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5
제1부 동양 사상과 현대 문명 비판
1. 세계관의 위기와 현대 문명의 문제 / 15
1) 세계관의 위기 / 17
2) 현대 문명에 대한 불만의 고조 / 22
3) 문명의 충돌 / 26
2. 노자 사상과 약육강식의 질서에 대한 비판 / 33
1) 노자의 음적(陰的) 세계관 / 34
2) 진화론적 세계관과 강자의 철학 / 41
3)...
목차 전체
책머리에 / 5
제1부 동양 사상과 현대 문명 비판
1. 세계관의 위기와 현대 문명의 문제 / 15
1) 세계관의 위기 / 17
2) 현대 문명에 대한 불만의 고조 / 22
3) 문명의 충돌 / 26
2. 노자 사상과 약육강식의 질서에 대한 비판 / 33
1) 노자의 음적(陰的) 세계관 / 34
2) 진화론적 세계관과 강자의 철학 / 41
3) 약육강식의 질서에 대한 비판 / 45
제2부 동양사상과 새로운 사회 이론
1. 동양 사상과 사회학의 새로운 인간관적 기초 / 53
1) 근대적 인간관의 형성 과정 / 54
2) 현대 사화학의 인간관 / 57
3) 현대 사회학의 인간관 비판 / 70
4) 유가의 인간관 / 77
5) 유가 인간관의 사회학적 함의 / 85
2. 동양 사상과 사회학의 새로운 사회관적 기초 / 89
1) 현대 사회학의 사회관 / 91
2) 동양 사상과 통일체적 세계관 / 97
3) 통일체적 사회관의 사회학적 함의 / 105
3. 음양 이론과 새로운 사회 발전관 / 113
1) 현대 사회학에서의 발전의 의미 / 114
2) 음양 이론에 나타난 발전의 의미 / 119
3) 음양 이론의 발전관의 사회학적 함의 / 125
4. 도가 사상과 새로운 사회 이론의 구성 / 129
1) 새로운 세계관적 토대의 제공 / 130
2) 새로운 소외 이론의 구성 / 132
3) 새로운 사회관계론의 구성 / 134
4) 새로운 사회 발전 이론의 구성 / 138
5. 유교와 사회학의 새로운 지평 / 144
1) 유교의 사회관과 사회학의 새로운 세계관적 기초 / 144
2) 유교의 총체적 인간관과 사회 문제론 / 146
3) 유교의 대대적(對待的) 대립관과 대립에 대한 새로운 인식 틀 / 148
4) 유교의 중화(中和) 사상과 사회 발전의 새로운 의미 / 149
6. 동양 사상과 사회과학의 새로운 정체성 / 152
1) 도학(道學)과 술학(術學) / 154
2) 술학으로서의 현대 사회과학 / 155
3) 도학으로서의 동아시아의 학 / 158
4) 사회과학의 새로운 정체성 / 162
7. 한비자의 인간관과 현대 사회학의 사회 질서관 비판 / 166
1) 한비자의 인간관 / 167
2) 한비자의 사회 질서관 / 171
3) 현대 사회학의 인간관과 사회 질서관 / 175
4) 현대 사회학의 사회 질서관 비판 / 179
제3부 동양 사상과 새로운 문명의 모색
1. 유가의 예 사상과 새로운 사회 질서 / 185
1) 욕망 절제 수단으로서의 예와 사회 질서의 형성 / 186
2) 본성 표현의 틀로서의 예와 사회 질서의 형성 / 191
3) 예 사상과 새로운 사회 질서의 모색 / 198
2. 동양 사상과 새로운 교육 / 204
1) 깨달음의 교육의 세계관적 토대 / 205
2) 붓다의 깨달음의 교육 / 211
3) 깨달음의 교육의 탈현대적 의미 / 218
3. 동양 사상과 미래의 새로운 노인상 / 223
1) 근대적 세계관과 노인 소외 / 224
2) 통일체적 세계관과 늙어감의 새로운 의미 / 229
3) 새로운 시대의 주역으로서의 노인 / 234
4. 장자 사상과 탈현대 / 243
1) 무용지용론의 탈현대적 의미 / 244
2) 제물론의 탈현대적 의미 / 248
3) 소요유의 탈현대적 의미 / 252
4) 장자 사상의 탈현대적 함의 / 256
참고문헌 / 25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