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역자 서문 =3
저자 서문 =7
제1부 성격심리학 입문
서론 종합적 학문으로서 성격심리학=22
결정인자, 역동성 및 잠재력 =23
결정인자와 역동성 =23
잠재력 =25
이 책의 개관 = 27
제1장 성격심리학의 영역 = 30
공통 주제 = 31
정의, 목적 및 가정 = 33
이론과 설명 = 36
이론적 접근의 구분 ...
목차 전체
역자 서문 =3
저자 서문 =7
제1부 성격심리학 입문
서론 종합적 학문으로서 성격심리학=22
결정인자, 역동성 및 잠재력 =23
결정인자와 역동성 =23
잠재력 =25
이 책의 개관 = 27
제1장 성격심리학의 영역 = 30
공통 주제 = 31
정의, 목적 및 가정 = 33
이론과 설명 = 36
이론적 접근의 구분 = 37
성격이론이란? = 38
표현형 성향과 유전형 성향 = 39
관련된 상위이론적 문제들 = 43
방법론적 문제들 = 48
요약 = 49
제2장 기원, 역사 그리고 발전 = 52
관념의 역사 속에서 성격심리학의 기원 = 53
심리학 역사에서 문제와 관점들 = 54
문화적 다양성의 도전 = 54
역사의 구성 = 58
서양사상의 조직 = 59
고대 그리스의 인간관 = 60
로마사상 = 61
과학의 출현 = 62
사회과학과 사회변화 = 64
성격심리학의 기초 = 65
구조주의와 기능주의 = 65
패러다임 = 67
연구 전통 = 67
학문적 발전에서 연속성과 불연속성 = 68
성격심리학의 발전 = 69
자유와 근원, 비판적 대중 = 70
미국에서의 발달 = 72
변환의 기간 = 75
지식발전에서의 본질적 도전, 수사 및 논쟁 = 77
현재와 미래 들여다보기 = 82
정신분석학의 경우 = 84
Freud의 상위심리학 = 85
연구의 분파와 새로운 방향 = 87
아직 성격심리학에서 정신분석학이 설 자리가 있는가 = 89
미래의 예측 = 91
요약 = 92
제2부 기술과 설명
서론 기술과 설명 = 96
제3장 개인차: 특성, 기질 그리고 지능 = 98
성향: 논쟁과 미해결 문제들 = 100
특성이론의 다양성 = 101
개인차의 기술: 어휘적 접근, 질문지 접근, 5요인 모델3 = 103
다섯 가지 기본 요인 = 105
어휘연구 = 106
질문지 전통 = 107
종합적 개인차 구조 = 108
여러 언어권과 문화권에 걸친 5요인 구조의 일반화 = 111
5요인 도구 = 114
5요인 모델의 장점과 한계 = 116
성격연구에서 요인분석 = 121
기법 = 122
방법의 해석 = 124
기질과 성격 = 125
20세기 초의 공헌 = 125
기질의 정의 = 126
기질의 차원 = 127
맥락과 범주 = 130
일반적 결론 = 132
지능: 일반적, 실제적, 사회적, 정서적 지능 = 133
지능의 구성요소와 표현 = 135
사회지능, 정서지능 그리고 지혜 = 139
요약 = 142
제4장 성격의 응집성과 개인의 고유성 = 144
상호작용주의 = 145
이론적 모델과 연구전략 = 146
독립된 인간, 상황 요인을 넘어서 = 150
상황 = 151
상황의 기능적 분석 = 152
상황의 어휘적 분석 = 153
사회적 일화들의 정신적 표상 = 153
상황인지와 성격의 응집성 = 154
보편적 형태? = 154
성격의 구조, 과정 및 기능의 사회인지적 이론들 = 156
약사(略史) = 156
사회인지이론의 정의적(定義的) 특징 = 157
Bandura의 사회인지이론 = 160
대안적 설명전략 = 163
원인으로서 특성 구인과 성향 구인 = 163
원인으로서 사회인지적 체제와 정의적 체제 = 164
하향식 설명전략과 상향식 설명전략 = 165
범상황적 응집성에 대한 상향식, 사회인지적 분석 = 168
요약 = 171
제3부 성격의 발달
서론 성격의 발달 = 174
제5장 전생애에 걸친 성격발달 = 178
발달연구의 가정들 = 179
기계론적 관점 = 180
