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개정 증보판의 발행에 부쳐)
제1장 공연예술 전문기획의 요소
1.1 공연예술이란 무엇인가? ... 12
1.2 공연예술 전문기획의 구성요소 ... 16
1.3 공연예술 전문기획의 주역들 ... 18
1.4 ‘아트 스타일리스트’라는 첨단 공연예술 기획자 ... 22
1.5 공연예술 발달의 역사적 개요 ... 26
1.6 공연예술 전문기획의 변천사 ... 29
1.7 21세기 공연예술 기획자의 사회적 사명 ... 34
1.8 한국 공연예술 기획 분야의 패러다임 변화 ... 37
1.9 공연예술에서의 승자독식 원리 ... 44
1.10 공연예술 분야에서의 80/20원칙 ... 47
1.11 공연예술 분야의 전략적 제휴 ... 49
제2장 공연예술 전문기획의 예비 단계
2.1 아티스트와 매니지먼트사와의 관계 ... 54
2.2 아티스트 매니저의 역사 ... 61
2.3 아티스트 매니저의 역할 ... 63
2.4 아티스트 매니저를 필요로 하는 환경 ... 65
2.5 공연예술 기획 업무의 복합성 ... 67
2.6 공연예술 기획자의 바람직한 자세 ... 72
2.7 공연예술 기획자에게 필요한 세 가지 요소 ... 77
2.8 공연물 탐색과 자료의 수집 ... 82
2.9 공연예술 기획의 오리엔테이션 ... 85
2.10 공연예술 기획 프로젝트 전담조직 구성 ... 89
2.11 공연예술 기획을 위한 아이디어 회의 ... 93
2.12 공연예술 프로젝트 기획회의의 방법 ... 97
제3장 공연 무대개최를 위한 세부 실행
3.1 6W3H 원칙에 의한 기획방향 설정 ... 102
3.2 공연예술 프로젝트의 사업계획서 작성 ... 105
3.3 공연에 따른 수입과 지출의 역학관계 ... 108
3.4 공연예술 프로젝트의 입장권 가격요소 ... 112
3.5 심리적 입장료 책정의 다양한 기법 ... 115
3.6 공연개최 시의 SWOT과 PEST 분석 ... 118
3.7 공연예술 기획 주체의 역할과 기능 ... 123
3.8 공연 커뮤니케이션의 AIDCA 요소 ... 128
3.9 관객에게 다가가는 창의적 전략 ... 131
3.10 협찬 확보는 공연예술 기획의 요체 ... 134
제4장 공연예술 프로젝트의 프로모션과 마케팅
4.1 아트 프로모션과 마케팅의 중요성 ... 140
4.2 공연의 다양한 터치포인트 활용 ... 145
4.3 주요 공연관객에 대한 집중 판촉 ... 148
4.4 공연예술 상품의 관객 세분화 ... 151
4.5 특정 틈새시장 공략의 효율성 ... 156
4.6 공연예술 상품은 게릴라 마케팅이 중요 ... 160
4.7 공연홍보물 제작의 크리에이티비티 ... 164
4.8 공연예술 기획사 이미지 재고의 필요성 ... 169
4.9 보도자료의 효율적 제작과 운용 ... 173
4.10 공연 개최 전 매스미디어 홍보의 적극성 ... 178
4.11 고객서비스와 품격 있는 관객 개발 ... 182
4.12 오프라인에서의 전통적인 공연홍보 도구 ... 186
4.13 인적 네트워크와 구전마케팅의 위력 ... 190
4.14 온라인에서 바이러스 마케팅의 효용성 ... 195
4.15 공연예술 기획사 웹사이트의 프로모션 전략 ... 201
제5장 아티스트 관리 및 무대 매니지먼트
5.1 아티스트의 공연계약서 체결 ... 208
5.2 아티스트 출연 스케줄 종합관리 ... 212
5.3 공연리허설 준비 점검사항 ... 217
5.4 아티스트의 무대공간 숙지 ... 220
5.5 외국 아티스트 초청공연의 관리 ... 224
5.6 아티스트와 공연료와의 관계 ... 229
5.7 아티스트의 공연 외 커뮤니티 활동 ... 233
5.8 아티스트에 대한 기초적인 편의의 배려 ... 240
5.9 공연 관련 외부기관과의 협력 유대 ... 245
5.10 영어 커뮤니케이션은 공연예술 전문가의 필수 ... 247
5.11 입장권 관리와 초대권의 경제적 가치 ... 251
5.12 무대스태프와의 코디네이션과 공연 진행 ... 255
5.13 공연의 피날레와 예술적 애프터서비스 ... 260
5.14 공연진행 스태프와의 평가 기회 ... 264
제6장 공연예술 기획에 대한 정리 및 평가
6.1 공연 계획 후 평가에 대한 모니터링 ... 268
6.2 공연예술 기획 평가 분석의 요소들 ... 270
6.3 공연수지에 대한 종합 결산작업 ... 272
6.4 공연예술 기획 업무의 바람직한 패러다임 ... 274
6.5 공연예술 기획은 유기체적 비즈니스 ... 276
6.6 관객개발이 공연예술 기획 사업의 핵심 ... 280
제7장 지역축제에서 공연예술 기획의 의미
7.1 지역축제에서 공연예술의 지식경영 ... 286
7.2 축제 공연예술 기획에서의 주요 고려사항 ... 290
7.3 축제의 성공을 보장하는 주변 환경들 ... 294
7.4 축제 공연예술 기획의 조직과 효율적인 운용 ... 298
7.5 축제 공연예술 기획 전문가의 필요한 자질 ... 301
7.6 축제 준비에 필요한 각종 구성요건들 ... 305
주석 ... 308
공연예술 기획의 주요용어 해설 ... 316
참고문헌 ... 326
