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을 찾아서 :『조선의 의인들』책머리에 부치는 말 = 5
1 살면 함께 살고 죽으면 함께 죽자 : 금남 최부, 해양문학의 최고봉『표해록』을 쓰다 = 15
2 학문이 후퇴될까 늘그막이 걱정일세 : 퇴계 이황과 성리학 본산 도산서원에 깃든 사상 = 35
3 패악한 정치판에 몸담을 수 없다 : 자연에 숨은 도학자 하서 김인후 = 57
4 어진 이를 천거하고 유능한 자에게 양보하다 : 맑은 얼음 같은 시인 정치가 사암 박순 = 77
5 군대와 백성을 제대로 키우시오 : 율곡 이이, 그는 경세의 정치가이자 대현(大賢)이었다 = 97
6 과거의 잘못을 반성해 미래를 대비하다 : 화합과 조정의 정치지도자 서애 유성룡 = 119
7 비판 개혁정신으로 실학을 열다 : 구암 한백겸, 역사지리학을 최초로 체계화하다 = 137
8 임 계신 구중심처에 뿌려본들 어떠리 : 정의로운 처신으로 임진왜란 이겨낸 백사 이항복 = 155
9 나라 있는 줄만 알고 제 몸 돌볼 줄은 몰랐다 : 한음 이덕형, 영원한 친구 오성과 더불어 국난을 극복하다 = 173
10 권신의 횡포를 두고 볼 수 없다 : 고산 윤선도, 곧은 절의에 깃든 섬세한 시심(詩心) = 193
11 고서를 좋아하고 늙어서도 게으르지 않았다 : 고학(古學)으로 송시열에 맞선 미수 허목 = 215
12 토지 공개념을 실시해 제도를 바로 세우자 : 조선 실학을 개창한 반계 유형원 = 233
13 관찰한 바는 크고 간직한 바는 실하다 : 창계 임영, 벼슬 버리고 도를 찾아 은자가 되다 = 249
14 학문과 덕이 높아 학해(學海)를 이루다 : 반계의 실학을 더 키워낸 성호 이익 = 269
15 당쟁의 소용돌이서 국정을 바로잡다 : 번암 채제공, 어떤 세속일에도 흔들림 없던 군자 = 289
16 옳은 제도 살리고 낡은 법제 없애라 : 천재 실학자 존재 위백규가 세운 뜻 = 311
17 나라를 통째로 개혁하자 : 유배지에서 꽃피운 다산 정약용의 경세사상 = 333
18 언로를 열어 백성의 의견을 수렴하자 : 구한말 시대정신을 이끈 화서 이항로의 선비정신 = 355
19 성리학사상을 의병운동으로 승화시켜 : 철학이론을 온몸으로 실천한 노사 기정진 = 377
20 만물의 이치란 인간본성이 아니라 마음에 있다 : 조선시대 마지막 성리학자 한주 이진상 = 397
21 쌀 한 톨 물 한 모금도 왜놈 것은 먹을 수 없다 : 의병장 면암 최익현의 생각과 실천 = 419
22 나는 당당한 조선의 관리다 : 망국에 단식으로 생을 마친 향산 이만도 = 441
23 백성의 아픔을 절창하다 : 서릿발 같은 암행어사 영재 이건창 = 461
24 망국에 한 사람도 자결 않는다면 되겠는가 : 매천 황현, 지식인의 책무를 몸으로 실천한 의인 = 481
주요인물 소개 = 500
역사용어 풀이 = 517
역사의 땅 사상의 고향을 찾아서 :『조선의 의인들』책머리에 부치는 말 = 5
1 살면 함께 살고 죽으면 함께 죽자 : 금남 최부, 해양문학의 최고봉『표해록』을 쓰다 = 15
2 학문이 후퇴될까 늘그막이 걱정일세 : 퇴계 이황과 성리학 본산 도산서원에 깃든 사상 = 35
3 패악한 정치판에 몸담을 수 없다 : 자연에 숨은 도학자 하서 김인후 = 57
4 어진 이를 천거하고 유능한 자에게 양보하다 : 맑은 얼음 같은 시인 정치가 사암 박순 = 77
5 군대와 백성을 제대로 키우시오 : 율곡 이이, 그는 경세의 정치가이자 대현(大賢)이었다 = 97
6 과거의 잘못을 반성해 미래를 대비하다 : 화합과 조정의 정치지도자 서애 유성룡 = 119
7 비판 개혁정신으로 실학을 열다 : 구암 한백겸, 역사지리학을 최초로 체계화하다 = 137
8 임 계신 구중심처에 뿌려본들 어떠리 : 정의로운 처신으로 임진왜란 이겨낸 백사 이항복 = 155
9 나라 있는 줄만 알고 제 몸 돌볼 줄은 몰랐다 : 한음 이덕형, 영원한 친구 오성과 더불어 국난을 극복하다 = 173
10 권신의 횡포를 두고 볼 수 없다 : 고산 윤선도, 곧은 절의에 깃든 섬세한 시심(詩心) = 193
11 고서를 좋아하고 늙어서도 게으르지 않았다 : 고학(古學)으로 송시열에 맞선 미수 허목 = 215
12 토지 공개념을 실시해 제도를 바로 세우자 : 조선 실학을 개창한 반계 유형원 = 233
13 관찰한 바는 크고 간직한 바는 실하다 : 창계 임영, 벼슬 버리고 도를 찾아 은자가 되다 = 249
14 학문과 덕이 높아 학해(學海)를 이루다 : 반계의 실학을 더 키워낸 성호 이익 = 269
15 당쟁의 소용돌이서 국정을 바로잡다 : 번암 채제공, 어떤 세속일에도 흔들림 없던 군자 = 289
16 옳은 제도 살리고 낡은 법제 없애라 : 천재 실학자 존재 위백규가 세운 뜻 = 311
17 나라를 통째로 개혁하자 : 유배지에서 꽃피운 다산 정약용의 경세사상 = 333
18 언로를 열어 백성의 의견을 수렴하자 : 구한말 시대정신을 이끈 화서 이항로의 선비정신 = 355
19 성리학사상을 의병운동으로 승화시켜 : 철학이론을 온몸으로 실천한 노사 기정진 = 377
20 만물의 이치란 인간본성이 아니라 마음에 있다 : 조선시대 마지막 성리학자 한주 이진상 = 397
21 쌀 한 톨 물 한 모금도 왜놈 것은 먹을 수 없다 : 의병장 면암 최익현의 생각과 실천 = 419
22 나는 당당한 조선의 관리다 : 망국에 단식으로 생을 마친 향산 이만도 = 441
23 백성의 아픔을 절창하다 : 서릿발 같은 암행어사 영재 이건창 = 461
24 망국에 한 사람도 자결 않는다면 되겠는가 : 매천 황현, 지식인의 책무를 몸으로 실천한 의인 = 481
주요인물 소개 = 500
역사용어 풀이 = 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