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한국어판 서문 = 3
序 = 5
저자 서문 = 9
제1장 선진先秦의 문예심리학 = 19
제1절 상고 시기의 문예심리학 = 22
1. 은·주 청동기 예술의 사회심미심리 = 22
2. 춘추시대 음양오행학파의 '중화中和' 심미심리 사상 = 27
3.《고공기》의 문예심리학 = 35
제2절 노장老莊의 문예심리학 = 37
1. 노장 문예심리학의...
목차 전체
목차
한국어판 서문 = 3
序 = 5
저자 서문 = 9
제1장 선진先秦의 문예심리학 = 19
제1절 상고 시기의 문예심리학 = 22
1. 은·주 청동기 예술의 사회심미심리 = 22
2. 춘추시대 음양오행학파의 '중화中和' 심미심리 사상 = 27
3.《고공기》의 문예심리학 = 35
제2절 노장老莊의 문예심리학 = 37
1. 노장 문예심리학의 철학·미학적 토대 = 38
2. '유무상생有無相生' - 심리특징설 = 41
3. '솔정이왕率情而往' - 심미정감설 = 45
4. '척제현감滌除玄鑒' - 심미주의설 = 49
5. '신여물화身與物化' - 심미이정설 = 52
6. '이천합천以天合天' - 심리거리설 = 55
제3절 선진 유가의 문예심리학 = 59
1. 공자의 문예심리학 = 60
2. 맹자의 문예심리학 = 67
3. 순자의 문예심리학 = 74
제4절 선진시대 전적典籍의 문예심리학 = 81
1.《주역》의 문예심리학 = 81
2.《관자》의 문예심리학 = 89
3.《악기》의 문예심리학 = 93
4.《여씨춘추》의 문예심리학 = 74
제2장 양한兩漢의 문예심리학 = 105
제1절《회남자》의 문예심리학 = 108
제2절 동중서의 문예심리학 = 122
제3절 왕충의 문예심리학 = 127
제4절 한대의 서법심리학 = 131
제3장 위진남북조의 문예심리학 = 139
제1절 조비의 문기文氣론과 문예심리학 = 143
제2절《세설신어》의 문예심리학 = 147
제3절 위진 현학玄學과 문예심리학 = 153
제4절 완적ㆍ혜강의 악론樂論과 문예심리학 = 163
제5절《육기 문부》의 문예심리학 = 178
1. 상상론 = 178
2. 영감론 = 181
3. 연정론 = 183
4. 희열론 = 185
제6절《문심조룡》의 문예심리학 = 187
1.《문심조룡》문예심리학의 철학·미학적 토대 = 188
2. '신사神思' - 예술상상론 = 193
3. '정채情彩' - 예술정감론 = 206
4. '체성體性' - 창작주체론 = 211
5. '지음知音' - 예술감상론 = 219
제7절 종영《시품》의 문예심리학 = 226
1. '음영정성吟永情性' = 227
2. "시에 원망함을 기탁하다 託詩以怨" = 231
3. '자미滋味'설 = 234
제8절 위진남북조의 서법 회화심리학 = 237
1. 위진남북조의 서법심리학 = 238
2. 고개지의 '전신사조傳神寫照'와 '천상묘득遷想妙得' = 245
3. 종병의 '징회미상澄懷味象' = 252
4. 사혁의 '기운생동氣韻生動' = 259
제4장 당ㆍ송의 문예심리학 = 267
제1절 교연의 의경심리학 = 271
제2절 한유·유종원의 '서설舒泄'설 = 281
제3절 사공도의 감상심리학 = 292
제4절 당대의 서법·회화심리학 = 302
제5절 장재의 철학심리학 = 314
제6절 구양수의 '감격발분感激發憤'설 = 317
제7절 정호·정이의 심학心學 = 321
제8절 주희의 문예심리학 = 326
제9절 소식의 미감계통론 = 333
1. 수물부형隨物賦形, 신여물교神與物交 - 예술관찰론 = 334
2. 성죽재흉成竹在胸, 신여죽화身與竹化 - 예술구상론 = 339
3. 묘관일상妙觀逸想, 진필직수振筆直遂 충구이출沖口而出 - 예술전달론 = 346
4. 귀호고담貴乎枯淡 소산간원蕭散簡遠 - 심미심경론 = 351
제10절 엄우의 형상사유론 = 356
제11절《관유자》의 심리학과 문예심리학 = 365
제12절 송대의 회화심리학 = 368
1. 곽희《임천고치》의 회화심미심리 구조론 = 369
2. 황휴복의《익주명화록》중의 일격逸格회화심리 = 380
제5장 명청의 문예심리학 = 387
제1절 전·후칠자의 심미정감론 = 394
제2절 이지 '동심童心'설의 문예심리학적 의미 = 414
제3절 탕현조와 공안삼원의 '정취'이론 = 423
제4절 왕부지의 창작심리학과 심미심리학 = 443
1. 정경합일론 = 444
2. 심미감각론 = 449
3. 정감형식론 = 457
4. 심미감흥론 = 461
제5절 섭섭의 예술사유론과 창작주체론 = 467
1. 예술사유론 = 467
2. 창작주체론 = 473
제6절 왕사정의 '신운'설, 월매의 '성령'설과 문예심리학 = 477
1. 왕사정의 '신운神韻'설 = 477
2. 원매의 '성령性靈'설 = 483
제7절 석도·정판교의 '회화심리학' = 491
1. 석도의 회화심리학 = 491
2. 정판교의 회화심리학 = 501
제8절 명·청의 소설심리학 = 506
1. 섭주의 소설심리학 = 507
2. 김성탄의 소설심리학 = 510
3. 모종강·장죽파·지연재의 소설심리학 = 522
제9절 명·청의 희곡심리학 = 537
1. 김성탄의 희곡심리학 = 538
2. 이어의 희곡심리학 = 546
3. 기타 희곡이론가들의 희곡심리학 = 556
제6장 근대의 문예심리학 = 565
제1절 공자진의 동심童心설과 유정有情설 = 568
제2절 유희재《예개》의 문예심리학 = 576
1. '인人'을 중심으로 한 예술본체론 = 578
2. '품品'을 중심으로 한 예술주체론 = 579
3. '아我'를 중심으로 한 몰아동일론 = 581
4. '기氣'를 중심으로 한 예술풍격론 = 585
5. '미味'를 중심으로 한 예술감상론 = 586
제3절 강유위의 문예심리학 = 587
제4절 양계초의 문예심리학 = 601
제5절 왕국유의 문예심리학 = 613
1. '멸욕'과 '해탈'을 주장하는 미학론 = 614
2. '유희'와 '세력'을 주장하는 예술론 = 621
3. 주체의 능동성을 강조하는 의경론 = 628
제6절 채원배의 심리학ㆍ미학 = 637
補論 중국문예심리학의 발전과 그 의미 = 649
1. 들어가는 말 : 문예심리학이란 무엇인가? = 649
2. 중국 문예심리학 연구의 전개과정 = 653
3. 맺음말 : 중국 문예심리학 연구의 특색과 의의 = 661
저자후기 = 665
原注 = 667
역자후기 = 68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