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시조의 세계화를 위하여
1부 시인론
전통적 서정성과 생명미학- 가람 이병기론 = 11
절제와 균형의 시학- 조운론 = 34
景中情이 지향하는 境의 세계- 정완영론 = 65
불교적 사유의 공간과 영원 지행성의 세계- 초운 이우출론 = 96
실존적 삶의 천착과 정형 미학- 김제현론 = 107
정형률, 그 도저한 인간율- 박기섭론 = 1...
목차 전체
책머리에-시조의 세계화를 위하여
1부 시인론
전통적 서정성과 생명미학- 가람 이병기론 = 11
절제와 균형의 시학- 조운론 = 34
景中情이 지향하는 境의 세계- 정완영론 = 65
불교적 사유의 공간과 영원 지행성의 세계- 초운 이우출론 = 96
실존적 삶의 천착과 정형 미학- 김제현론 = 107
정형률, 그 도저한 인간율- 박기섭론 = 117
천착과 치유의 시학- 오승철론 = 132
2부 시조 교육의 현장
시조교육의 실태와 전망 = 149
민족 정서의 이해와 습득을 위한 시조교육 = 174
시 읽기를 통한 창의성 기르기 = 199
삶의 한 대응방식으로서의 시조 = 224
3부 생타학으로 본 현대시조
生態學的 觀點에서 본 現代詩調의 樣相 硏究
Ⅰ. 序論 = 251
Ⅱ. 생태학의 문학적 맥락 = 257
Ⅲ. 현대시조의 생태학적 양상 = 283
Ⅳ. 詩調史的 위치와 지향할 方向 = 400
Ⅴ. 결론 = 40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