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譯者序文 = ⅲ
著者序 = ⅴ
제Ⅰ부 서론
제1장 몇 가지 기본 가정들 = 3
1. 왜 학습을 연구하는가? = 5
행동은 법칙적인가? = 9
행동은 통제될 수 있는가? = 10
행동은 통제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 16
2. 학습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 16
권위 = 16
내성법 = 17
3....
목차 전체
譯者序文 = ⅲ
著者序 = ⅴ
제Ⅰ부 서론
제1장 몇 가지 기본 가정들 = 3
1. 왜 학습을 연구하는가? = 5
행동은 법칙적인가? = 9
행동은 통제될 수 있는가? = 10
행동은 통제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 16
2. 학습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 16
권위 = 16
내성법 = 17
3. 실험적 방법 = 21
가상적 실험 = 22
대안적 설명의 탐색 = 23
과학적 진보의 본질 = 27
4. 동물의 사용 = 30
동물을 사용하는 이점 = 30
동물 행동과 인간 행동은 유사한가? = 32
윤리적 문제점 = 36
5. 학습의 다양성 = 37
반사와 학습 = 38
연합학습 = 41
제2장 연합 학습 개관 = 45
1. 연합적 배경 = 46
신체에서의 연합 = 46
마음에서의 연합 = 48
뇌에서의 연합 = 50
2. 고전적 조건형성 = 54
Pavlov의 조건 반사 = 55
연합적 분석 = 58
3. 도구적 조건형성 = 61
강화 = 61
처벌 = 66
도구적 조건형성과 고전적 조건형성 = 67
4. 연합학습은 단순한 것인가? = 69
학습의 이론들 = 69
시행착오 학습의 재고 = 71
제Ⅱ부 고전적 조건형성
제3장 조건형서의 기초 = 77
1. Pavlov의 발견들 = 77
소거 = 78
역조건형성 = 83
자극통제 = 84
2. 통제 집단의 필요성 = 86
한가지 예: 공포의 조건형성 = 86
대안적인 설명 = 87
3. 조건형성의 일반원칙 = 92
자율 조건형성 = 93
골격 조건형성 = 98
조건형성된 동기 = 100
기대들 = 108
제4장 원리와 활용 = 109
1. 연합의 법칙 = 109
근접성 = 109
빈도 = 112
강도 = 113
2. 수반성 = 113
수반성의 개념 = 113
수반성과 조건형성 = 116
3. 준비성 = 122
맛-혐오 학습 = 123
맛-혐오 학습의 함축성 = 125
조건형성의 순응적 가치 = 128
4. 차폐 = 130
차폐의 현상 = 130
Kamin의 기억-주사 가설 = 131
양호한 예언자가 승리할 것이다 = 132
5. 조건형성의 활용 = 133
체계적 둔감화 = 134
혐오치료 = 138
행동치료 = 139
인지분석 = 141
제5장 조건형성의 이론 = 143
1. Rescorla-Wagner 모델 = 144
학습 그리고 기대의 역할 = 145
모델 = 146
2. Rescorla-Wagner 모델: 예언의 도출 = 150
파라미터 추정 = 151
조건형성 = 152
소거 = 153
차페 = 154
3. Rescorla-Wagner 모델의 평가 = 157
새로운 예언: 과잉기대 = 157
수반성에 대한 함축성 = 160
모델의 한계 = 162
평가 = 164
4. 조건형성을 통해 무엇이 학습되는가? = 165
S-S인가 S-R인가? = 166
신호 혹은 대체물? = 167
5. 수행의 문제 = 173
조건반응의 예언 = 174
행동-체계 분석 = 175
6. 조건형성은 자동적인가? = 181
자각없는 조건형성 = 181
불수의적 조건형성 = 186
제Ⅲ부 도구적 조건형성
제6장 강화 = 191
1. 기본 절차 = 192
미로 = 192
Skinner 상자 = 193
조성 = 195
2. 일차 강화물, 이차 강화물, 및 사회적 강화물 = 196
일차 강화물 = 196
이차 강화물 = 200
사회적 강화물 = 202
3. 강화의 지연 = 204
지연이 문제가 되는가? 205
간섭의 역할 = 210
인간 학습에 대한 함축성 = 212
4. 강화 계획 = 215
비율 기획과 간격 계획 = 216
DRL계획과 DRO계획 = 223
병립 계획 = 224
재소자에의 성공적인 활용 = 225
5. 동기화 = 227
추동 = 227
유인물 = 229
학습과 동기화 = 232
6. 자극 통제 = 235
자극 통제의 개념 = 235
일반화의 격려 = 237
변별의 격려 = 239
7. 예비적 활용 = 241
Dicky의 안경 = 241
점진적 변화의 중요성 = 242
제7장 반응 억압 = 247
1. 처벌 = 247
방법론적 문제들 = 248
동물에서의 처벌 = 249
