체성 = 23
호구와 등고 = 31
동장과 별호도 = 37
Ⅱ. 양명학 좌파 이탁오와 통속문학 옹호자들 = 44
장강의 휴머니스트 이탁오 = 44
공안파의 문학 주장 = 46
탕현조의『모란정』 = 49
이어와 공연문화 = 53
Ⅲ. 명말청초의 시각문화와 물질문화 = 56
휘주 상인 = 56
교양인 = 59
호화로운 정원 조성 = 62
보는 즐거움, 만지는 즐거움 = 70
아이콘의 유통 = 74
Ⅳ. 명말청초의 광인들 = 84
전형적인 인물화 = 84
아이러니와 비틀기 = 86
섬에 갇힌 진홍수 = 88
공현의 어두운 산하 = 91
광인화가 팔대산인의 하늘을 나는 물고기 = 95
운해에 갇힌 석도 = 101
오빈의 일그러진 산하 = 105
Ⅴ. 명말청초 강남의 출판문화 = 110
시각매체 출판과 구별 짓기 = 110
명말청초 시각매체와 커뮤니케이션의 변혁 = 112
명말청초 강남 지식인들의『서상기』출판 = 115
진홍수의『서상기』삽화 밑그림 제작 = 127
진홍수의 게임카드 그림 = 135
정대약의『정씨묵원』 = 139
문진형의『장물지』 = 143
고병의『고씨화보』 = 147
호정언의『십죽재서화보』 = 151
Ⅵ. 명말청초의 화가와 패트론 = 160
17세기 남경의 패트론 주량공 = 160
주량공과 진홍수 = 164
후원자에서 고객으로 = 173
에필로그: 장강 르네상스의 종말 = 179
항성모가 그린 집단초상화 = 179
강희제의 문화정책 = 181
공상임의『도화선』 = 184
참고문헌 = 189
찾아보기 =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