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일러두기 = 6
책머리에 = 7
제1장 악부(樂府)
왕소군 = 25
상봉의 노래 = 29
옥 섬돌에서의 원망 = 32
양양 지방의 노래 = 35
낙양 거리 = 43
고구려 = 45
고요한 밤의 고향 노래 = 49
맑은 호수의 노래 = 49
상인의 노래 = 51
버선 노래 = 55
청평 조사 3수 = 60
소년의 노래 = 68
제2...
목차 전체
일러두기 = 6
책머리에 = 7
제1장 악부(樂府)
왕소군 = 25
상봉의 노래 = 29
옥 섬돌에서의 원망 = 32
양양 지방의 노래 = 35
낙양 거리 = 43
고구려 = 45
고요한 밤의 고향 노래 = 49
맑은 호수의 노래 = 49
상인의 노래 = 51
버선 노래 = 55
청평 조사 3수 = 60
소년의 노래 = 68
제2장 가음(歌吟)
추포의 노래 17수 = 75
횡강의 노래 6수 = 101
영왕 동순의 노래 11수 = 113
상황이 남경으로 순방한 노래 10수 = 135
아미산 달 노래 = 156
제3장 기증(寄贈)
경조 사람 위참군이 동양으로 옮겨온 것을 보고 = 161
눈 오는 날 종형 우성 현령에게 드림 = 164
사양아가 부르는 맹호사를 듣고 이 시를 지어주다 = 167
심양 옥중에서 재상 최환에게 올림 = 169
정심수를 상공에게 보내면서 = 173
오왕에게 드림 = 176
동노에서 적박통과 해후하다 = 180
화주의 왕사사에게 드림 = 182
파릉에서 가사인에게 드림 = 185
왕륜에게 드림 = 188
왕창령이 용포로 좌천당한 소식을 듣고 멀리서 부치다 = 191
제4장 송별(送別)
입으로 읊조리다 = 197
동림사 스님과 이별하며 = 200
두 기녀를 데리고 회계로 부임하는 조카 질량을 보내면서 희증하다 = 203
은숙을 보내며 = 205
비파협으로 가는 육판관을 보내며 = 208
삼협으로 들어가는 송소부를 전송하면서 백로를 읊다 = 210
황학루에서 광릉으로 가는 맹호연을 보내며 = 212
월 지방으로 돌아가는 하빈객을 보내며 = 216
외조카 정관을 군대에 보내면서 = 218
광덕으로 가는 한시어를 보내며 = 224
제5장 수답(酬答)
오사모를 선물한 친구에세 감사드리며 = 229
산중에서의 문답 = 231
호주사마 가섭이 이백이 누구냐고 묻기에 답함 = 234
최시어의 시에 수답하며 = 237
제6장 유연(遊宴)
종조인 제남 태수를 모시고 작산호에서 배 띄우고 놀다 3수 = 243
시랑 벼슬을 지낸 족숙을 모시고 동정호에서 취한 후 잣다 3수 = 249
동관산에서 취한 후 지은 절구 = 256
9일 용산에서 술 마시다 = 258
9월 10일 읊조리다 = 262
노 땅 동문에서 배 띄우고 2수 = 264
족숙인 형부시랑 이엽과 중서사인 가지를 모시고 동정호에서 노닐면서 5수 = 268
사량보와 경천 능엄사를 유람하면서 = 279
제7장 등람(登覽)
두릉 절구 = 285
모과산을 바라보며 = 287
여산폭포를 바라보며 = 289
여산 오로봉을 바라보며 = 294
천문산을 바라보며 = 297
제8장 행역(行役)
밤에 정로정으로 내려가면서 = 303
피난 가는 길에서 3수 = 305
타향에서 지은 시 314
아침에 백제성을 떠나면서 = 316
가을날 형문으로 내려가며 = 319
제9장 한적(閑適)
노 중도의 동루에서 취한 일을 깨어서 적다 = 325
한밤중 청계에서 피리 소리를 듣다 = 328
여름철 산중에서 = 331
왕한양 집에서 취해 짓다 = 333
홀로 경정산에 앉아서 2수 = 336
근심을 없애려고 = 340
산속에서 은자와 대작하다 = 342
낭중 사흠과 황학루에서 피리 소리를 듣다 = 345
제10장 회고(懷古)
고소대에서 옛날을 회고하며 = 349
월 지방에서 옛날을 회고하며 = 352
여강의 부인에게 = 355
제11장 회사(懷思)
동산을 그리며 2수 = 361
하지장을 다시 그리워함 = 365
전원에서의 회포 = 369
제12장 영물(詠物)
산준을 노래하다 = 375
처음 한림원을 나와 왕시어를 찾았다가 만나지 못하고 벽 위에 그려진 앵무새를 노래하다 = 378
자색 등나무 = 380
높이 나는 흰 매를 바라보며 = 382
야랑 유배 길에 해바라기 잎을 보고 읊다 = 384
백로 = 386
하얀 호두 = 388
무산 그린 머릿병풍 = 390
뜰 앞에 느지막이 핀 꽃을 보고 = 392
제13장 잡영(雜詠)
병사의 노래 = 397
종군의 노래 = 399
봄밤 낙양성에서 피리 소리 들으며 = 402
야랑 유배 길에 사면령이 이르지 않음을 서운해하며 = 405
선성에서 두견화를 보고 = 408
노노정자 = 411
제14장 규정(閨情)
원망하는 마음 = 415
아내에게 = 418
월 지방 처녀들 노래 5수 = 421
완사석 가의 빨래하는 소녀 = 429
파 지방 여자의 노래 = 432
장문궁의 원망 2수 = 434
봄날의 근심 = 440
길가에서 만난 미인에게 주다 = 443
반쯤 취한 오왕 미인을 보고 = 445
단칠랑에게 드리는 시 = 448
아내와 작별하고 영왕의 부름 따라 가다 = 450
남쪽 야랑으로 유배 가면서 부인에게 보내다 = 456
기녀인 금릉자와 노닐면서 노륙에게 드리는 시 4수 = 458
제15장 애상(哀傷)
술 잘 빚는 선성 땅 기 노인을 곡함 = 467
조경을 곡함 = 470
제16장 습유(拾遺)
추연 공짜기 = 475
이백이 한미했던 시절, 소를 끌고 동헌을 지나는데, 현령의 처가 매우 노하여 그를 힐책하자, 백이 즉시 시를 지어 유감의 뜻을 표시하다 = 477
일출동남의 노래 = 479
봄노래 = 482
변경의 노래 = 485
봉정사에서 지은 시 = 485
낚시터 = 489
제목이 없는 시 2수 = 491
서현사 = 494
작은 무릉도원 = 496
누산의 석순 = 498
연진누각 = 500
강하에서 한동으로 돌아가는 천공을 전송하며 = 503
산불을 보고 읊은 시 = 505
사리불 노래 = 507
두천산 = 509
두보에게 희증하다 = 511
부록
이백 유종도 = 518
옮긴이 해설- 관고절금, 이백 시세계의 백미 = 519
이백 관련 주요 단행본 자료 = 538
이백 연보 및 절구시 편년 =553
찾아보기 =547
기획의 말 = 55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