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들어가는 말 = 7
제1장 군주의 길을 논하다 = 13
제2장 신하의 길을 논하다 = 21
제3장 좋은 군주와 좋은 신하가 만나기 어려움에 대해 논하다 = 27
제4장 우리나라에서 도학이 행해지지 않음에 대해 논하다 = 35
제5장 우리 조정이 옛 도를 회복하지 못함에 대해 논하다 = 39
제6장 금일의 시대 정세를 논하다 = 47
제7장 무실(務實)...
목차 전체
목차
들어가는 말 = 7
제1장 군주의 길을 논하다 = 13
제2장 신하의 길을 논하다 = 21
제3장 좋은 군주와 좋은 신하가 만나기 어려움에 대해 논하다 = 27
제4장 우리나라에서 도학이 행해지지 않음에 대해 논하다 = 35
제5장 우리 조정이 옛 도를 회복하지 못함에 대해 논하다 = 39
제6장 금일의 시대 정세를 논하다 = 47
제7장 무실(務實)이 수기(修己)의 요체임을 논하다 = 55
제8장 간인(姦人)의 판별이 용현(用賢)의 요체임을 논하다 = 63
제9장 안민정책을 논하다 = 71
제10장 교육정책을 논하다 = 87
제11장 정명(正名)이 정치의 근본임을 논하다 = 97
해제 - 선조에게 올리는 청년 이이의 수기치인의 정치개혁 보고서 = 104
1. 인간 율곡과 생애 = 104
(1) 생과 사 = 104
(2) 성장기 = 108
(3) 관직 생활 = 110
(4) 저술 세계 = 112
2. 《동호문답》의 내용과 구성 = 115
3. 조선 전기 수기치인의 정치학 = 121
(1) 왕도정치의 관건 : 정치 주체의 입지와 무실 = 121
(2) 수기치인과 무실 = 123
ㄱ. 수기와 무실 = 124
ㄴ. 치인과 무실 = 126
4. 선조 대 율곡 = 130
5. 율곡과 한국 지성사 : 도덕과 정치, 사람과 제도의 조화 = 135
주 = 138
더 읽어야 할 자료들 = 153
옮긴이에 대하여 = 15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