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부 심리검사에 대한 이해
제1장 검사와 측정에 대한 이해 = 13
1. 측정 = 13
2. 심리검사 = 17
3. 올바른 검사개발을 위한 안내서 = 29
제2장 심리검사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 31
1. 심리검사와 법률 = 32
2. 심리검사와 윤리 = 36
3. 심리검사와 사회 = 40
제3장 심리측정에서의 기본 통계 = 45
1. 척도의 종류 = 45
2. 심리검사와 관련된 기초 통계 = 49
제4장 척도화 방법 = 59
1. 사람중심 방법 = 60
2. 자극중심 방법 = 61
3. 반응중심 방법 = 72
제5장 검사 개발과정 = 77
1. 검사의 사용목적 파악 = 77
2. 구성개념을 대표하는 행동 파악 = 79
3. 범주별 상대적 중요도 결정 = 80
4. 문항개발 = 80
5. 문항검토 = 88
6. 사전검사 실시 = 88
7. 검사 실시 = 89
8. 자료분석 = 91
9. 검사의 규준화 = 91
10. 발행과 수정 = 93
제6장 신뢰도의 기본 개념 = 95
1. 검사점수의 변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96
2. 고전적 진점수 모형 = 99
3. 신뢰도 추정방법 = 102
4. 일반화 이론 = 116
제7장 신뢰도의 응용 = 121
1. 측정의 표준오차 = 121
2. 신뢰도와 타당도 = 123
3.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25
4. 기타 고려해야 할 점 = 130
제8장 문항분석 = 135
1. 반응분포분석 = 136
2. 평균 및 표준편차 = 136
3. 문항의 난이도 = 137
4. 문항의 변별력 = 140
5. 문항특성곡선 = 146
6. 표집크기 = 149
제9장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 = 151
1. 내용타당도 = 153
2. 안면타당도 = 157
3. 구성타당도 = 158
제10장 요인분석 = 163
1. 요인의 정의 = 164
2. 요인분석의 의미 = 165
3. 요인분석 단계 = 167
제11장 준거관련 타당도 = 195
1. 예언타당도 = 196
2. 공존타당도 = 198
3. 준거관련 타당도 분석의 문제점 = 199
4. 타당도 방법 사이의 중복개념 = 204
5. 타당도계수의 응용 = 207
제12장 규준과 규준집단 = 217
1. 표집방법 = 219
2. 규준의 종류 = 223
3. 규준해석 시 주의사항 = 229
제13장 준거참조검사 = 231
1. 규준참조검사와 준거참조검사의 차이 = 232
2. 문항분석 = 234
3. 신뢰도 = 237
4. 기준검수 결정방법 = 243
5. 타당도 = 248
제2부 다양한 심리검사 개발과정
제14장 태도검사 = 257
1. 검사 개발과정 = 257
2. 검사 해석 및 활용방안 = 273
제15장 적성검사 = 277
1. 예비문항 개발과정 = 277
2. 예비검사 실시 및 결과 = 292
3. 본검사 실시 및 분석결과 = 296
제16장 성격검사 = 315
1. 검사 개발과정 = 315
2. 검사내용 = 320
3. 검사평가 = 339
제17장 흥미검사 = 343
1. 개발과정 및 구성척도 = 343
2. 스트롱 흥미검사 활용 및 적용 사례 = 363
3. 스트롱 흥미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 366
4. 스트롱 흥미검사에서 유의할 점 = 367
부록 - 다양한 심리검사의 예 = 373
1. 성격검사 = 374
2. 적성검사 = 381
3. 흥미검사 = 385
4. 지능검사 = 387
참고문헌 = 395
찾아보기 = 407
서문
제1부 심리검사에 대한 이해
제1장 검사와 측정에 대한 이해 = 13
1. 측정 = 13
2. 심리검사 = 17
3. 올바른 검사개발을 위한 안내서 = 29
제2장 심리검사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 31
1. 심리검사와 법률 = 32
2. 심리검사와 윤리 = 36
3. 심리검사와 사회 = 40
제3장 심리측정에서의 기본 통계 = 45
1. 척도의 종류 = 45
2. 심리검사와 관련된 기초 통계 = 49
제4장 척도화 방법 = 59
1. 사람중심 방법 = 60
2. 자극중심 방법 = 61
3. 반응중심 방법 = 72
제5장 검사 개발과정 = 77
1. 검사의 사용목적 파악 = 77
2. 구성개념을 대표하는 행동 파악 = 79
3. 범주별 상대적 중요도 결정 = 80
4. 문항개발 = 80
5. 문항검토 = 88
6. 사전검사 실시 = 88
7. 검사 실시 = 89
8. 자료분석 = 91
9. 검사의 규준화 = 91
10. 발행과 수정 = 93
제6장 신뢰도의 기본 개념 = 95
1. 검사점수의 변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96
2. 고전적 진점수 모형 = 99
3. 신뢰도 추정방법 = 102
4. 일반화 이론 = 116
제7장 신뢰도의 응용 = 121
1. 측정의 표준오차 = 121
2. 신뢰도와 타당도 = 123
3.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25
4. 기타 고려해야 할 점 = 130
제8장 문항분석 = 135
1. 반응분포분석 = 136
2. 평균 및 표준편차 = 136
3. 문항의 난이도 = 137
4. 문항의 변별력 = 140
5. 문항특성곡선 = 146
6. 표집크기 = 149
제9장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 = 151
1. 내용타당도 = 153
2. 안면타당도 = 157
3. 구성타당도 = 158
제10장 요인분석 = 163
1. 요인의 정의 = 164
2. 요인분석의 의미 = 165
3. 요인분석 단계 = 167
제11장 준거관련 타당도 = 195
1. 예언타당도 = 196
2. 공존타당도 = 198
3. 준거관련 타당도 분석의 문제점 = 199
4. 타당도 방법 사이의 중복개념 = 204
5. 타당도계수의 응용 = 207
제12장 규준과 규준집단 = 217
1. 표집방법 = 219
2. 규준의 종류 = 223
3. 규준해석 시 주의사항 = 229
제13장 준거참조검사 = 231
1. 규준참조검사와 준거참조검사의 차이 = 232
2. 문항분석 = 234
3. 신뢰도 = 237
4. 기준검수 결정방법 = 243
5. 타당도 = 248
제2부 다양한 심리검사 개발과정
제14장 태도검사 = 257
1. 검사 개발과정 = 257
2. 검사 해석 및 활용방안 = 273
제15장 적성검사 = 277
1. 예비문항 개발과정 = 277
2. 예비검사 실시 및 결과 = 292
3. 본검사 실시 및 분석결과 = 296
제16장 성격검사 = 315
1. 검사 개발과정 = 315
2. 검사내용 = 320
3. 검사평가 = 339
제17장 흥미검사 = 343
1. 개발과정 및 구성척도 = 343
2. 스트롱 흥미검사 활용 및 적용 사례 = 363
3. 스트롱 흥미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 366
4. 스트롱 흥미검사에서 유의할 점 = 367
부록 - 다양한 심리검사의 예 = 373
1. 성격검사 = 374
2. 적성검사 = 381
3. 흥미검사 = 385
4. 지능검사 = 387
참고문헌 = 395
찾아보기 =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