유기체적 관점 = 182
발달적 맥락주의 = 183
상위 가정들 = 186
발달의 현대적 시각 = 186
발달 탐구의 영역 = 188
연령과 단계 = 189
발달 과업과 인생의 계절 = 190
자아발달 단계 = 192
자기체제의 발달 = 195
개인적 속성들의 정신적 표상 = 196
자기가치감 = 196
자기효능감 신념 = 198
자기통제 전략의 상위인지적 지식 = 198
자기평가를 위한 표준 = 199
안전성, 연속성 및 변화 = 200
안정성 = 201
연속성 = 203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발달적 연속성과 비연속성 = 206
선택과 보상을 통한 최적 발달 = 208
심리사회적 전환과 삶의 궤적에 대한 개인적 결정인자 = 210
심리사회적 전환과 개인의 주체적 행동 = 211
요약 = 213
제6장 유전학, 뇌 체제 그리고 성격 = 214
성격발달에서 유전의 역할 = 215
유전자에서 행동에 이르는 긴 여정 = 216
강한 생물학주의와 약한 생물학주의 = 216
유전학과 성격연구에서 정의의 문제 = 218
개인차의 행동유전학적 분석 = 221
전통적인 행동유전학적 패러다임의 평가 = 227
행동유전학적 패러다임의 추진 = 229
성격발달 및 기능의 기저의 뇌 체제 = 232
뇌와 성격의 개념 = 232
뇌의 구조와 과정 = 234
뇌의 기능 = 235
뇌 체제와 성격기능 = 237
Pavlov의 근원적 공헌 = 237
뇌 체제와 개인차의 현대적 모델 = 237
성차 = 243
성의 분화와 발달 = 243
진화심리학과 성차 = 247
요약 = 252
제7장 대인관계 = 254
대인관계: 이론적 틀 = 255
애착 = 257
애착 스타일 = 258
어린이의 기질과 어머니의 민감성 = 260
문화적 차이와 사회적 네트워크 = 260
여러 세대에 걸친 안정성과 파급 정도 = 261
대인 간의 방향성 = 262
의사소통 = 268
또래관계와 우정 = 272
아동 전기와 아동 후기의 또래관계 = 273
초기의 우정, 친사회적 능력과 후기의 심리사회적 결과 = 274
또래관계와 자기개념의 발달 = 275
우정과 부적응 = 275
집단의 영향 = 276
또래, 부모 및 청소년의 ‘폭풍과 스트레스’
요약 = 279
제8장 사회적 맥락과 사회적 구성 = 280
일 = 282
마르크스주의자들의 분석 = 282
사회적 지위, 행위 및 능력의 발달 = 283
교육 = 287
교육적 성취에서 사회적, 인지적 과정 = 289
교육 불평등의 시정? = 291
가족 = 292
현대 서구의 가족 = 292
가족체제 = 294
가족생활의 주기 = 299
역경과 변화에 직면하기 = 304
성의 사회적 발달 = 306
생물학적 성과 사회적 성 = 306
역사와 변화 = 307
인지능력, 사회적 행동, 특성에서 성차 = 308
공격성에서 성차 = 309
성과 성격 특성 = 311
발달의 연속성, 자기해석, 취약성에서 성차 = 312
성의 발달: 이론과 연구 패러다임 = 316
정신분석적, 사회학습적, 초기 인지적 접근 = 316
성의 중앙집중성: 남향성, 여향성, 양성 = 318
현대적 틀: 진화심리학, 성역할이론, 사회인지이론 = 321
사회적 가치와 상징적 환경 = 324
가치의 구조 = 325
대중매체와 가치의 사회적 전수 = 326
사회 변화와 물질주의적, 물질초월적 가치 = 327
요약 = 328
제4부 성격의 역동성
서론 성격의 역동성 = 330
제9장 지식의 구조와 해석과정 = 334
일반적 관심사 = 335
반복되는 주제들 = 336
성격과 사회심리학 간의 관계 = 337
역사적 배경 = 338
현황: 지식 표상의 대안적 모델 = 340
지식의 활성화: 접근할 수 있는 일시적 근원과 지속적 근원 = 341
구인접근의 일시적 근원 = 341
지속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구인 = 342
