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직업심리학의 변천과 발달
제1절 직업심리학의 이해 = 1
1. 직업심리학의 본질 및 의의 = 2
2. 직업심리학의 영역 = 4
3. 과거 직업심리학의 논점 = 6
4. 현대 직업심리학의 논점 = 8
5. 현대 직업심리학의 방향 = 11
제2절 직업심리학의 변천 = 12
1. 직업심리학의 발달사 = 1
2. 우리나라 직업심리학의 발달 = 15
3...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직업심리학의 변천과 발달
제1절 직업심리학의 이해 = 1
1. 직업심리학의 본질 및 의의 = 2
2. 직업심리학의 영역 = 4
3. 과거 직업심리학의 논점 = 6
4. 현대 직업심리학의 논점 = 8
5. 현대 직업심리학의 방향 = 11
제2절 직업심리학의 변천 = 12
1. 직업심리학의 발달사 = 1
2. 우리나라 직업심리학의 발달 = 15
3. 외국의 직업심리학의 발달 = 17
제3절 직업심리학의 적용 = 23
1. 미래시간 전망과 생애주기 = 23
2. 인간의 직업심리 측정 = 24
3. 진로상담 = 26
4. 직업정보 = 27
5. 선발ㆍ배치ㆍ진로경로 개척 = 28
6. 실업에 대한 위기관리 = 31
7. 여가 = 32
8. 은퇴 = 34
9. 비교문화 = 36
제4절 직업심리학 이론의 쟁점 = 38
1. 직업심리학의 이론적 측면과 관련된 쟁점 = 38
2. 비심리학적 이론과 관련된 쟁점 = 40
3. 심리학의 제 이론과 관련된 쟁점 = 44
4. 직업행동 이론과 관련된 쟁점 = 54
제2장 인간과 직업
제1절 일ㆍ진로ㆍ직업 = 63
1. 일과 놀이 = 64
2. 진로와 직업 = 65
3. 직업상담과 직업상담 프로그램 = 67
제2절 인간의 성격과 직업 = 68
1. 성격 이론 = 69
2. 성격과 직업심리학 = 74
3. 성격과 학업수행 = 75
제3절 인간의 욕구와 가치 = 76
1. 욕구와 직업 = 77
2. 가치와 직업 = 82
3. 흥미ㆍ욕구ㆍ가치 간의 관계 = 86
제4절 진로성숙 = 87
1. 진로성숙의 개념 = 88
2. 발달적 관점에서 본 진로성숙 = 90
제5절 진로 자기효능감 = 92
1. 자기효능감 = 93
2. 진로 자기효능감 = 95
제6절 직업의식 = 99
1. 의식의 범위 = 100
2. 직업의식의 개념 및 영역 = 102
3. 한국인의 직업의식 = 105
제7절 직업경로 = 111
1. 직업이동과 근속기간 및 사직사유 = 111
2. 직업별 직업경로 = 113
제8절 직업윤리 = 118
1. 직업윤리의 의미 = 119
2. 서양의 직업윤리 = 121
3. 우리나라 직업윤리의 실태 = 124
4. 한국인의 직업 선호도 = 132
제3장 직업심리 이론
제1절 특성ㆍ요인 이론 = 142
1. 특성ㆍ요인 이론의 발단 = 142
2. 특성ㆍ요인 이론의 주요 논점 = 144
3. 윌리엄슨의 특성ㆍ요인 이론 = 146
제2절 개인-환경 적합 접근 = 151
1. 개인-환경 적합 접근의 개요 = 151
2. 개인-환경 적합 접근에 대한 연구 = 154
제3절 진로발달 이론 = 157
1. 긴즈버그의 발달 이론 = 158
2. 수퍼의 생애발달 이론 - 생애공간 접근법 = 160
3. 타이드먼과 오하라의 발달 이론 = 170
4. 고트프레드슨의 직업포부 발달 이론 = 173
제4절 욕구 이론 = 178
1. 욕구 이론의 배경 = 178
2. 욕구 이론의 주요 내용 = 178
3. 욕구 이론의 적용 실례 - 직업선택의 공식 = 184
제5절 성격 이론 = 186
1. 성격 이론의 배경 및 의의 = 187