인간의 처벌 = 256
이론적 분석 = 259
2. 처벌의 부작용 = 260
벌의 외상적인 예 = 261
공포 = 262
공격성 = 265
처벌의 평가 = 267
3. 소거 = 269
소거의 실용적 활용 = 270
처벌로서의 소거 = 271
4. 부분강화 효과 = 275
변별가설 = 275
Capaldi의 계기적 모델 = 276
제8장 활용 = 283
1. 교실에서의 강화 = 284
교실 행동 = 284
스포츠 교습 = 286
토큰 경제 = 287
2. 행동을 유지하는 문제 = 288
3. 강화의 해로운 효과들 = 291
도덕적 반대 = 292
내재적 동기의 훼손 = 293
강화의 평가 = 295
4. 강화에 대한 대안들: 모델링 = 297
모델링 = 297
공포증 치료에서의 모델링 = 299
모방의 결정요인들 = 301
5. 강화에 대한 대안들: 자기-통제 = 303
자기-통제의 기법들 = 304
자기-통제의 발달 = 306
여러분의 공부를 향상시키기 = 310
제9장 강화의 이론 = 313
1. 강화는 자동적인가? = 314
근접성이 충분한가? = 314
자각 없는 강화 = 319
자동강화의 평가 = 323
2. 학습에 강화가 필요한가? = 323
강화없는 학습 = 324
강화물의 역할 = 326
3. 회피 = 330
이-요인 이론 = 332
반응의 문제 = 335
태연한 도약자의 사례 = 339
인지적 분석 = 341
종합: 정보와 동기 = 344
4. 강화와 조건형성: 한 과정인가 두 과정인가? = 345
수반성 = 346
반응 = 349
원리들 = 352
하나의 과정인가? = 353
결론 = 356
제Ⅳ부 연합학습의 이론적 과정
제10장 진화적 맥락에서의 학습 = 359
1.일반 과정 견해 = 359
2. 진화적 전망 = 363
진화의 원리들 = 363
학습과 진화 = 366
3. 내부에서의 도전: 고전적 조건형성과 강화는 균일 과정인가? = 372
고전적 조건형성 = 373
강화: 유기체의 위반 행동 = 376
왜 강화가 실패하는가? = 378
4. 주제에서의 변산 = 382
순응론적 조망 = 383
고전적 조건형성과 강화에 대한 재고 = 385
각인의 연합적 분석 = 387
함축성 = 389
제11장 무엇이 학습되는가? = 391
1. S-R 이론 = 392
S-R이론의 발달 = 392
인지적 답변 = 396
문제점 = 397
2. 검증: 반응 없는 학습 = 398
수레를 탄 쥐들 = 399
잠재적 소거 = 399
3. 신행동주의 = 401
Hull의 공헌 = 402
잠재적 소거에 대한 설명 = 404
예언: 피학대적 쥐들의 사례 = 407
4. 인지 분석 = 409
Tolman의 기대 = 409
강화물의 평가절하 = 411
5. 종합 = 413
왜 이론적 논쟁이 해결되기 그렇게 어려웠는가? = 414
인간행동에서 습관과 자각 = 417
새로운 일치 = 420
제12장 어떻게 학습되는가? = 425
1. 정보처리의 개념 = 427
컴퓨터 유추 = 428
정보처리 조망 = 429
부호화 저장 및 인출 = 430
2. 인간기억의 정보처리 모델 = 430
부호화 = 431
저장 = 436
인출 = 438
요약 = 441
3. 자극 부호화: 관계 학습과 형상 학습 = 442
부호화에 관한 S-R 이론과 인지 이론 = 442
이조성 = 443
형상 학습 = 449
4. 자극 부호화: 주의 = 451
선택적 주의 = 452
주의의 지각모델 = 453
차폐: 중심과정으로서의 주의 = 456
요약 = 460
5. 강화물의 역할: 의외성 = 461
의외성 가설 = 462
표지 = 462
6. 인출 = 464
시연이 기억에 미치는 효과 = 464
간섭 = 467
인출단서들 = 469
7. 학습과 기억의 신연합 모델 = 471
모델 = 471
기본 현상에 대한 설명 = 472
신연합주의 모델의 검증 = 474
모델의 약점 = 477
제13장 연합학습은 단순한가 복잡한가? = 483
1. 인지도 = 485
Tolman의 인지도 가설 = 485
하지만 그것이 정말 지도인가? 486
지도 복잡성 = 490
2. 규칙 학습 = 492
학습세트 = 493
학습된 무기력 = 495
3. 개념 학습 = 500
비둘기의 개념학습 = 500
그것이 진정 학습인가? 502
4. 가설 이론 = 503
이론 = 504
가설 이론의 예언 = 505
가설 이론의 평가 = 508
5. 추상작용의 문제 = 509
원형과 본보기 = 509
원형 이론의 검증 = 511
6. 신경망적 해결(연합, 추상작용 및 모든 것에 대한…) = 512
뇌와 컴퓨터 = 513
신경망 모델 = 516
추상작용의 설명 = 519
그리고 모든 것들… = 523
예비적 평가 = 524
7. 연합학습과 인지 = 525
참고문헌 = 529
찾아보기 = 56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