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의 발간에 즈음하여 = 5
제1장 주자학과 고대 그리스 철학 = 19
1. 리와 기, 이데아(혹은 에이도스)와 힐레 = 20
2. 성과 정, 이성과 감성 = 27
제2장 기대승 : 사칠 논변과 '정'의 강조 = 37
1. 사칠 논변의 전개 = 39
2. 주기론적 성리학의 태동 = 52
제3장 프로이트 : '본능'과 '감성'의 강조 = 65
1. 근대의 물결들 - 마키아벨리에서 니체까지 = 66
2. 근대의 물결의 완성 - 프로이트 = 74
제4장 기대승의 '칠포사론'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 93
1. 주정적 인간 이해의 실마리 = 93
2. 선과 악에 대하여 = 100
3. '칠정의 생성'과 '대상관계 이론' = 107
4. '경'과 '초자아' = 115
5. '리약기강'과 '기쁨 추구의 원리' = 123
6. '이발의 두 단계'와 '무의식', 그리고 이이의 '의' 개념 = 132
7. 인간 심리의 구조도 = 137
제5장 기대승과 프로이트의 한계 = 145
1. 기대승 - 우주론과 인성론의 상충 및 논지의 모호함 = 145
2. 프로이트 - 신화의 오독과 서양 문화의 보편화 = 159
제6장 인간성 연구의 새로운 시대를 맞아 = 177
1. 과학의 성과와 인간성 이해의 새 국면 = 177
2. 왜 인간성에 대한 이해가 요청되는가 = 184
책의 발간에 즈음하여 = 5
제1장 주자학과 고대 그리스 철학 = 19
1. 리와 기, 이데아(혹은 에이도스)와 힐레 = 20
2. 성과 정, 이성과 감성 = 27
제2장 기대승 : 사칠 논변과 '정'의 강조 = 37
1. 사칠 논변의 전개 = 39
2. 주기론적 성리학의 태동 = 52
제3장 프로이트 : '본능'과 '감성'의 강조 = 65
1. 근대의 물결들 - 마키아벨리에서 니체까지 = 66
2. 근대의 물결의 완성 - 프로이트 = 74
제4장 기대승의 '칠포사론'과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 93
1. 주정적 인간 이해의 실마리 = 93
2. 선과 악에 대하여 = 100
3. '칠정의 생성'과 '대상관계 이론' = 107
4. '경'과 '초자아' = 115
5. '리약기강'과 '기쁨 추구의 원리' = 123
6. '이발의 두 단계'와 '무의식', 그리고 이이의 '의' 개념 = 132
7. 인간 심리의 구조도 = 137
제5장 기대승과 프로이트의 한계 = 145
1. 기대승 - 우주론과 인성론의 상충 및 논지의 모호함 = 145
2. 프로이트 - 신화의 오독과 서양 문화의 보편화 = 159
제6장 인간성 연구의 새로운 시대를 맞아 = 177
1. 과학의 성과와 인간성 이해의 새 국면 = 177
2. 왜 인간성에 대한 이해가 요청되는가 =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