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펴내며 = 11
서장. 남명학을 오해와 소외에서 바로잡자 = 55
1. 조식의 사람됨에 대한 재인식 = 55
1) 박대정심한 학문 범위 = 55
2) 박문약례와 자득지학 = 57
3) 군경민귀 사상의 고취 = 58
4) 강의독행의 '경의' 정신 = 59
5) 출처대의의 수범 - 선비의 전형 = 61
6) 실천유학의 대교육가 = 66
2. 조...
목차 전체
목차
책을 펴내며 = 11
서장. 남명학을 오해와 소외에서 바로잡자 = 55
1. 조식의 사람됨에 대한 재인식 = 55
1) 박대정심한 학문 범위 = 55
2) 박문약례와 자득지학 = 57
3) 군경민귀 사상의 고취 = 58
4) 강의독행의 '경의' 정신 = 59
5) 출처대의의 수범 - 선비의 전형 = 61
6) 실천유학의 대교육가 = 66
2. 조식이 폄억된 몇 가지 원인 = 68
1) 조정으로부터의 경원 = 69
2) 정인홍의 실각과 학파 간의 대립 = 70
3) 문집산정으로 진면목의 상실 = 71
4) 신도비 시비로 인한 유림과의 이반 = 73
3. 조식의 정신이 지성에게 주는 교훈 = 75
1) 진리와 도의 편에 서는 지성 = 75
2) 자아세계가 확립된 지성 = 76
3) 역사문화의 주체적 지성 = 78
4) 만품을 굽어보는 고고탁절한 기상 = 79
제1장. 조식의 출처관, 그 배경과 저의 = 81
1. 벼슬길의 속성을 직시하고 택한 처사의 길 = 81
2. 끝내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은 저의 = 83
제2장. 남명 조식의 생애와 학문 정신 = 89
1. 처사로 곧게 살아간 생애 = 89
2. '정신 수양'에 주력하고 '정의를 실천'하는 학문 = 94
3. 고매하고 우국애민한 선비 정신 = 97
4. 사림과 나라에 끼친 영향과 공적 = 99
1) 처사상의 확립 = 100
2) 선비 존중의 가치관 조성 = 102
3) 영재 교육과 국난 극복 = 104
5. 남명의 상소문 = 109
1) 「단성소」 = 109
2) 「단성소」를 둘러싸고 일어난 조정의 논란 = 110
3) 선조에게 올린 마지막 건의 = 112
6. 국왕이 보낸 제문 및 선비우대정책 = 116
1) 사제문 = 116
2) 선비우대정책 = 118
7. 제현들의 찬술 - 남명 학덕의 대요 = 119
8. 문묘종사보다 우뚝 선 처사상 = 124
제3장. 남명 조식 성리학의 특징 Ⅰ - 자득과 실천 = 125
1. 조식의 성리학관과 시대의식 및 자기출로 모색 = 125
1) 조식의 성리학관 = 125
2) 조식의 시대 의식 = 130
3) 조식의 학문 방법과 그가 얻은 경지와 지킨 것 = 138
2. 남명학의 기조 - 『학기유편』과 「학기도」 = 148
1) 이정합집본과 중간본의 범례와 발문 = 148
2) 도의 통체를 논하다 = 151
제4장. 남명 조식 성리학의 특징 Ⅱ - 학문의 과정과 방법 = 193
1. 위학지요: 학문의 과정과 방법 = 194
1) 「소학대학도」 = 194
2) 「박문약례도」 = 199
3) 「지언양기도」 = 204
4) 「심위엄사도」 = 211
5) 「기도」 = 215
2. 조식의 「학기도」의 도의 단위와 명칭 정리 = 219
1) 『학기』와 「학기도」의 요점 = 219
2) 「학기도」 및 도명 대비표 = 222
3) '남명성학도'의 호칭과 '남명성학십도'의 선택 가능 문제 = 223
제5장. 남명학의 요체 - '경의' = 227
1. 들어가는 말 = 227
1) 조식의 성리학 특징 = 227
2) 남명학의 요체 - '경의' = 231
3) '경'ㆍ'의'의 글자 의미와 연원 맥락 = 235
2. '경'과 '의'의 연원 맥락 = 240
1) '경의 변천 과정 = 240
2) '의'의 변천 과정 = 249
3. 송대 성리학의 함양 공부 - '경'과 '의' = 260
1) '경의' 정신의 몰락과 재기 = 260
2) 도교와 불교의 영향과 주정 경향 = 261
3) 정호와 정이 형제의 유가 본위의 '경의'설 = 264
