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학회 첫 단행본 발간에 임해서 = 4
제1부
김기진의 프로문학론 연구 / 홍성암
1. 머리말 = 11
2. 비평이론 성립의 배경 = 12
3. 프로문학론의 전개 양상 = 17
1) 생활 반영론 = 17
2) 형식론 = 21
3) 대중화론 = 27
4. 문학사적 위상과 그 한계 = 31
임화의 문학론 연구 / 박선애
1. 머리말 = 35
2. 기존 연구...
목차 전체
목차
학회 첫 단행본 발간에 임해서 = 4
제1부
김기진의 프로문학론 연구 / 홍성암
1. 머리말 = 11
2. 비평이론 성립의 배경 = 12
3. 프로문학론의 전개 양상 = 17
1) 생활 반영론 = 17
2) 형식론 = 21
3) 대중화론 = 27
4. 문학사적 위상과 그 한계 = 31
임화의 문학론 연구 / 박선애
1. 머리말 = 35
2. 기존 연구 검토 = 36
3. 창작방법 논쟁과 임화의 문학론 = 39
4. 임화의 소설론 양상 = 47
5. 맺음말 = 53
회월 박영희의 전향과 '카프'의 관계 / 송경란
1. 머리말 = 57
2. 계급문학의 선택 : 〈백조〉에서 '카프'로 = 60
3. 목적의식론의 전개 : 문학논쟁과 제1차 전향 = 64
4. 예술의 대중화의 문제 : 제2차 방향전환 = 72
5. 맺음말 : 전향 그 이후 = 78
조명희 다시 읽기 / 이정숙
1. 들어가며 = 83
2. 망명과 죽음의 아이러니 - 전기적 사실에 대한 재정리 = 87
3. 타골과 고리끼 사이 - 운문에서 산문으로 = 90
4. 조명희 소설의 특징 - 미숙한 소설적 기법 = 97
3. 낭만주의적 이상과 혁명적 이상의 구현 = 106
제2부
시와 논리 / 채수영
1. 논리의 한계 = 115
2. 함정 빠지기 혹은 나오기 = 116
1) 보편성의 일탈 - 김소월의 〈진달래꽃〉 = 116
2) 습작 - 김수영의 〈풀〉 = 120
3) 공상의 몽유도 - 신석정의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 123
4) 혼돈의 미로 - 박재삼의 〈울음이 타는 가을강〉 = 125
3. 나가는 길에서 = 128
최승호의 생태시 연구 / 김효중
1. 문제의 제기 = 131
2. 최승호의 생태시 분석 = 134
1) 묵시록적 상상력 : 종말론적 예고 = 134
2) 현대 문명의 비판 = 137
3) 인간의 세속적 욕망에 오염된 종교의 타락 = 146
4) 섭식관계의 인식을 통한 생명의 소중함 = 148
3. 결론 = 152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외출'의 의미 연구 / 김인경
1. 들어가며 = 155
2. 심리적 갈등 양상을 통해 본 '외출' = 159
1) 낭만적 시선이 주는 심리적 동요 = 159
2) 만남으로 인한 심리적 갈등의 심화 = 165
3) 정체성 찾기와 그 가능성의 모색 = 171
3. 이선희 소설에 나타난 '외출'의 의미 = 176
4. 나오며 = 177
신과 종교 문제에 대한 진지성과 치열성 / 임영천
1. 머리말 = 181
2. 「-교회」 연작소설들 = 183
3. 신 없는 신 앞에서 = 190
4. 마무리 = 193
중ㆍ한 '타락자' 형상에 대한 비교 연구 / 김영희
1. 머리말 = 195
2. 일본 사소설과 그 문학적 특징 = 196
3. 욱달부와 현진건의 일본 사소설 수용 양상 = 201
1) 욱달부의 일본 사소설 수용 양상 = 201
2) 현진건의 일본 사소설 수용 양상 = 206
4. 욱달부의 '타락'과 현진건의 '타락자' 비교 고찰 = 212
1) 주제 및 제재 면 = 212
2) 인물 형상 면 = 215
3) 창작 기법 면 = 219
5. 맺음말 = 221
D. H. Lawrence의 문학론 / 김태호
1. 머리말 = 223
2. 작품 분석 = 225
3. 맺음말 = 248
川端康成 문학 속에 나타난 '허무'의 특질 / 고영자
Ⅰ. 서론 = 253
Ⅱ. 본론 = 256
1. 川端 文學의 '生'과 '死' = 256
1) '死'의 공포 = 256
2) '生死'의 이름들 = 258
3) 여행의 의미 = 260
4) '死'의 예고 = 262
2. 「禽獸」의 허무 = 264
1) 다윈사상의 적용 = 264
2) 허무감 = 267
3. 동서의 '허무'의 의미 차이 = 269
1) 니힐리즘의 정의 = 269
2) 니이체의 「永久輪回說」 = 270
3) 「生」의 與慾 = 273
4) 莊子의 순환설 = 275
5) 川端의 윤회전생 = 278
Ⅲ. 결론 = 28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