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내면서
머리말 = 13
1. 이수광의 가계(家系) = 19
2. 이수광의 생애 = 27
(1) 선조대 관직생활과 두 차례의 북경행 = 29
(2) 광해군대 세 번째 연행과 정치적 좌절 = 38
(3) 인조대 재기와 〈중흥장소〉 = 44
(4) 이수광에 대한 후세의 평가 = 46
3. 이수광과 침류대학사-성시산림(城市山林) = 51
(1)...
목차 전체
목차
책을 내면서
머리말 = 13
1. 이수광의 가계(家系) = 19
2. 이수광의 생애 = 27
(1) 선조대 관직생활과 두 차례의 북경행 = 29
(2) 광해군대 세 번째 연행과 정치적 좌절 = 38
(3) 인조대 재기와 〈중흥장소〉 = 44
(4) 이수광에 대한 후세의 평가 = 46
3. 이수광과 침류대학사-성시산림(城市山林) = 51
(1) 이수광과 차천로 = 61
(2) 이수광과 신흠, 신익성 = 62
(3) 이수광과 김현성 = 66
(4) 이수광과 유몽인 = 68
(5) 이수광과 임숙영 = 70
(6) 이수광과 허균 = 71
(7) 이수광과 한백겸 = 72
(8) 이수광과 심희수, 이상의 = 75
(9) 이수광과 정구, 정경세, 이준 = 76
(10) 이수광과 이정구, 이식 = 78
4. 이수광의 저술활동 = 81
(1)《지봉유설》 = 84
(2)《승평지》 = 89
(3) 경학 관련 저술 = 91
(4)〈중흥장소〉와 시문들 = 93
5. 이수광의 문학관-시론과 문장론 = 95
6. 이수광의 경학관 = 107
(1) 경서에 대한 이해 = 109
(2) 도가, 불교, 양명학 등 이단에 대한 태도 = 113
(3) 이수광의 심학(心學) = 125
7. 이수광의 경세관-〈중흥장소〉의 분석 = 139
(1) 치인을 위한 〈중흥장소〉 = 141
(2) 임금의 수기와 심학 = 146
(3) 민생을 위한 개혁안 = 147
(4) 정치제도 개혁안 = 150
(5) 풍속 개혁안 = 160
(6) 군정 개혁안 = 162
8. 이수광의 세계지리와 국토관 = 169
(1) 우리나라의 명산(名山)에 대하여 = 175
(2) 우리나라의 강과 바다에 대하여 = 177
(3) 땅(전지)에 대한 관심 = 180
9. 우리나라 역사와 전통문화에 대한 연구 = 183
(1) 고조선에 대한 연구 = 185
(2) 삼한과 한사군에 대한 연구 = 189
(3) 예맥과 고구려 강역에 대한 연구 = 192
(4) 백제, 신라, 가락, 부여, 발해에 대한 연구 = 195
(5) 우리 사신들에 대한 중국의 대접 = 198
(6) 인재, 미풍, 장기, 물산, 훈민정음 등에 대한 자랑 = 201
10. 이수광의 세계인식 = 207
(1) 세 차례 북경방문 = 209
(2) 이수광이 본 외국지도류 = 211
(3) 세계 50여 개국의 소개 = 214
(4) 안남 사신과의 교류 = 218
(5) 유구국 사신과의 교류 = 227
(6) 일본에 대한 인식 = 233
(7)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인식 = 240
(8) 중앙아시아 여러 나라 = 248
(9) 서역의 문화와 물산 = 259
(10) 유럽에 대한 인식 = 260
(11) 북로(北虜)에 대한 지식 = 269
맺음말 = 273
찾아보기 = 28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