2. 성격 이론의 주요 내용 = 188
3. 성격 이론의 적용 실례 - 검사도구 = 193
제6절 진로선택의 사회학습 이론 = 194
1. 진로발달 과정의 요인 = 194
2. 사회학습 모형과 진로선택 = 195
제7절 정신분석 이론 = 197
1. 진로발달 모형의 주요 개념 = 198
2. 생리적 욕구충족을 위한 9가지 직업군 = 198
3. 이론의 한계 = 198
제8절 새로운 직업심리학 이론 = 199
1. 인지적 정보처리 관점 = 200
2. 사회인지적 조망 = 201
3. 가치 중심적 진로접근 모형 = 203
4. 맥락적 관점 = 205
5. 자기효능감 이론 = 206
6. 구성주의 이론 = 207
7. 개입 관련 이론 = 212
제4장 진로사정
제1절 개인차 변인의 사정 = 217
1. 적성과 능력 = 218
2. 흥미 = 221
3. 일 가치, 욕구, 진로현저성 = 229
제2절 진로과정 변인의 사정 = 230
1. 진로 의사결정 = 230
2. 성인의 진로적응 = 237
제3절 진로 관련 인지사정 = 238
1. 진로신념 = 238
2. 진로 자기효능감 = 240
3. 미래 방향 = 243
제5장 진로상담과 진로개입
제1절 개요 = 248
1. 진로상담의 정의 = 248
2. 진로상담과 개인상담의 관련성 = 249
3. 성인 내담자의 진로상담과 정신건강의 논점 = 252
제2절 진로상담 과정 = 252
1. 개관 = 253
2. 진로상담에서 과정과 관련된 연구 개관 = 255
3. 동류어 연구 = 259
제3절 진로상담 성과 = 261
1. 개관 = 262
2. 집단상담 대 개인상담 = 266
제4절 진로개입 = 268
1. 진로개입의 논점 = 268
2. 진로선택 개입 = 269
제6장 생애주기와 진로계획
제1절 인간의 생애주기와 형태 = 273
1. 인간의 생애주기 = 274
2. 생애형태 분석 = 275
3. 우리나라 생애주기의 변화 = 278
제2절 미래시간 전망 = 281
1. 미래시간 전망의 개념과 인간의 태도 = 281
2. 청소년의 미래시간 구조 = 284
제3절 생애주기 변화에 따른 직업상담 = 286
1. 직업상담 = 286
2. 청소년의 직업상담 프로그램 단계 = 289
3. 구직 및 취업을 위한 직업상담 프로그램 단계 = 298
4. 직업상담의 전문화 = 303
제7장 인간과 직업적응
제1절 자동화와 인간 = 305
1. 자동화 시스템 = 306
2. 자동화 생산시스템과 인간의 직업행동 = 312
제2절 동기체계 이론 = 315
1. 동기체계 이론 = 316
2. 동기화된 인간을 위한 동기체계 이론의 원리 = 321
제3절 일 적응과 작업환경 = 325
1. 일 적응 = 325
2. 작업환경 = 331
3. 직무권태 = 336
4. 직업체면 = 346
제8장 직업의 구조
제1절 직무수준과 직업 = 355
1. 컴퓨터의 발달과 기술의 변화 = 355
2. 직무의 변화 = 362
3. 기능과 직무수준 = 364
4. 직무수준과 훈련기간 = 368
제2절 직무분석 = 372
1. 직무분석의 유래 및 의의 = 372
2. 직무분석의 방법 = 374
3. 직무분석의 단계 및 원칙 = 378
제3절 직무와 작업환경 = 386
1. 물리적 환경 = 386
2. 보건적 측면에서의 작업환경 변인 = 388
제4절 우리나라의 직업 및 취업구조 = 394
1. 우리나라의 직업구조 = 395
2. 우리나라의 취업구조 = 410
3. 인력수급 전망 = 411
제9장 진로경로 개척과 직업전환
제1절 조직에서의 진로경로 개척 = 419
1. 변화하는 조직과 진로경로 개척의 신개념 = 420
2. 무경계선의 조직 및 진로경로 개척 = 423
