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나다움'을 찾는 일 : 교육 = 11
'나다움'과 우리 교육 = 11
새로운 틀 속에서 나의 삶을 찾아야 한다 = 14
자기존중감이란 = 17
나만의 빛깔과 색깔이 따로 있다 = 24
제2장 자기존중감의 의미 = 27
왜, 자기존중감이 중요한가 = 30
자기가치감 = 34
자기가치감과 자존심 = 36
자기가치감...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나다움'을 찾는 일 : 교육 = 11
'나다움'과 우리 교육 = 11
새로운 틀 속에서 나의 삶을 찾아야 한다 = 14
자기존중감이란 = 17
나만의 빛깔과 색깔이 따로 있다 = 24
제2장 자기존중감의 의미 = 27
왜, 자기존중감이 중요한가 = 30
자기가치감 = 34
자기가치감과 자존심 = 36
자기가치감의 형성 = 37
자기능력감 = 40
스스로 자신의 능력이 부족하다고 믿고 있는 사람의 자기존중감 = 43
능력을 탁월하게 발휘하면서도 낮은 자기존중감을 가진 사람 = 48
자기존중감 유형에 따른 행동특성 = 52
자기존중감과 자부심 = 57
자기존중감의 내용 = 59
자기존중감의 실천규범 = 71
자기존중감 실현요소 = 74
자기존중감이란 결국 무엇인가 = 81
제3장 가정에서는 자기존중감을 어떻게 기를 수 있는가 = 85
마음속으로 안정감을 갖게 한다 = 91
항상 아이가 기댈 수 있는 마음의 여유를 가진다 = 95
아이의 감정과 느낌을 충분히 받아 준다 = 97
어린이의 인격적 권위를 충분히 존중한다 = 101
심리적으로 아이 자신이 투명한 존재임을 인식케 한다 = 104
나이에 적합한 기대와 요구를 한다 = 112
아이의 행동을 음미하면서 칭찬한다 = 113
아이에게 믿을 만한 기대감을 갖게 한다 = 120
아이가 성숙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아이의 실수를 다룬다 = 121
건전한 규율로 건전한 가풍을 조성한다 = 127
어린이 학대는 절대 금물이다 = 131
스킨십으로 정을 나눈다 = 133
가족이 함께 식사하는 기회를 갖는다 = 135
가정교육의 점검지침 = 136
고통당한 아이의 전략적인 이탈 = 142
가정교육과 우리 사회 = 144
제4장 학교에서는 자기존중감을 어떻게 기를 수 있는가 = 147
학교 교육의 궁극적 목표 : '나다움' 찾기 = 151
교사의 건강한 자기존중감이 선행요건이다 = 157
교사의 신뢰와 기대 = 160
교실의 공정한 분위기 = 161
학생의 인격적 권위를 존중한다 = 162
학급의 정의와 공정성이 지켜져야 한다 = 165
학생에 대한 관심과 보살핌이 요청된다 = 167
학생의 자아인식을 고취시킨다 = 168
학급에 자율적 규율을 만들어 보자 = 170
학생의 감정을 이해하자 = 173
독립적인 학생과 의존적인 학생 = 176
학교 교육과 우리 사회, 자기존중감 = 180
부록 = 185
시각장애자에게 다가온 '나다움' = 185
고민하는 대학생의 '나다움' = 192
40대 여성이 겪는 '나다움' = 207
나이 30의 여대생이 찾은 '나다움' = 217
'나다움'을 찾는 일에 대한 교사의 변 = 223
참고문헌 = 22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