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일러두기 = 4
태학산문선을 발간하며 = 5
버림받은 영혼의 절망과 우수 - 이학규론 = 13
제1부 만남과 이별 = 27
이 아픔, 어찌 말로 다하랴 = 29
윤이 엄마 = 36
물거품 같은 인생 = 43
옛 시절의 추억 = 47
어린아이 우성돈의 죽음 = 51
나와 같이 자란 누이의 죽음 = 55
편안히 운명을 따르라 = 59
생사의 갈림길 = 62
제...
목차 전체
일러두기 = 4
태학산문선을 발간하며 = 5
버림받은 영혼의 절망과 우수 - 이학규론 = 13
제1부 만남과 이별 = 27
이 아픔, 어찌 말로 다하랴 = 29
윤이 엄마 = 36
물거품 같은 인생 = 43
옛 시절의 추억 = 47
어린아이 우성돈의 죽음 = 51
나와 같이 자란 누이의 죽음 = 55
편안히 운명을 따르라 = 59
생사의 갈림길 = 62
제2부 유배지에서의 생활 = 65
아침은 언제 오는가 = 67
꿈꾸는 자의 자유 = 72
상상 속의 공간과 실제의 현실 = 76
유배지에서 겪는 괴로움 = 80
무료한 나날들 = 85
오갈 곳 없는 신세 = 88
보리밥과 막걸리의 행복 = 91
우리 집안의 몰락 = 93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 1 = 96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 2 = 98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 3 = 99
역지사지의 마음 = 102
동상이몽 = 104
도박의 폐해 = 106
인생의 두 가지 양식 = 108
정해진 법은 없다 = 112
짧은 편지 모음 = 114
제3부 생활의 발견 = 121
내가 사는 집 = 123
작은 연못 = 128
작은 채마밭 = 131
남포 유람기 = 134
한숨 쉬는 집 = 141
금계의 둥지 = 144
바둑 둘 때 경계할 일 = 148
투전 도박 = 153
먹지 말아야 할 음식 = 159
상상 속의 정원 그림 = 162
태봉석으로 만든 붓걸이 = 166
마을 사람 모이는 곳 = 169
제4부 글쓰기의 의미 = 173
하루라도 시를 짓지 않을 수 없다 = 175
시 창작은 이 세계 내의 일 = 180
본뜨고 흉내 내기 = 184
시와 산문의 차이 1 = 186
시와 산문의 차이 2 = 187
문장의 경계는 파 껍질 벗기듯이 = 189
예술적 정취란 무엇인가 = 192
농익은 것과 날 것 = 194
중앙의 문학과 지방의 문학 = 196
백성의 참상을 고발하는 시 = 199
영남의 역사와 풍속을 노래한 시 = 202
이광려와 박지원의 시문 = 207
제1부 원문 = 209
擬祭丁孺人文 = 211
哭允母文 = 214
與某人 = 217
大谷草序 = 219
哭童子禹聖敦文 = 221
權耆配驪州李氏墓誌銘 = 223
與孫拭魯 = 225
答金農師 = 226
제2부 원문 = 227
譬解八則 = 229
答某人 = 230
與某人 = 232
與某人 = 234
答某人 = 236
答某人 = 237
答某人 = 238
與某人 = 239
與某人 = 240
與某人 = 241
與某人 = 242
答某人 = 243
答某人 = 244
與某人 = 245
答某人 = 246
答鄭義錫 = 248
與某人 = 249
與某人 = 250
答某人 = 251
與某人 = 252
與某人 = 253
與某人 = 254
答某人 = 255
與某人 = 256
제3부 원문 = 257
匏花屋記 = 259
記小池 = 261
記小圃 = 262
遊南浦記 = 263
舒嘯記 = 265
錦鷄巢記 = 266
書奕碁譜後 = 267
戒馬弔說 = 269
食忌譜序 = 271
童子鄭寧甲意園山水圖序 = 273
泰封石筆架記 = 275
觀豊亭記 = 276
제4부 원문 = 277
與某人 = 279
答某人 = 281
答某人 = 283
答某人 = 284
答朴思浩 = 285
答某人 = 286
與尹師赫朴思浩 = 287
答某人 = 288
答某人 = 289
己庚紀事詩序 = 290
嶺南樂府序 = 291
與某人 = 29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