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내용 보기
1부 역사와 진화
제1장 다문화 관점에서 바라본 미국의 유아교육사
1. 개요 = 3
2. 미국 원주민 유아의 교육 = 4
3. 흑인 유아의 교육 = 10
4. 이민자 유아의 교육 = 13
5. 히스패닉/라틴계 유아의 교육 = 15
6. 아시아계 유아의 교육 = 18
7. 이중언어 사용 유아의 교육 = 24
8. 여성과 유아교육 = 25
9. 결론 = 28
웹사이트 = 28
참고문헌 = 29
제2장 영아보육 프로그램
1. PITC의 목적 = 33
2. PITC 소개 = 34
3. PITC의 원칙 = 36
4. PITC의 역사 = 38
5. PITC 이론 및 연구의 기초 = 42
6. 교육과정에 대한 PITC 접근법 = 48
7. PITC 교사교육의 구성요소 = 51
8. PITC 교사양성과정 = 55
9. 미디어에 기초한 PITC 교사교육 = 57
10. 요구 사정 = 58
11. PITC의 효과 = 61
12. 결론 = 62
웹사이트 = 64
참고문헌 = 64
제3장 헤드스타트 프로그램
1. 헤드스타트의 진화 = 70
2.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및 효과 = 78
3. 시범 프로젝트 = 90
4. 헤드스타트의 미래 = 93
참고문헌 = 94
제4장 포테이지 모델: 유아와 가족을 위한 조기 개입에 대한 가정중심 접근법
1. 서론 = 99
2. 포테이지 모델 = 103
3. 포테이지 모델 연구와 평가 = 110
4. 포테이지 수정과 적용 = 112
5. 포테이지의 새로운 과제 = 122
6. 결론 = 125
참고문헌 = 126
2부 통합과 연계
제5장 모두를 포함하기: 장애 유아와 일반 유아를 위한 유아 프로그램 모형
1. Jowonio 학교의 역사 = 140
2. Jowonio 학교의 철학적 기초 = 142
3. 다루기 힘든 행동의 지도 = 147
4. 학교와 학급 구성 = 152
5. 포괄적 통합을 달성하는 방법 = 153
6. 다음 환경으로의 전이 = 157
7. 교사교육에의 시사점 = 158
8. 통합을 위한 그 밖의 노력 = 158
9. 결론 = 161
참고문헌 = 162
제6장 21세기의 '문화에 적합한 교육', '다문화 교육', '반편견 교육'을 위한 개념적 틀
1. 유아는 다양성을 어떻게 학습하는가? = 170
2. 다양성에 대한 교육적 접근: 과거와 현재 = 182
3. 결론 = 201
참고문헌 = 202
제7장 조기 개입 프로그램
1. 학교준비도 정의하기 = 210
2. 결론 = 226
웹사이트 = 227
참고문헌 = 227
제8장 공립학교에서의 유아발달/교육(EDE) 프로그램
1. 공립 유아원과 종일제 유치원 = 235
2. 전이와 협력 = 255
3. 유아기 연구 = 257
4. 결론 = 257
웹사이트 = 258
참고문헌 = 260
3부 미국식 접근
제9장 하이스코프 유아교육모형
1. 역사 = 268
2. 유아에 의한 능동적 학습 = 270
3. 교사의 역할 = 271
4. 능동적인 학습을 위한 하루 일과 = 271
5. 핵심 발달지표 = 274
6. 하이스코프 유아관찰기록 = 276
7. 부모와 지역사회의 역할 = 277
8. 하이스코프 교육모형에서의 교사교육 = 278
9. 하이스코프 교육모형을 지지하는 연구들 = 279
10. 연구와 하이스코프 모형 간의 관계 = 291
11. 결론 = 293
참고문헌 = 294
제10장 정신의 도구: 유아교육에 대한 Vygotsky식 접근
1. Vygotsky식 접근의 이론적 기초 = 297
2. 학습과 가르침에 대한 Vygotsky의 관점 = 302
3. 유아 발달에 대한 Vygotsky 이론가들의 견해 = 306
4. 유아 교실에서의 Vygotsky 이론 적용 = 308
5. 결론 = 320
웹사이트 = 320
참고문헌 = 321
제11장 스펙트럼에서 브릿징으로: 유아학급에서 교육과정 및 수업과 평가 통합하기
1. 유아평가 실제의 역사 = 325
2. 유아평가에 대한 스펙트럼 접근법 = 327
3. 평가와 교육과정 통합에 있어서의 스펙트럼의 역할 = 331
4. 유아교육의 새로운 쟁점과 동향 = 332
5. 유아교실에서의 평가에 대한 브릿징 접근법 = 334
6. 평가와 교육과정의 통합에 있어서의 브릿징 평가의 역할 = 339
7. 교사의 전문성 발달: 평가와 교육과정 통합을 위한 열쇠 = 340
8. 결론 = 344
참고문헌 = 345
제12장 뱅크 스트리트 교육대학의 발달적 상호작용 접근법
1. 역사와 발전 = 350
2. 기본 원칙 = 353
3. 교육과정 = 355
4. 교사교육에 대한 함의 = 367
5. 결론 = 370
웹사이트 = 370
참고문헌 = 370
감사의 글 = 374
제13장 프로젝트 접근법: 개요
1. 프로젝트란 무엇인가? = 376
2. 프로젝트 활동과 그 외 영역의 교육과정 = 377
