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서론 = 11
제1장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 13
제2장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 19
제3장 상호의존관계와 교역의 이득 = 27
제2부 수요와 공급 1 : 시장의 작동원리 = 35
제4장 시장의 수요와 공급 = 37
제5장 탄력성과 그 응용 = 51
제6장 수요, 공급과 정부정책 = 59
제3부 수요와 공급 2 : 시장과 경제적 후생 = 69
제7장 소비자, 생산자, 시장의 효율성 = 71
제8장 응용 : 조세의 경제적 비용 = 83
제9장 응용 : 국제무역 = 93
제4부 공공 경영학 = 105
제10장 외부효과 = 107
제11장 공공재와 공유자원 = 115
제12장 조세제도 = 121
제5부 기업행동과 산업조직 = 127
제13장 생산비용 = 129
제14장 경쟁시장 = 139
제15장 독점 = 149
제16장 과점 = 161
제17장 독점적 경쟁 = 169
제6부 노동시장의 경제학 = 175
제18장 생산요소시장 = 177
제19장 임금소득과 차별 = 185
제20장 소득불평등과 빈곤 = 189
제7부 소비자 행동 모형 = 193
제21장 소비자선택 이론 = 195
제22장 미시경제학의 새로운 영역 = 209
제8부 거시경제 데이터 = 213
제23장 국민소득의측정 = 215
제24장 생계비의 측정 = 219
제9부 장기 실물 경제 = 223
제25장 생산과 성장 = 225
제26장 저축, 투자와 금융제도 = 229
제27장 재무이론의 기초 = 237
제28장 실업과 자연실업률 = 241
제10부 화폐와 물가의 장기적 관계 = 249
제29장 통화제도 = 251
제30장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 257
제11부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263
제31장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기본개념 = 265
제32장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 271
제12부 단기 경기변동 = 283
제33장 총수요와 총공급 = 285
제34장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 297
제35장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충관계 = 305
제13부 책 말미에 = 315
제36장 거시경제에 관한 다섯 가지 쟁점 = 317
제1부 서론 = 11
제1장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 13
제2장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 19
제3장 상호의존관계와 교역의 이득 = 27
제2부 수요와 공급 1 : 시장의 작동원리 = 35
제4장 시장의 수요와 공급 = 37
제5장 탄력성과 그 응용 = 51
제6장 수요, 공급과 정부정책 = 59
제3부 수요와 공급 2 : 시장과 경제적 후생 = 69
제7장 소비자, 생산자, 시장의 효율성 = 71
제8장 응용 : 조세의 경제적 비용 = 83
제9장 응용 : 국제무역 = 93
제4부 공공 경영학 = 105
제10장 외부효과 = 107
제11장 공공재와 공유자원 = 115
제12장 조세제도 = 121
제5부 기업행동과 산업조직 = 127
제13장 생산비용 = 129
제14장 경쟁시장 = 139
제15장 독점 = 149
제16장 과점 = 161
제17장 독점적 경쟁 = 169
제6부 노동시장의 경제학 = 175
제18장 생산요소시장 = 177
제19장 임금소득과 차별 = 185
제20장 소득불평등과 빈곤 = 189
제7부 소비자 행동 모형 = 193
제21장 소비자선택 이론 = 195
제22장 미시경제학의 새로운 영역 = 209
제8부 거시경제 데이터 = 213
제23장 국민소득의측정 = 215
제24장 생계비의 측정 = 219
제9부 장기 실물 경제 = 223
제25장 생산과 성장 = 225
제26장 저축, 투자와 금융제도 = 229
제27장 재무이론의 기초 = 237
제28장 실업과 자연실업률 = 241
제10부 화폐와 물가의 장기적 관계 = 249
제29장 통화제도 = 251
제30장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 257
제11부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263
제31장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기본개념 = 265
제32장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 271
제12부 단기 경기변동 = 283
제33장 총수요와 총공급 = 285
제34장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 297
제35장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충관계 = 305
제13부 책 말미에 = 315
제36장 거시경제에 관한 다섯 가지 쟁점 =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