3. 진로경로 개척의 단계 = 426
4. 조직평가와 조직의 인사관리 = 432
제2절 직업훈련과 평생학습 = 437
1. 직업훈련 = 437
2. 조직의 교육훈련 = 445
3. 평생학습 = 454
제3절 여가와 직업전환 = 457
1. 일과 여가 = 458
2. 직업전환을 위한 직업상담 = 462
3. 실업에서의 직업훈련의 역할 = 465
4. 실업자의 직업전환과 직업상담 = 466
5. 실업자의 직업의식 및 실업 관련 프로그램 = 468
제10장 비교문화 직업심리학
제1절 소수민족 심리학의 역사와 발전 = 479
1. 비교문화심리학의 접근 = 480
제2절 대다수 진로 이론에 대한 소수민족 비평 = 482
1. 비교문화 관점에서 현재 이론들에 대한 일반적 비평 = 482
2. 비교문화적 관점의 비평 = 485
3. 문화적 타당성 검증 = 488
제3절 소수민족 진로발달의 문화 특수적 이론 및 관련성 = 490
1. 치트햄의 아프리카 중심의 모형 = 490
2. 문화변용 모형 = 491
3. 인종과 민족정체성 발달 = 493
4. 다른 문화 특수적 변인 = 498
제4절 진로발달과 직업행동의 문화비교 연구 = 499
1. 문화비교 연구에 대한 비판 = 499
2. 문화비교 연구결과 = 500
3. 주제별 문화비교 연구결과 = 501
4. 한국의 경우 = 504
제5절 미래 이론 발전과 연구의 경향 = 506
1. 이론적ㆍ경험적 논점 = 506
2. 경험적 관심사 = 508
제11장 청소년의 진로발달과 직업행동
제1절 청소년의 진로발달 = 511
1. 청소년기의 진로발달 이론 = 511
2. 청소년 직업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13
제2절 청소년의 직업의식 = 515
1. 직업과 관련된 청소년의 의식 = 515
2. 우리나라 청소년의 직업의식 실태 = 517
3. 청소년의 직업의식 분석 = 520
4. 청소년의 진로경로 = 523
제3절 청소년의 직업선택과 직업이동 = 527
1. 직업선택 = 527
2. 직업이동 = 530
제12장 여성의 진로발달과 직업행동
제1절 여성의 진로발달 및 형태 = 533
1. 여성 진로발달의 독특한 개념 = 534
2. 여성의 진로발달 = 539
3. 여성의 진로형태 = 544
4. 고트프레드슨의 제한과 타협 이론 = 545
5. 여성의 진로욕구 = 548
제2절 여성의 직업의식 = 557
1. 한국 여성의 직업의식 = 558
2. 한국 여성의 직업선택 = 560
제13장 중ㆍ고령자의 진로발달과 직업행동
제1절 중ㆍ고령자의 직업발달 = 567
1. 직업발달 이론과 발달과업 = 567
2. 중ㆍ고령자의 기능변화 = 570
3. 고령에 적합한 직업적 능력 = 573
4. 직업생활에 대한 교육훈련 = 575
제2절 마드리드 고령화 국제행동계획 = 576
1. 노인과 발전 = 577
2. 노년까지의 건강과 안녕 증진 = 580
3. 능력을 부여하고 지원하는 환경 확보 = 583
4. 이행과 후속조치(114~132항) = 584
제3절 중ㆍ고령자의 직업욕구와 직업의식 = 586
1. 중ㆍ고령자의 직업욕구 = 586
2. 일자리의 감소와 노인실업 = 591
3. 중ㆍ고령자의 직업의식 = 599
부록 1. 직업상담사 자격시험을 위한 부가자료 = 605
Ⅰ. 직업심리학 연구방법 = 605
Ⅱ. 심리검사 = 616
Ⅲ. 작업동기와 직무만족 = 633
Ⅳ. 스트레스 연구 및 의미 = 643
부록 2. 직업심리학 관련용어 = 649
참고문헌 = 663
주제 찾아보기 = 701
인명 찾아보기 = 72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