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자아관련 변인 = 1
1. 가능 자아 = 2
2. 자아개념(SDQ) - 초등학생용 = 4
3. 자아개념(SDQ) - 중ㆍ고등학생용 = 7
4. 자아개념(SDQ) - 대학생용 = 10
5. 내현적 자기애(CNS) = 14
6. 자아존중감 = 17
7. 청소년용 자기상 검사(SIQYA) = 20
8. 한국형 자아정체감 ...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자아관련 변인 = 1
1. 가능 자아 = 2
2. 자아개념(SDQ) - 초등학생용 = 4
3. 자아개념(SDQ) - 중ㆍ고등학생용 = 7
4. 자아개념(SDQ) - 대학생용 = 10
5. 내현적 자기애(CNS) = 14
6. 자아존중감 = 17
7. 청소년용 자기상 검사(SIQYA) = 20
8.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 = 23
9. 자아정체성 지위 척도(EOM-EIS2) = 26
10. 자기통제력 척도 = 29
11. 청소년기 자아중심성 = 32
제2장 대인관계 변인 = 35
1. 대인관계 문제척도(K-IIP) = 36
2. 내현적 대인반응 척도 = 41
3. 친구관계의 친밀도 = 46
4. 또래 경험 척도 = 48
5. 학령기 아동을 위한 친구관계의 질 척도(FQS) = 50
6. 사회측정적 인기도 검사 = 54
7. 지각된 인기도 검사 = 56
8. 역할분류 측정도구 = 58
9. 또래관계 질 척도 = 60
제3장 적응ㆍ부적응 변인 = 63
1. 한국판 청소년용 삶의 만족도 검사(KLSSA) = 64
2. 아동의 심리적 복지척도 = 66
3. 한국판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 = 69
4. 한국판 방어유형 질문지(K-DSQ) = 72
5. 집착척도 = 76
6.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진단척도(PDS) = 78
7. 일차적 분노사고 척도 = 80
8. 이차적 분노사고 척도 = 83
9. 적대적 자동적 사고 척도(HATS) = 86
10. 수정판 일반적 태도 및 신념 척도(R-GABS) = 88
11. 언어성 분노행동 척도 = 90
12.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 = 92
13. 청소년 정신병질 특성 척도(YPI) = 95
14. 한국판 사회공포증과 불안검사(K-SPAI) = 99
15. 정서ㆍ행동문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 = 104
16. 외톨이 질문지 = 109
17. 부적응적 자기초점화 척도(MSFAS) = 112
18. 또래 괴롭힘 척도 = 115
19. 외상경험 척도 = 117
20. 한국판 아동ㆍ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 = 119
21. 분노표출 태도 = 122
22. 분노억제 태도 = 126
23. 한국판 무망감 우울증상 척도(K-HDSQ) = 129
24. 인터넷 중독 척도 = 133
25. 가출 예측 척도 = 136
26. 충동성 척도 = 139
27. 물질주의 척도 = 141
28. 청소년 인터넷 중독 척도 = 144
29. 휴대폰 중독 척도 = 147
30. 한국판 부정적 자기진술 질문지 = 149
31. 청소년 분노평가 척도 = 152
32. 아동의 외로움 척도 = 155
제4장 심리발달관련 변인 = 157
1. 한국판 아동의 신체화 척도 = 158
2. 완벽주의 질문지(PQ) = 161
3.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 164
4. 중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 = 167
5. 중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대처 척도 = 171
6. 스트레스 대처 전략 검사 = 175
7. 가치관 명료도 측정도구 = 178
8. 청소년 여가동기 척도 = 181
9. 교사용 청소년 행동문제평가 척도 = 184
10. 사회적 지지 척도 = 186
11. 스트레스 사건 질문지 = 188
12. 사회적 유능감 척도 = 190
13. 사회적 능력 검사 = 192
14. 대처 반응 측정도구 = 195
15. 청소년의 스트레스원 측정도구 = 197
16.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안 측정도구 = 200
17. 청소년 스트레스 대처 척도(K-ACS) = 203
18. 사회문제해결 검사 = 206
19.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발달 척도 = 208
20. 완벽성 척도(MPS) = 210
21. 공감적 이해도 검사 = 213
제5장 부모-자녀관계 변인 = 215
1. 심리통제 척도 = 216
2.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 상(像) 척도 = 218
3. 모-자녀간 의견 대립시 부정적 감정 척도 = 224
4. 모-자녀간 불평 및 불만 척도 = 226
5. 청소년 후기 개체화 척도 = 228
6. 자녀가 지각한 부부갈등 척도(CPIC) = 231
7. 애착 척도 = 234
8.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의사소통 척도 = 235
9.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 척도(FACES Ⅲ) = 238
10. 한국적 양육행동 척도 = 240
11. 중학생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 척도 = 246
12. 부모 수용도 검사 = 250
13. 세대차이 측정 척도 = 253
14.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 255
15. 부모 양육태도 지각 검사 = 258
16. 부모에 대한 애착 척도 = 261
17.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 263
18. 부모 양육행동 척도 = 266
제6장 진로 및 학교생활 변인 = 271
1. 진로사고 검사 = 272
2. 청소년 또래폭력행동피해 척도 = 277
3. 대학생진로탐색장애 검사(KCBI) = 280
4. 진로 내외통제성 척도 = 284
5. 성취동기 척도 = 286
제7장 상담 변인 = 289
1. 상담자 태도 척도 = 290
2. 상담회기영향 척도(SIS) = 293
3. 치료적 관계 척도 = 296
4. 상담회기 평가 질문지 = 301
5. 아동상담자의 의욕상실 척도 = 304
6. 작업동맹특성 척도 = 309
7. 집단상담 치료적 요인 질문지 = 313
제8장 성관련 변인 = 317
1. 성역할 정체감 척도 = 318
2. 성폭력 장기후유증 척도 = 321
3. 아동용 성역할 검사 = 324
4. 청소년용 월경태도 질문지 = 326
5. 월경에 대한 태도 척도 = 329
6. 중학생 성태도 검사 = 332
7. 중학생 성충동성 검사 = 335
8. 중학생 성대처 행동 검사 = 338
9. 고등학생 성태도 검사 = 341
10. 고등학생 성충동성 검사 = 344
11. 고등학생 성대처 행동 검사 = 347
참고문헌 = 351
찾아보기 = 36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