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 13
1.1 연구 목적 = 14
1.2 연구 방법 = 18
1.3 선행연구의 성과와 한계 = 21
1.4 연구 의의 = 27
제2장 해방 이후 일본의 한국문화 수용과 한국어 교육 = 31
2.1 일본의 신문 및 잡지기사 통계로 본 한국문화의 수용 현황 = 32
2.2 일본의 한국대중문화 수용과 한국어 교육 = 48
2.3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대중문화와의 관계 = 59
제3장 한·중 수교 이후 중국의 한국대중문화 수용과 한국어 교육 = 63
3.1 중국의 한국대중문화 수용 = 64
3.2 중국의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반응 = 68
3.3 중국에서의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 교육 = 75
3.4 중국의 한국대중문화 수용과 반응 및 한국어 교육에 미친 영향 = 78
제4장 일본에서 한국대중문화가 한국어 학습자에게 미친 영향 = 81
4.1 한국어 학습자의 실태조사 및 분석에 대한 개요 = 82
4.2 설문분석 = 88
4.3 설문결과로 본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 학습 관련 양상 = 155
제5장 중국에서 한국대중문화가 한국어 학습자에게 미친 영향 = 163
5.1 조사대상과 조사방법 = 164
5.2 자료처리와 분석 및 문제점 = 166
5.3 결과와 분석 = 167
5.4 중국에서의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학습 관련 양상 = 224
제6장 한국대중문화를 응용한 일본에서의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방안 = 227
6.1 국내 외국인 대상의 한국어 교육과 일본의 한국어 교육 = 228
6.2 일본에 적합한 한국어 교육 = 238
6.3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교재 접목 방안 = 248
제7장 한국대중문화를 응용한 중국에서의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 = 263
7.1 한국어교재와 중국의 한국어 학습자 = 264
7.2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교재 접목 방안 = 277
제8장 결론 = 299
1.1 연구 목적 = 14
1.2 연구 방법 = 18
1.3 선행연구의 성과와 한계 = 21
1.4 연구 의의 = 27
제2장 해방 이후 일본의 한국문화 수용과 한국어 교육 = 31
2.1 일본의 신문 및 잡지기사 통계로 본 한국문화의 수용 현황 = 32
2.2 일본의 한국대중문화 수용과 한국어 교육 = 48
2.3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대중문화와의 관계 = 59
제3장 한·중 수교 이후 중국의 한국대중문화 수용과 한국어 교육 = 63
3.1 중국의 한국대중문화 수용 = 64
3.2 중국의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반응 = 68
3.3 중국에서의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 교육 = 75
3.4 중국의 한국대중문화 수용과 반응 및 한국어 교육에 미친 영향 = 78
제4장 일본에서 한국대중문화가 한국어 학습자에게 미친 영향 = 81
4.1 한국어 학습자의 실태조사 및 분석에 대한 개요 = 82
4.2 설문분석 = 88
4.3 설문결과로 본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 학습 관련 양상 = 155
제5장 중국에서 한국대중문화가 한국어 학습자에게 미친 영향 = 163
5.1 조사대상과 조사방법 = 164
5.2 자료처리와 분석 및 문제점 = 166
5.3 결과와 분석 = 167
5.4 중국에서의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학습 관련 양상 = 224
제6장 한국대중문화를 응용한 일본에서의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방안 = 227
6.1 국내 외국인 대상의 한국어 교육과 일본의 한국어 교육 = 228
6.2 일본에 적합한 한국어 교육 = 238
6.3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교재 접목 방안 = 248
제7장 한국대중문화를 응용한 중국에서의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 = 263
7.1 한국어교재와 중국의 한국어 학습자 = 264
7.2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교재 접목 방안 = 277
제8장 결론 =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