3.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원리 = 379
4. 프로젝트 접근법의 적용 = 383
5. 프로젝트 단계 = 387
6. 유치원에서 이루어진 신발 프로젝트 = 391
7. 결론 = 394
참고문헌 = 395
4부 유럽식 접근
제14장 유아보육 및 교육에서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토론을 위한 맥락 창출하기
1. 레지오 에밀리아 역사 이해하기: 미국 유아교육에서 레지오 에밀리아 역할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 = 401
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원리와 실제: 옛것과 새것의 결합 = 405
3. 레지오 에밀리아가 미국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 오하이오 사례연구 = 418
4. 결론 = 425
참고문헌 = 427
제15장 유아교육에 대한 발도르프의 접근법
1. Rudolf Steiner와 인지학 = 433
2. 프로그램 특징 = 439
3. 유아 학습의 평가 = 451
4. 가족과의 관계 형성 = 453
5. 발도르프와 다른 접근법 = 455
6. 결론 = 462
추천사이트 = 463
인터넷상의 세계 발도르프 학교 = 464
발도르프 교육과 관련된 책 = 464
참고문헌 = 464
제16장 몬테소리 교육의 현재
1. 핵심 내용과 기본 배경 = 468
2. Montessori의 발달적 관점 = 471
3. 프로그램의 특징 = 476
4. 교육과정 영역 = 481
5. 교사의 역할 = 489
6. 몬테소리 연구 = 491
7. 초등학교 단계에서의 몬테소리 교육 = 497
8. 공립 몬테소리 프로그램 = 501
9. 개발도상국가에서의 몬테소리 = 502
10. 결론 = 504
몬테소리 관련자료 = 505
참고문헌 = 506
제17장 피라미드 방법
1. 기본 개념 = 511
2. 기본 개념 간의 관계 = 515
3. 최적화 = 516
4. 내용 = 517
5. 세 가지 지능 = 517
6. 행동과 사고의 수준 = 519
7. 네 가지 프로그램 = 520
8. 개입의 세 수준 = 521
9. 프로그램의 정교화 = 522
10. 평가 = 537
11. 결론 = 548
웹사이트 = 548
참고문헌 = 549
찾아보기 = 551
1부 역사와 진화
제1장 다문화 관점에서 바라본 미국의 유아교육사
1. 개요 = 3
2. 미국 원주민 유아의 교육 = 4
3. 흑인 유아의 교육 = 10
4. 이민자 유아의 교육 = 13
5. 히스패닉/라틴계 유아의 교육 = 15
6. 아시아계 유아의 교육 = 18
7. 이중언어 사용 유아의 교육 = 24
8. 여성과 유아교육 = 25
9. 결론 = 28
웹사이트 = 28
참고문헌 = 29
제2장 영아보육 프로그램
1. PITC의 목적 = 33
2. PITC 소개 = 34
3. PITC의 원칙 = 36
4. PITC의 역사 = 38
5. PITC 이론 및 연구의 기초 = 42
6. 교육과정에 대한 PITC 접근법 = 48
7. PITC 교사교육의 구성요소 = 51
8. PITC 교사양성과정 = 55
9. 미디어에 기초한 PITC 교사교육 = 57
10. 요구 사정 = 58
11. PITC의 효과 = 61
12. 결론 = 62
웹사이트 = 64
참고문헌 = 64
제3장 헤드스타트 프로그램
1. 헤드스타트의 진화 = 70
2.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및 효과 = 78
3. 시범 프로젝트 = 90
4. 헤드스타트의 미래 = 93
참고문헌 = 94
제4장 포테이지 모델: 유아와 가족을 위한 조기 개입에 대한 가정중심 접근법
1. 서론 = 99
2. 포테이지 모델 = 103
3. 포테이지 모델 연구와 평가 = 110
4. 포테이지 수정과 적용 = 112
5. 포테이지의 새로운 과제 = 122
6. 결론 = 125
참고문헌 = 126
2부 통합과 연계
제5장 모두를 포함하기: 장애 유아와 일반 유아를 위한 유아 프로그램 모형
1. Jowonio 학교의 역사 = 140
2. Jowonio 학교의 철학적 기초 = 142
3. 다루기 힘든 행동의 지도 = 147
4. 학교와 학급 구성 = 152
5. 포괄적 통합을 달성하는 방법 = 153
6. 다음 환경으로의 전이 = 157
7. 교사교육에의 시사점 = 158
8. 통합을 위한 그 밖의 노력 = 158
9. 결론 = 161
참고문헌 = 162
제6장 21세기의 '문화에 적합한 교육', '다문화 교육', '반편견 교육'을 위한 개념적 틀
1. 유아는 다양성을 어떻게 학습하는가? = 170
2. 다양성에 대한 교육적 접근: 과거와 현재 = 182
3. 결론 = 201
참고문헌 = 202
제7장 조기 개입 프로그램