4. 조식의 '경의'관과 그 실천 = 280
1) 조식의 학문 방법 특징 = 280
2) 여러 학파의 '경의'설의 수집과 정리 = 283
3) 조식의 '경도'와 '경의명' = 288
제6장. 「신명사도ㆍ명」의 새로운 해석 = 301
1. 들어가는 말 = 301
2. 「신명사도ㆍ명」의 고증 문제 = 303
3. 「신명사도ㆍ명」의 문자 정리 = 309
1) 명문의 부주 문제 = 309
2) 「신명사도」의 몇 가지 의문 = 311
3) 「신명사도ㆍ명」의 정리 = 314
4. 「신명사도ㆍ명」에 대한 필자의 해석 = 319
1) 종래 연구에 대한 필자의 견해 = 319
2) 「신명사도ㆍ명」을 가장 간명직절하게 이해하는 길 = 320
3) 조식의 학문 수양 방향과 자세 = 322
4) 남명학의 학문 과정과 방법의 특징 = 325
5. 「신명사도ㆍ명」과 조식의 일상과의 대비 = 327
1) 「행장」에 나타난 조식의 일상 모습 = 328
2) 선대 유학자들의 「신명사명」 약해 = 329
3) 「신명사명」에 대한 필자의 해석 = 331
6. 맺음말 = 335
제7장. 시문을 통해 본 조식의 사상 = 339
1. 조식 시문의 특징 = 339
2. 영지(詠志) - 고고탁절한 기상과 비천민인의 정조 = 345
3. 영회(詠懷) - 청고이불일한 흉회와 격탁위양청하는 처세 = 359
4. 영사(詠史) - 역사교훈에 입각한 현실 직시와 미래에의 대비 = 369
제8장. 기축옥사의 시말과 그 교훈 = 379
1. 기축옥사의 사실 구명과 재평가 = 379
2. 기축옥사가 일어난 원인 Ⅰ = 385
1) 신사무옥: 안처겸의 옥 = 385
2) 송익필 가문의 환천 = 387
3) 정여립과 송익필의 대립 및 이발과 정철의 반감 = 389
4) 최영경과 정철의 사혐 = 390
3. 기축옥사가 일어난 원인 Ⅱ = 392
1) 동서분당과 양전론자 이이의 죽음 = 392
2) 정여립의 배사부동(背師附東)과 대동계 = 396
4. 기축옥사의 시말 = 400
1) 역모의 고변에서 국문의 성립까지 = 400
2) 정여립 도피 사건에 대한 의혹 = 403
3) 기축옥사의 전개 과정 = 405
5. 기축옥사를 일으킨 저의: 이발 가문의 단멸 = 407
6. 기축옥사의 사화로의 전변: 최영경의 무옥과 사림의 반발 = 412
7. 기축옥사의 반전 = 419
1) 정철의 실각과 동인의 반격 = 419
2) 최영경의 신원 = 421
3) 호남육현의 신원 = 422
8. 기축옥사가 남긴 과제 = 425
1) 정여립의 사상 = 425
2) 정개청의 이념 = 427
제9장. 묘갈문과 신도비문 = 429
1. 「묘갈문」: 대곡 성운 = 429
1) 비문을 번역하게 된 연유 = 429
2) 각 판본 간의 증삭한 문제와 역자의 입장 = 430
3) 각 판본의 대교 검토 = 432
4) 「묘갈문」 역문 = 437
2. 「신도비문」: 우암 송시열 = 443
1) 비문을 번역하게 된 연유와 역문의 저본 = 443
2) 「신도비문」 역문 = 447
종장. 남명학과 21세기 유교의 부흥 = 453
1. 한국 유교의 과거와 현재 = 453
1) 유교의 어제와 오늘 = 453
2) 공자의 수난과 유교의 반기 = 455
2. 조식의 실천유학의 특징: 신유학과 원유학의 접목 = 457
1) 주자학자이기보다는 공자학자였던 조식 = 457
2) 조식의 유학(성리학)과 유교(공맹학)의 상호 보완 = 460
3. 공자학의 부흥과 유교의 역동화 = 463
1) 공자학의 기조: 박학이무방, 온고이지신 = 463
2) 공자학의 위축과 『논어』의 한계 = 466
3) 공자학의 원형 = 470
4. 유교 복원의 삼대축: 제사문화ㆍ가정윤리ㆍ도덕교육 = 472
1) 제사 문화의 새로운 복원 = 473
2) 가정윤리의 단위 공능 회복 = 476
3) 도덕교육 확립의 조기화와 정교 = 479
부록 1. 남명 조식의 사적 = 485
부록 2. 남명의 교유인과 문인ㆍ사숙인 = 49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