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1부 유교적 마음에 대한 이해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의 마음 인식에 대한 성찰 = 17
1. 문제제기 = 17
2. 마음의 이론들과 心學 = 20
3. 心學 관련 도설의 의미 = 25
4. 심학적 마음 인식의 틀 = 29
1) 天人관계에 의한 마음의 범주화 = 30
2) 體用에 입각한 마음의 이해 = 33
3) 敬에 의한 ...
목차 전체
목차
1부 유교적 마음에 대한 이해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의 마음 인식에 대한 성찰 = 17
1. 문제제기 = 17
2. 마음의 이론들과 心學 = 20
3. 心學 관련 도설의 의미 = 25
4. 심학적 마음 인식의 틀 = 29
1) 天人관계에 의한 마음의 범주화 = 30
2) 體用에 입각한 마음의 이해 = 33
3) 敬에 의한 일관성의 추구 = 38
5. 유교적 마음 인식의 특징 = 40
6. 결론: 유교문화와 마음 인식의 관계에 대한 추론 = 43
한국인의 내면에 形象化된 '마음': 한국인의 마음모델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 48
1. 서론: 마음을 보는 시각의 얼개 짜기 = 48
2. 유학 속의 마음과 문화사회적 마음 = 53
3. 한국인의 마음속에 형상화된 사회적 마음 = 60
4. 결어: 한국인의 마음속에 형상화된 마음은 얼마나 유적일까? = 68
참고문헌 = 71
2부 협동연구: 유교의 마음모델
협동연구: 인지과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한 朝鮮 性理學의 禮교육 心性모델 개발(해설) = 75
도덕 심성모델의 새로운 시도: 퇴계학, 구성주의, 인공지능 = 87
1. 서 = 87
2. 구성주의, 퇴계 성학, 인공지능 및 현대 윤리학의 방향 = 90
1) 구성주의와 인공지능 = 90
2) 퇴계 성학의 의의와 한계 = 93
3) 현대 윤리학의 새로운 방향 = 95
3. 퇴계 성학의 구성주의적 해석 방향 = 99
4. 퇴계 성학의 심성모델과 구성주의적 설명 = 102
5. 퇴계 성학 심성모델 시뮬레이션의 방향 = 105
6. 결론 = 111
참고문헌 = 113
인지과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한 朝鮮 性理學의 禮교육 心性모델 개발(1) = 115
1. 서론 = 115
2. 구성주의와 심성모델 = 117
3. 서구의 심리모델 = 120
1) 서구 심리철학에서의 mind = 120
2) 인지과학에서의 마음 = 122
3) 인공지능에서의 마음 = 123
4. 성리학 심성모델의 지향과 구성주의적 해석의 방향 = 124
5. 성리학적 수양론과 심성모델의 구성원리 = 127
6. 성리학 통합 心性모델의 구성 - 퇴계와 율곡의 통합모델 = 130
7. 현대 윤리학의 방향과 성리학 심성모델 = 135
8. 결론: 성리학 통합 심성모델과 서구 심리모델의 비교와 연관성 검토 = 139
참고문헌 = 142
인지과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한 朝鮮 性理學의 禮교육 心性모델 개발(2) = 144
1. 연구의 취지와 목적 = 144
2. 연구방법 = 148
3. 예문화체계의 구성과 전개 = 152
4. 예문화체계의 시스템 분석 = 156
5. 예문화체계의 피드백 구조 = 159
1) 예문화체계 생성기의 피드백 구조 = 159
2) 예문화체계 정착기의 피드백 구조 = 162
3) 예문화체계 토착화와 확산 단계의 피드백 구조 = 164
6. 마음과 예문화체계의 관계 정립 = 166
7. 문화체계 시뮬레이션의 방법 = 170
8. 예문화체계 시뮬레이션의 구현 = 179
9. 결론 = 182
참고문헌 = 184
3부 유교적 마음모델과 예교육 프로그램
性理學的 心性모델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유교 禮교육방법의 효용성 분석 = 189
1. 서론 = 189
2. 퇴계 성리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 = 191
1) 퇴계 성리학과 도덕 심성모델 = 191
2) 퇴계 성리학 예교육의 교육학적 특징 = 193
3) 퇴계 성리학 심성모델에서의 인공지능 연구의 역할 = 196
3. 퇴계 성리학의 심성모델 구성 = 198
1) 퇴계 성리학의 심성모델의 원리 = 198
2) 퇴계 심성모델의 요소와 구성 = 200
4. 유교 예교육 효과의 시뮬레이션 = 204
1) 심성모델의 시뮬레이션 = 204
2) 심성모델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구성 = 204
3) 심성모델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의한 예교육 분석 = 210
5. 유교 예교육 효과의 경험적 증거 = 211
1) 경험적 자료의 분석방법과 원리 = 211
2) 유교 예교육의 효과 분석 = 213
6. 결론: 종합 및 논의 = 217
참고문헌 = 219
유교 심성론에 근거한 체화방법이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자율성에 미치는 효과 = 223
1. 문제의 제기 = 223
2. 연구방법 = 229
1) 연구설계 = 229
2) 연구대상 = 229
3) 연구도구 및 절차 = 230
4) 종속변인 및 자료분석 = 233
3. 결과 및 해석 = 235
1) 체화방법의 효과에 관한 분석 = 235
2) 체화방법 효과의 연령별 차이에 관한 분석 = 237
3) 추수검사 분석 = 240
4. 논의 및 결론 = 243
참고문헌 = 248
한국인의 유교적 마음의 구성에 대한 분석과 이에 기초한 청소년 예교육모델 개발 = 250
1. 연구의 목적과 방법 = 250
2. 한국인의 유교적 마음 구성의 문화적 배경: 예학과 심학 = 253
3. 한국인의 유교적 마음의 작용 구조 = 258
4. 한국인의 유교적 마음의 현상과 작용 = 263
1) 마음의 존재형태와, 표출양식 및 사용맥락에 대한 연구(설문지 조사) = 264
2) 예절에 대한 사회적 표상 연구(설문지 조사) = 267
5. 청소년 예교육모델 = 269
6. 청소년 예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274
1) 청소년 예교육프로그램의 개발 = 274
2) 청소년 예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 275
7. 결론 = 284
참고문헌 = 286
부록 = 28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