자발적 특성 추론 = 344
개념 연합에서 개인차 = 346
도식적 지식구조와 자기도식 = 347
도식: 세 가지 특징 = 349
자기 도식 = 350
관계 도식 = 355
지식의 구조, 개인적 표준 및 정서적 경험 = 356
내면화된 표준 = 356
표준, 불일치 그리고 특이한 정서 상태에 대한 취약성 = 357
공격적 행동에서 지식, 부호화 및 개인차 = 362
자기지식의 응집된 체제 = 364
다양한 자기측면과 자기복합성 = 365
자기지식과 사회적 지식의 고유한 표상 = 367
개개의 속성을 넘어서: 서술과 대화 = 368
서술 = 368
내적 대화 = 372
서술로의 전환: 지식과 의미의 심리학적 분석의 확장인가,
이에 대한 도전인가 = 374
요약 = 376
제10장 정의적 경험: 정서와 기분 = 378
정서적 경험에 대한 역사적 분석과 현대적 분석 = 380
정의적 경험의 다양성 = 382
기분 대 정서 = 382
정서영역의 구조 = 382
정서적 경험의 구성요소와 기능 = 386
인지적 평가와 정서적 경험 = 386
정서적 경험의 생리적 기초 = 392
정서 상태의 행동적 표현 = 397
주관적인 정서적 경험 = 399
정서적 반응의 구성요소들 간의 응집성 = 408
요약 = 411
제11장 무의식적 과정과 의식적 경험 = 414
파악불능의 무의식과 자명한 의식, 아니면 그 역? = 415
무의식적 과정 = 415
의식적 경험 = 417
의식적 과정과 무의식적 과정의 심리학적 이해에서 패러다임 전환 = 418
의식적 현상과 무의식적 현상 간의 구별 = 419
방어적 과정 = 422
억압과 억압적 대처양식 = 423
방어기제의 발달 = 428
방어의 사회인지적 기초: 전이와 투사 = 429
억제, 표현 및 건강 = 432
방어적 과정: 요약 = 434
암묵적 인지 = 435
암묵적 인지의 실제와 다양성 = 435
암묵적 개인차 측정 = 437
의식적 과정 = 439
의식적 과정과 성격기능 = 440
개인차: 공적 자기의식과 사적 자기의식 = 440
반추와 대처 = 441
흐름의 상태와 경험표집 방법 = 443
의식의 통제 = 444
정의적 상태와 의식적 사고 = 446
요약 = 447
제12장 동기와 자기조절 = 448
동기, 인지 및 자기조절 체제 = 449
기준과 정의적 자기평가 = 450
자기효능감 신념과 지각된 통제 = 452
목표와 자기조절 체제 = 453
자기체제의 시간적, 범상황적 응집성 = 455
개인적 주체성 = 457
역사적, 현대적 이론의 구조 = 459
본능, 추동, 욕구 및 동기의 이론 = 459
현대의 인지적 구조 = 465
통제신념과 자기효능감의 지각 = 471
통제신념들 간의 구별 = 472
지각된 자기효능감 = 476
효능감 신념의 행동적, 인지적, 정의적 결과 = 477
효능감 신념의 고양 = 481
목표와 자기동기 = 483
목표와 목표체계의 다양성 = 483
과제목표 차원과 자기조절 과정 = 484
목표설정 효과의 조정자: 피드백과 과제의 복잡성 = 485
자기참조적 인지와 목표설정 효과의 중재자로서 감성 = 487
비의식적 목표 메커니즘 = 488
목표의 질적 다양성과 개인적 기준 = 490
목표체제에서 응집성 = 493
암묵적 이론들 = 494
중간 수준의 목표 단위들 = 495
방법론적 제한점: 사람들은 자기가 하는 일을 알고 있는가 = 498
주의 분산과 의도 이행의 도전 = 498
행위지향과 상황지향 = 499
목표지향적 행위의 시작 = 500
충동의 통제 = 501
자아 차원 = 501
Mischel의 만족지연 패러다임 = 502
요약 = 504
제5부 에필로그
에필로그 미래: 성격심리학은 건강한가 = 508
낙관론의 이유는? = 509
공통의 패러다임을 향하여? = 513
참고문헌 = 519
찾아보기 = 59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