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1장 언어의 신체성
1. 장면 = 13
2. 유연한 대화의 장? = 15
3. 토론 없는 토론 = 18
4. 말의 무능력 = 21
5. 어긋나는 말들 = 30
6. 말의 신체성 = 34
7. 상호주관성과 자기부정성의 결여 = 42
8. 자기 몸 중심주의 = 57
2장 실천적 합리성과 신체
1. ...
목차 전체
1장 언어의 신체성
1. 장면 = 13
2. 유연한 대화의 장? = 15
3. 토론 없는 토론 = 18
4. 말의 무능력 = 21
5. 어긋나는 말들 = 30
6. 말의 신체성 = 34
7. 상호주관성과 자기부정성의 결여 = 42
8. 자기 몸 중심주의 = 57
2장 실천적 합리성과 신체
1. 신체와 타자성 = 61
2. 소통과 실용성 = 67
3. 신체중심주의와 타인부재 = 73
4. 상호주관성과 생활세계 = 79
3장 중심확산적 소통과 실효적 소통
1. 의사소통적 합리성의 부재 = 87
2. 민주주의적 리더십의 조건 = 92
3. 실용주의 리더십과 역사문화적 감수성 = 96
4장 공동체적 자아 속의 신체적 자아
1. '나' 없는 '우리' = 100
2. '나'의 신체와 '우리'의 배반 = 112
5장 비(非)매개적인 체득(體得)과 선입견 없는 부딪침
1. 왜 텍스트에 드러난 사유 방법에 주목하나? = 123
2. 경우( 境遇) 특수적 사유 = 128
3. 비(非)매개적인 체득(體得) = 133
4. 선입견 없는 부딪침 = 138
5. 생활세계의 분절적(分節的) 개방성 = 145
6장 즉물적인 신체접촉의 진정성과 개방성
1. 직접성과 매개 = 158
2. 신체밀착성 = 166
7장 동시다발형 인간
1. 일상의 풍경들 = 177
2. 동시다발형(同時多發型)과 이시순차형(異時順次型) = 179
3. 동시다발적 관계의 부정성과 생산성 = 183
4. 분절적(分節的) 개방성의 위력 = 188
8장 분절적 개방성의 명암
1. 동시다발성의 생산성 = 191
2. 생존전략으로서의 분절적 개방성 = 196
3. 불연속적 단층성의 긍정적인 의미 = 202
9장 경험의 충격성과 실전(實戰)적인 내부폭발력
1. '빨리빨리'와 '냄비근성'의 이면 = 207
2. 짧은 호흡과 과정생략적 근대화 = 213
3. 경험의 충격과 내부폭발 = 218
4. 조건독립적인 실전력 = 223
10장 한국인 특유의 경험 개념과 조건의 초기화
1. '비(非)매개적 체득'과 '선입견 없는 부딪침'의 차이 = 230
2. 한국인의 '경험' 개념과 근접하는 서양철학의 시각들 = 232
3. 한국인의 '경험'의 특성과 실제 = 242
11장 야생적인 자아와 섬세한 자아의 이중주
1. '크게 노는 나'와 '작게 노는 나' = 249
2. 헤르메스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병행 = 251
3. '무기교의 기교'의 재발견 = 258
12장 표면적인 명분과 이면적인 실리의 동시적인 추구
1. '까만 비닐봉지'에 담긴 함축 = 265
2. 표리부동(表裏不同)의 욕망구조 = 268
3. 단층적 중첩성(斷層的 重疊性) = 272
4. '가능'에서 '허용'으로 = 273
5. 명분 속에서 실리 챙기기 = 276
13장 심신(心身)통합적 사유와 현세적 즉물(卽物)주의
1. 문제상황 = 281
2. 식품에서 약품으로 = 283
3. 입은 말하기보다 먹기 위하여? = 283
4. 전통 신화 속의 음식행위 = 285
5. 건강관리법으로서의 도교의 양생법(養生法) = 289
6. 일상에서의 도교의 목적전치와 희박한 피안사상 = 291
7. 조선 유가의 심신통합적 사유와 건강우선주의 = 293
8. 도교적 사유의 목적전치에 영향을 미친 현세적 즉물주의 = 294
14장 한국인의 일상행위에 대한 몇 가지 이념형적인해석과 그의 전략적인 활용가능성 - 요약과 결론을 대신해서
1.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철학 = 299
2. 한국인의 일상적 행위에 대한 몇 가지 이념형적인 해석 = 302
3. 해석 결과의 전략적인 활용가능성 = 307
참고문헌 및 자료 = 311
색인 = 31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