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간행사
머리말
제1부 유학의 영역과 중심개념
1. 유학(儒學)과 유교(儒敎)
1) 유학의 개념적 이해
(1) 개념과 전거(典據) = 17
(2) 한말(韓末)의 유학개념 = 18
(3) 한말의 유학체계 = 23
(4) 근세 도학자(道學者)의 학술 = 24
(5) 근래의 유학연구 = 26
(6) 현...
목차 전체
목차
간행사
머리말
제1부 유학의 영역과 중심개념
1. 유학(儒學)과 유교(儒敎)
1) 유학의 개념적 이해
(1) 개념과 전거(典據) = 17
(2) 한말(韓末)의 유학개념 = 18
(3) 한말의 유학체계 = 23
(4) 근세 도학자(道學者)의 학술 = 24
(5) 근래의 유학연구 = 26
(6) 현대 한국의 유학 = 28
2) 유교와 종교사상
(1) 도덕적 종교 = 32
(2) 제의(祭儀) 공동체-가정과 국가 = 34
2. 도학(道學)과 성리학(性理學)
1) 도학의 개념과 전개
(1) 도학의 형성과 개념 = 36
(2) 도학과 관련된 명칭 = 38
(3) 도학의 기본정신 = 40
(4) 조선시대 도학의 전개 = 42
2) 성리학의 기본과제와 한국성리학의 쟁점
(1) 성리학의 성립 = 43
(2) 성리학의 기본과제 = 44
(3) 한국성리학의 쟁점과 전개 = 45
3. 심학(心學)과 심경(心經)
1) 심학의 개념과 전개 = 47
2) 심경의 이해와 도학적 심학
(1) 홍치(洪治)의 심학체계-심학장구집주대전(心學章句集註大全) = 57
(2) 조목(趙穆)의 심학이해-심경품질(心經稟質) = 59
4. 예학(禮學)의 개념과 역사적 전개
1) 예(禮)의 개념적 이해 = 61
2) 예(禮)의 분류형태
(1) 상례(常禮)와 변례(變禮) = 63
(2) 예경(禮經)의 구성 = 64
(3) 예의 분류형식 = 65
3) 제사의례의 형태와 절차 = 65
4) 한국 유교의례의 전통과 과제 = 68
5. 실학의 기본성격과 조선후기 실학
1) 실학의 기본성격
(1) 실학의 개념과 위치 = 71
(2) 실학의 열린 정신 = 72
(3) 실학의 합리적 정신 = 74
(4) 실학의 실용정신 = 76
(5) 실학의 민중의 발견 = 77
(6) 실학의 민족의 자각 = 79
(7) 오늘에서의 실학 = 81
2) 19세기 실학의 거장-정약용과 최한기
(1) 다산 정약용의 실학적 세계 = 81
(2) 혜강 최한기(惠岡崔漢綺)의 기철학적(氣哲學的)세계 = 88
6. 유교의 천(天)-상제관(上帝觀)
1) 하늘과 인간의 두 축 = 96
2) 천(天)의 명칭과 성질
(1) 천(天)-상제와 신 = 98
(2) 천도(天道)와 태극-이(理) = 100
3) 천(天)의 기본성격
(1) 천의 편재성(遍在性)과 영명성(靈明性) = 102
(2) 천의 조화작용과 주재(主宰)의 지위 = 103
4) 천인(天人)관계의 방법
(1) 하늘과 인간의 만남 = 107
(2)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이상과 실현방법으로서 수양론(修養論) = 108
5) 유교의 종교적 세계
(1) 유교적 천관(天觀)의 종교적 의미 = 109
(2) 성리학의 합리성과 종교성 = 114
7. 한국적 전통윤리의 특성
1) 전통윤리와 유교문화
(1) 전통윤리의 성격 = 116
(2) 전통윤리의 유교적 인간이해 = 117
(3) 전통윤리의 유교적 세계의식 = 122
(4) 전통윤리와 사회계층 문제 = 126
(5) 전통윤리와 문화적 교섭 = 130
(6) 전통윤리와 한국적 성격과 가능성 = 134
2) 충(忠)·효(孝)-전통적 도덕규범의 두 축
(1) 효의 규범과 시대적 전개 = 136
(2) 충의 정신과 역사적 전개 = 145
8. 선비와 선비문화
1) 선비정신과 유교적 인격의 구현
(1) 한국역사와 선비정신의 발아(發芽) = 151
(2) 선비정신의 성쇠 = 153
(3) 선비의 성격과 기능 = 154
(4) 의리정신과 용기 = 157
(5) 대의(大義)와 역사에 대한 신념 = 158
(6) 선비정신의 계승 = 160
(7) 선비정신과 사회적 책임의식 = 163
2) 유교적 인격의 배양-성균관·향교·서원
(1) 성균관과 향교-선비정신의 산실(産室) = 164
(2) 서원(書院)-선비정신의 남은 향기 = 167
(3) 향례(鄕禮)-선비의 공동체와 의례 = 187
9. 유교전통과 가정
1) 유교전통의 가족
(1) 가정과 유교전통의 가족 = 192
(2) 가정의 위치와 가족주의 = 192
(3) 가족의 개체 = 193
(4) 가정의 형성과정 = 195
2) 유교적 생명관과 가족의식
(1) 생명관과 가족의식 = 196
(2) 조상과 후손의 공동체로서의 가정 = 197
(3) 혼인의 의미 = 198
(4) 가족의 유대와 연속성 = 200
3) 가정과 도덕의식
(1) 유교적 가치의 실현단계로서의 가정 = 201
(2) 도덕의 기초로서 가족적 사랑 = 202
(3) 효(孝)·제(弟)·자(慈)의 기본범주 = 203
4) 가정으로 확산으로서 국가와 우주 = 204
10. 유교의 경제사상 = 205
제2부 유교문화의 전통과 현대
11. 역학(易學)의 이해와 한국문화
1) 역학의 세계와 한국문화 = 214
2) 주역(周易)이해의 기초-태극(太極)과 천(天)의 개념
(1) 유교·도가(道家)의 태극개념 = 217
(2) 역학과 천(天)의 개념 = 228
3) 무망괘(無妄卦)와 중부괘(中孚卦)의 이해
(1) 무망괘(無妄卦)의 의미-성(誠)과 천명(天命) = 237
(2) 중부괘(中孚卦)의 의미-신(信)과 감화 = 242
4) 주역 이해의 응용-훈민정음의 구조와 역(易)사상
(1) 삼재(三才) 사상과 정음(正音) = 247
(2) 음양·오행(五行)사상과 정음 = 250
5) 삶의 원리와 우주의 원리 = 255
12. 한국사상의 고향으로서 산
1) 도시로 뻗은 길과 산으로 돌아오는 길 = 257
2) 산수(山水)가 어울린 맑은 기상 = 262
3) 산마루에 오르면 멀리 보이는데 = 270
4) 산림(山林)속에서 닦는 의리정신 = 273
13. 청년문화와 전통의 계승
1) 청년층의 문화적 위상 = 278
2) 청년문화 속에 자리한 전통문화의 현실 = 280
3) 청년문화와 전통문화의 재창조 = 282
4) 한국의 청년문화와 전통문화의 장래 = 283
14. 유교문화의 전통과 오늘의 역할
1) 근대적 전환과 전통문화의 위상 = 285
2) 인간 이해와 삶의 세계 = 288
3) 도덕과 의리의 새로운 각성 = 293
4) 예절의 변화와 오늘의 조건 = 298
5) 인간관계의 재구축과 새로운 공동체 = 303
6) 전통과의 새로운 만남과 문화의 창조 = 30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