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번역된 철학 착종된 근대 : 우리 시대의 동아시아 고전 읽기

전호근, 김시천 지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번역된 철학 착종된 근대 : 우리 시대의 동아시아 고전 읽기 / 전호근, 김시천 지음
개인저자전호근
김시천
발행사항서울 : 책세상, 2010
형태사항299 p. : 삽화 ; 24 cm
ISBN9788970137544
서지주기참고문헌(p. 279-285)과 색인수록
분류기호181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72071 181 전호근 번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14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책을 펴내며|'고전'을 읽는다는 것에 대하여 = 9
앞풀이|번역된 근대와 동아시아 고전 읽기 = 16
첫째 마당|근대적 삶의 공간에서의 '고전' 번역 -《논어》와《노자》를 중심으로
 제1장《사서언해》에서〈소년논어〉까지 = 27
  1. 유가 철학의 원전 번역 = 27
  2. 전통 시기의 유가 철학 원전 번역 = 28
  3. 대한제국 말기 및 일제 ...

목차 전체

목차
책을 펴내며|'고전'을 읽는다는 것에 대하여 = 9
앞풀이|번역된 근대와 동아시아 고전 읽기 = 16
첫째 마당|근대적 삶의 공간에서의 '고전' 번역 -《논어》와《노자》를 중심으로
 제1장《사서언해》에서〈소년논어〉까지 = 27
  1. 유가 철학의 원전 번역 = 27
  2. 전통 시기의 유가 철학 원전 번역 = 28
  3. 대한제국 말기 및 일제 강점기의 유가 철학 원전 번역 = 40
  4. 우리의 '근대'는 정말 없었는가? = 60
 제2장 현대 한국의《논어》읽기의 역사와 갈래 = 63
  1. 고전의 번역과 '번역을 통한' 근대화 = 63
  2. 광복 직후의《논어》번역 - 광복부터 1960년까지 = 64
  3. 1960년대의《논어》번역 - 1961년에서 1970년까지 = 69
  4. 1970년대의《논어》번역 - 1971년에서 1980년까지 = 74
  5. 1980년대의《논어》번역 - 1981년에서 1990년까지 = 81
  6. 1990년대부터 최근까지의《논어》번역 = 84
  7. 1990년대, 한글 번역을 통한 일상화의 가치 = 86
 제3장 우리 시대의《노자》번역을 돌아보며 = 88
  1.《노자》, 다른 목소리로? = 88
  2.《노자》, 그 천 개의 얼굴 = 90
  3. 두개의《노자》, 공존의 시대 = 93
  4.《노자》의 철학, 왕필의 시대 = 96
  5. 우리 시대의 읽기,《노자》번역의 시작 = 98
  6.《노자》번역에서의 역사성과 보편성 = 101
  7. 보편성에서 역사성으로 = 104
 제4장 고전 읽기에서의 상식 창조 - 함석헌의 노자 읽기 = 107
  1. 씨알 사이로 걸어 들어간 한 사상가의 '이야기' = 107
  2. 함석헌 '노장 읽기'의 역사적 연속과 불연속 = 111
  3. 씨알의 자리에서 피어난 노장 이야기 = 115
  4. 화해의 철학을 찾아서 = 122
둘째 마당|'전통'의 창조와 번역된 근대
 제5장《장자》구워삶기 - 노장 전통의 신유가적 변용 = 129
  1. 우언의 철학자 = 129
  2. 극단적 배척에서 적극적 수용으로 = 131
  3. 필독서가 된 이단,《장자》 = 158
 제6장 이단에서 전통으로 - 장자, 진유가 된 한 사이비의 역사 = 160
  1. 해석의 갈등, 20세기의《장자》 = 160
  2. 장자의 두 얼굴,《사기》의 장자와《장자》의 장자 = 166
  3. 역사 속의《장자》 = 177
  4. 유학 안에서《장자》읽기, 사이비와 진유 = 188
  5. 진유가 된 사이비 장자, '이단'에서 '전통'으로 = 196
 제7장《열하일기》를 통해 본 박지원 사상의 근대성과 번역의 근대성 = 199
  1. 조선의 18세기와《열하일기》 = 199
  2.《열하일기》번역의 개략 = 200
  3. 박지원 문학의 특징을 통해 본 근대성 = 203
  4.《열하일기》번역을 통해 본 근대성 = 207
 제8장 착종된 근대 - 서구 동양 철학 연구서의 번역과 근대성 = 222
  1. 번역된 철학, 번역된 근대 = 222
  2. 서구 동양 철학 연구서의 번역 현황과 시기별 특징 = 225
  3. 내재화된 오리엔탈리즘과 그 너머까지 = 241
  4. 경전의 신비 - 너희가 어찌 고전을 아느냐 = 248
  5. 착종된 근대 - 근대와 전근대의 이중주 = 254
뒤풀이|'번역'과 '철학' - 동아시아 고전 번역과 삶의 중첩성 = 258
 1. 왜 우리는 고전을 읽는가? = 258
 2. 서양의 '철학자(philosopher)'와 동양의 '군자(君子)' = 260
 3. 말과 '천하(天下)' 그리고 동양 철학 = 265
 4. '진리'에서 '다스림(治)'으로 = 269
 5. 제자백가의 도(道)를 찾아서 = 273
참고문헌 = 279
찾아보기 = 286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