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논어는 사서오경(四書五經)의 하나로 공자(B.C. 551, 魯襄公 22년)가 그의 제자 또는 왕래했던 사람들과 나눈 문답을 후대인이 수록한 것이다. 공자의 이름은 구(丘)이고, 자는 중니(仲尼)이다.
한서(漢書)에 의하면 논어는 노나라에서 전해온 노론(魯論), 제나라에서 전해온 제론(齊論), 공자의 옛집 벽 속에서 나온 고론(古論)이 세상에 전해졌다. ...
목차 전체
논어는 사서오경(四書五經)의 하나로 공자(B.C. 551, 魯襄公 22년)가 그의 제자 또는 왕래했던 사람들과 나눈 문답을 후대인이 수록한 것이다. 공자의 이름은 구(丘)이고, 자는 중니(仲尼)이다.
한서(漢書)에 의하면 논어는 노나라에서 전해온 노론(魯論), 제나라에서 전해온 제론(齊論), 공자의 옛집 벽 속에서 나온 고론(古論)이 세상에 전해졌다. 그러나 이들 원본은 전한말(前漢末)에 이미 없어졌고, 현재 전해지고 있는 논어는 전한말기에 안창후(安昌候)인 장우(張禹)가 제론과 노론을 중심으로 편찬한 장후본(張侯本)으로서의 교정본이다. 논어는 모두 20편으로 편명은 각 편의 머리 두 글자를 딴 것이다.
논어는 공자의 말, 공자와 제자 사이의 대화, 공자와 당시 사람들과의 대화, 제자들의 말, 제자들간의 대화 등으로 되어 있다. 논어의 각 편명은 학이(學而), 위정(爲政), 팔일(八佾), 이인(里仁), 공야장(公冶長), 옹야(雍也), 술이(述而), 태백(泰伯), 자한(子罕), 향당(鄕黨), 선진(先進), 안연(顔淵), 자로(子路), 헌문(憲問), 위령공(衛靈公), 계씨(季氏), 양화(陽貨), 미자(微子), 자장(子張), 요왈(堯曰)장이며, 공자라는 인물의 사상과 행동을 보여주려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주요편의 내용을 살펴보면 학이 편에서는 학문하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힘써야 할 일들, 팔일 편에서는 예악(禮樂), 이인편은 인(仁), 공야장과 옹야편에서는 고금의 인물에 대한 평론, 술이편은 성인이 자신을 겸손히 하고 남을 가르친 말씀과 그 용모와 행동, 향당편은 공자의 평소의 모습, 선진편은 제자들의 성품, 미자편은 성현들이 정사에 나아가고 물러남, 자장편은 제자들의 말, 자로편은 정치, 마지막 요왈편에서는 역대성인의 정치적 이상을 논하였다.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