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해제(解題) = ⅲ
일러두기 = xxix
퇴계선생언행록범례 = 1
퇴계선생언행록목록 = 4
퇴계선생언행록을 기록한 분들의 목록 = 6
퇴계선생언행록 권1 = 9
유편(類編) = 9
묻고 배움[學問] = 9
독서(讀書) = 17
격물치지를 논함[論格致] = 26
마음을 보존하고 성찰함[存省] = 31
경을 지니는 공부를 논함[論持敬] = 36
덕을 이룸...
목차 전체
목차
해제(解題) = ⅲ
일러두기 = xxix
퇴계선생언행록범례 = 1
퇴계선생언행록목록 = 4
퇴계선생언행록을 기록한 분들의 목록 = 6
퇴계선생언행록 권1 = 9
유편(類編) = 9
묻고 배움[學問] = 9
독서(讀書) = 17
격물치지를 논함[論格致] = 26
마음을 보존하고 성찰함[存省] = 31
경을 지니는 공부를 논함[論持敬] = 36
덕을 이룸[成德] = 43
사람을 가르치는 일[敎人] = 46
퇴계선생언행록 권2 = 63
유편(類編) = 63
학문을 강론하고 변석함[講辨] = 63
자질과 품성[資品] = 81
일상생활의 절도[起居語點之節] = 82
몸가짐[律身] = 86
가정생활[居家]-검약(儉約)을 덧붙임- = 90
조선(祖先)을 받드는 일[奉先] = 97
가훈(家訓) = 101
향리(鄕里)의 생활[處鄕] = 108
물건을 받거나 사양하는 일[辭受] = 115
퇴계선생언행록 권3 = 122
유편(類編) = 122
대인관계[交際] = 122
음식과 의복의 절도[飮食衣服之節] = 126
산과 물을 사랑함[樂山水] = 128
벼슬살이와 물러남[出處] = 136
임금을 섬기는 일[事君] = 155
임금에 대한 건의와 충고[告君陳誡] = 158
관직생활[居官]-자제들의 관직생활에 대한 교육을 덧붙임- = 174
퇴계선생언행록 권4 = 182
유편(類編) = 182
이와 기를 논함[論理氣] = 182
예를 논함[論禮]-관ㆍ혼ㆍ상ㆍ제(冠昏喪祭)- = 190
시사를 논함[論時事] = 219
퇴계선생언행록 권5 = 228
유편(類編) = 228
인물을 논평한 것[論人物] = 228
과거의 폐단을 논평한 것[論科擧之弊] = 244
바른 학문을 숭상한 것[崇正學] = 248
그밖의 여러 가지 기록[雜記] = 253
경연 신하들이 아뢴 의론[筵臣啓辭] = 261
임종에 관한 기록[考終記] = 268
퇴계선생언행록 권6 = 276
부록(附錄) = 276
실제 사실을 기록함[實記] = 276
언행 전반을 기술함[言行通述] = 287
남기신 일들[遣事] = 297
행장(行狀)의 대략(行略) = 299
사후(死後)의 추숭(追崇)을 위한 건의[崇終獻議] = 301
교지문(敎旨文) = 312
제문(祭文) = 318
『退溪先生言行錄』原文 = 324
[退溪先生言行錄凡例] = 325
[卷一] = 331
[類編] = 331
[學問] = 331
[讀書] = 334
[論格致] = 338
[存省] = 340
[論持敬] = 342
[成德] = 345
[敎人] = 347
[卷二] = 354
[講辨] = 354
[資品] = 361
[起居語默之節] = 362
[律身] = 364
[居家[附儉約]] = 365
[奉先] = 369
[家訓] = 371
[處鄕] = 374
[辭受] = 377
[卷三] = 380
[交際] = 380
[飮食衣服之節] = 382
[樂山水] = 383
[出處] = 385
[事君] = 393
[告君陳誡] = 394
[居官] = 400
[卷四] = 404
[論理氣] = 404
[論禮] 冠昏喪祭 = 407
[論時事] = 419
[卷五] = 423
[論人物] = 423
[論科擧之弊] = 429
[崇正學] = 431
[雜記] = 433
[筵臣啓辭] = 437
[考終記] = 439
[附錄] = 444
[實記] = 444
[言行通述] = 449
[遣事] = 454
[行略] = 455
[崇終獻議] = 456
[敎文] = 460
[祭文] = 462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