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論語集註. 卷7-20 / 木活字本

[孔子 著]

상세정보
자료유형고서
서명/저자사항論語集註. 卷7-20 / [孔子 著]
개인저자공자
판사항木活字本
발행사항[刊寫地未詳] : [刊寫者未詳], [刊寫年未詳]
형태사항14卷2冊(缺本) : 四周雙邊 半郭 27 x 18 cm, 有界, 10行19字 註雙行 ; 37 x 24 cm
일반주기裝幀: 黃色蓮花紋厚背紙白色絲
비통제주제어경학-총류
분류기호181.2
언어중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11550 CL 181.2 공자 논-바v2 1층 고전자료실 RB2-1-2-4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2 111551 CL 181.2 공자 논-바v3 1층 고전자료실 RB2-1-2-4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초록

목차 일부

논어는 사서오경(四書五經)의 하나로 공자(B.C. 551, 魯襄公 22년)가 그의 제자 또는 왕래했던 사람들과 나눈 문답을 후대인이 수록한 것이다. 공자의 이름은 구(丘)이고, 자는 중니(仲尼)이다. 
 한서(漢書)에 의하면 논어는 노나라에서 전해온 노론(魯論), 제나라에서 전해온 제론(齊論), 공자의 옛집 벽 속에서 나온 고론(古論)이 세상에 전해졌다. ...

목차 전체

논어는 사서오경(四書五經)의 하나로 공자(B.C. 551, 魯襄公 22년)가 그의 제자 또는 왕래했던 사람들과 나눈 문답을 후대인이 수록한 것이다. 공자의 이름은 구(丘)이고, 자는 중니(仲尼)이다.
한서(漢書)에 의하면 논어는 노나라에서 전해온 노론(魯論), 제나라에서 전해온 제론(齊論), 공자의 옛집 벽 속에서 나온 고론(古論)이 세상에 전해졌다. 그러나 이들 원본은 전한말(前漢末)에 이미 없어졌고, 현재 전해지고 있는 논어는 전한말기에 안창후(安昌候)인 장우(張禹)가 제론과 노론을 중심으로 편찬한 장후본(張侯本)으로서의 교정본이다. 논어는 모두 20편으로 편명은 각 편의 머리 두 글자를 딴 것이다.
논어는 공자의 말, 공자와 제자 사이의 대화, 공자와 당시 사람들과의 대화, 제자들의 말, 제자들간의 대화 등으로 되어 있다. 논어의 각 편명은 학이(學而), 위정(爲政), 팔일(八佾), 이인(里仁), 공야장(公冶長), 옹야(雍也), 술이(述而), 태백(泰伯), 자한(子罕), 향당(鄕黨), 선진(先進), 안연(顔淵), 자로(子路), 헌문(憲問), 위령공(衛靈公), 계씨(季氏), 양화(陽貨), 미자(微子), 자장(子張), 요왈(堯曰)장이며, 공자라는 인물의 사상과 행동을 보여주려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주요편의 내용을 살펴보면 학이 편에서는 학문하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힘써야 할 일들, 팔일 편에서는 예악(禮樂), 이인편은 인(仁), 공야장과 옹야편에서는 고금의 인물에 대한 평론, 술이편은 성인이 자신을 겸손히 하고 남을 가르친 말씀과 그 용모와 행동, 향당편은 공자의 평소의 모습, 선진편은 제자들의 성품, 미자편은 성현들이 정사에 나아가고 물러남, 자장편은 제자들의 말, 자로편은 정치, 마지막 요왈편에서는 역대성인의 정치적 이상을 논하였다.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