색인 ... 332
제1장 공연예술 전문기획의 요소
1.1 공연예술이란 무엇인가? ... 12
1.2 공연예술 전문기획의 구성요소 ... 16
1.3 공연예술 전문기획의 주역들 ... 18
1.4 ‘아트 스타일리스트’라는 첨단 공연예술 기획자 ... 22
1.5 공연예술 발달의 역사적 개요 ... 26
1.6 공연예술 전문기획의 변천사 ... 29
1.7 21세기 공연예술 기획자의 사회적 사명 ... 34
1.8 한국 공연예술 기획 분야의 패러다임 변화 ... 37
1.9 공연예술에서의 승자독식 원리 ... 44
1.10 공연예술 분야에서의 80/20원칙 ... 47
1.11 공연예술 분야의 전략적 제휴 ... 49
제2장 공연예술 전문기획의 예비 단계
2.1 아티스트와 매니지먼트사와의 관계 ... 54
2.2 아티스트 매니저의 역사 ... 61
2.3 아티스트 매니저의 역할 ... 63
2.4 아티스트 매니저를 필요로 하는 환경 ... 65
2.5 공연예술 기획 업무의 복합성 ... 67
2.6 공연예술 기획자의 바람직한 자세 ... 72
2.7 공연예술 기획자에게 필요한 세 가지 요소 ... 77
2.8 공연물 탐색과 자료의 수집 ... 82
2.9 공연예술 기획의 오리엔테이션 ... 85
2.10 공연예술 기획 프로젝트 전담조직 구성 ... 89
2.11 공연예술 기획을 위한 아이디어 회의 ... 93
2.12 공연예술 프로젝트 기획회의의 방법 ... 97
제3장 공연 무대개최를 위한 세부 실행
3.1 6W3H 원칙에 의한 기획방향 설정 ... 102
3.2 공연예술 프로젝트의 사업계획서 작성 ... 105
3.3 공연에 따른 수입과 지출의 역학관계 ... 108
3.4 공연예술 프로젝트의 입장권 가격요소 ... 112
3.5 심리적 입장료 책정의 다양한 기법 ... 115
3.6 공연개최 시의 SWOT과 PEST 분석 ... 118
3.7 공연예술 기획 주체의 역할과 기능 ... 123
3.8 공연 커뮤니케이션의 AIDCA 요소 ... 128
3.9 관객에게 다가가는 창의적 전략 ... 131
3.10 협찬 확보는 공연예술 기획의 요체 ... 134
제4장 공연예술 프로젝트의 프로모션과 마케팅
4.1 아트 프로모션과 마케팅의 중요성 ... 140
4.2 공연의 다양한 터치포인트 활용 ... 145
4.3 주요 공연관객에 대한 집중 판촉 ... 148
4.4 공연예술 상품의 관객 세분화 ... 151
4.5 특정 틈새시장 공략의 효율성 ... 156
4.6 공연예술 상품은 게릴라 마케팅이 중요 ... 160
4.7 공연홍보물 제작의 크리에이티비티 ... 164
4.8 공연예술 기획사 이미지 재고의 필요성 ... 169
4.9 보도자료의 효율적 제작과 운용 ... 173
4.10 공연 개최 전 매스미디어 홍보의 적극성 ... 178
4.11 고객서비스와 품격 있는 관객 개발 ... 182
4.12 오프라인에서의 전통적인 공연홍보 도구 ... 186
4.13 인적 네트워크와 구전마케팅의 위력 ... 190
4.14 온라인에서 바이러스 마케팅의 효용성 ... 195
4.15 공연예술 기획사 웹사이트의 프로모션 전략 ... 201
제5장 아티스트 관리 및 무대 매니지먼트
5.1 아티스트의 공연계약서 체결 ... 208
5.2 아티스트 출연 스케줄 종합관리 ... 212
5.3 공연리허설 준비 점검사항 ... 217
5.4 아티스트의 무대공간 숙지 ... 220
5.5 외국 아티스트 초청공연의 관리 ... 224
5.6 아티스트와 공연료와의 관계 ... 229
5.7 아티스트의 공연 외 커뮤니티 활동 ... 233
5.8 아티스트에 대한 기초적인 편의의 배려 ... 240
5.9 공연 관련 외부기관과의 협력 유대 ... 245
5.10 영어 커뮤니케이션은 공연예술 전문가의 필수 ... 247
5.11 입장권 관리와 초대권의 경제적 가치 ... 251
5.12 무대스태프와의 코디네이션과 공연 진행 ... 255
5.13 공연의 피날레와 예술적 애프터서비스 ... 260
5.14 공연진행 스태프와의 평가 기회 ... 264
제6장 공연예술 기획에 대한 정리 및 평가
6.1 공연 계획 후 평가에 대한 모니터링 ... 268
6.2 공연예술 기획 평가 분석의 요소들 ... 270
6.3 공연수지에 대한 종합 결산작업 ... 272
6.4 공연예술 기획 업무의 바람직한 패러다임 ... 274
6.5 공연예술 기획은 유기체적 비즈니스 ... 276
6.6 관객개발이 공연예술 기획 사업의 핵심 ... 280
제7장 지역축제에서 공연예술 기획의 의미
7.1 지역축제에서 공연예술의 지식경영 ... 286
7.2 축제 공연예술 기획에서의 주요 고려사항 ... 290
7.3 축제의 성공을 보장하는 주변 환경들 ... 294
7.4 축제 공연예술 기획의 조직과 효율적인 운용 ... 298
7.5 축제 공연예술 기획 전문가의 필요한 자질 ... 301
7.6 축제 준비에 필요한 각종 구성요건들 ... 305
주석 ... 308
공연예술 기획의 주요용어 해설 ... 316
참고문헌 ... 326
색인 ...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