1. 학교준비도 정의하기 = 210
2. 결론 = 226
웹사이트 = 227
참고문헌 = 227
제8장 공립학교에서의 유아발달/교육(EDE) 프로그램
1. 공립 유아원과 종일제 유치원 = 235
2. 전이와 협력 = 255
3. 유아기 연구 = 257
4. 결론 = 257
웹사이트 = 258
참고문헌 = 260
3부 미국식 접근
제9장 하이스코프 유아교육모형
1. 역사 = 268
2. 유아에 의한 능동적 학습 = 270
3. 교사의 역할 = 271
4. 능동적인 학습을 위한 하루 일과 = 271
5. 핵심 발달지표 = 274
6. 하이스코프 유아관찰기록 = 276
7. 부모와 지역사회의 역할 = 277
8. 하이스코프 교육모형에서의 교사교육 = 278
9. 하이스코프 교육모형을 지지하는 연구들 = 279
10. 연구와 하이스코프 모형 간의 관계 = 291
11. 결론 = 293
참고문헌 = 294
제10장 정신의 도구: 유아교육에 대한 Vygotsky식 접근
1. Vygotsky식 접근의 이론적 기초 = 297
2. 학습과 가르침에 대한 Vygotsky의 관점 = 302
3. 유아 발달에 대한 Vygotsky 이론가들의 견해 = 306
4. 유아 교실에서의 Vygotsky 이론 적용 = 308
5. 결론 = 320
웹사이트 = 320
참고문헌 = 321
제11장 스펙트럼에서 브릿징으로: 유아학급에서 교육과정 및 수업과 평가 통합하기
1. 유아평가 실제의 역사 = 325
2. 유아평가에 대한 스펙트럼 접근법 = 327
3. 평가와 교육과정 통합에 있어서의 스펙트럼의 역할 = 331
4. 유아교육의 새로운 쟁점과 동향 = 332
5. 유아교실에서의 평가에 대한 브릿징 접근법 = 334
6. 평가와 교육과정의 통합에 있어서의 브릿징 평가의 역할 = 339
7. 교사의 전문성 발달: 평가와 교육과정 통합을 위한 열쇠 = 340
8. 결론 = 344
참고문헌 = 345
제12장 뱅크 스트리트 교육대학의 발달적 상호작용 접근법
1. 역사와 발전 = 350
2. 기본 원칙 = 353
3. 교육과정 = 355
4. 교사교육에 대한 함의 = 367
5. 결론 = 370
웹사이트 = 370
참고문헌 = 370
감사의 글 = 374
제13장 프로젝트 접근법: 개요
1. 프로젝트란 무엇인가? = 376
2. 프로젝트 활동과 그 외 영역의 교육과정 = 377
3.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원리 = 379
4. 프로젝트 접근법의 적용 = 383
5. 프로젝트 단계 = 387
6. 유치원에서 이루어진 신발 프로젝트 = 391
7. 결론 = 394
참고문헌 = 395
4부 유럽식 접근
제14장 유아보육 및 교육에서의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토론을 위한 맥락 창출하기
1. 레지오 에밀리아 역사 이해하기: 미국 유아교육에서 레지오 에밀리아 역할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 = 401
2.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원리와 실제: 옛것과 새것의 결합 = 405
3. 레지오 에밀리아가 미국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 오하이오 사례연구 = 418
4. 결론 = 425
참고문헌 = 427
제15장 유아교육에 대한 발도르프의 접근법
1. Rudolf Steiner와 인지학 = 433
2. 프로그램 특징 = 439
3. 유아 학습의 평가 = 451
4. 가족과의 관계 형성 = 453
5. 발도르프와 다른 접근법 = 455
6. 결론 = 462
추천사이트 = 463
인터넷상의 세계 발도르프 학교 = 464
발도르프 교육과 관련된 책 = 464
참고문헌 = 464
제16장 몬테소리 교육의 현재
1. 핵심 내용과 기본 배경 = 468
2. Montessori의 발달적 관점 = 471
3. 프로그램의 특징 = 476
4. 교육과정 영역 = 481
5. 교사의 역할 = 489
6. 몬테소리 연구 = 491
7. 초등학교 단계에서의 몬테소리 교육 = 497
8. 공립 몬테소리 프로그램 = 501
9. 개발도상국가에서의 몬테소리 = 502
10. 결론 = 504
몬테소리 관련자료 = 505
참고문헌 = 506
제17장 피라미드 방법
1. 기본 개념 = 511
2. 기본 개념 간의 관계 = 515
3. 최적화 = 516
4. 내용 = 517
5. 세 가지 지능 = 517
6. 행동과 사고의 수준 = 519
7. 네 가지 프로그램 = 520
8. 개입의 세 수준 = 521
9. 프로그램의 정교화 = 522
10. 평가 = 537
11. 결론 = 548
웹사이트 = 548
참고문헌 = 549
찾아보기 = 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