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들어가는 말 = 10
예기ㆍ악기 = 19
제1장 악본 = 21
1. 성ㆍ음ㆍ악의 정의 = 21
2. 마음과 목소리의 상관성 = 21
3. 예ㆍ악ㆍ형ㆍ정의 존재 이유 = 22
4. 음악은 정사와 통한다 = 22
5. 궁ㆍ상ㆍ각ㆍ치ㆍ우의 상징성 = 23
6. 난세의 음과 망국의 음 = 24
7. 군자라야 악을 알고, 악을 알면 ...
목차 전체
목차
들어가는 말 = 10
예기ㆍ악기 = 19
제1장 악본 = 21
1. 성ㆍ음ㆍ악의 정의 = 21
2. 마음과 목소리의 상관성 = 21
3. 예ㆍ악ㆍ형ㆍ정의 존재 이유 = 22
4. 음악은 정사와 통한다 = 22
5. 궁ㆍ상ㆍ각ㆍ치ㆍ우의 상징성 = 23
6. 난세의 음과 망국의 음 = 24
7. 군자라야 악을 알고, 악을 알면 예에 가깝다 = 24
8. 유음ㆍ유미 속에 담긴 선왕의 뜻 = 25
9. 천리를 잃고 욕망이 다하니 크게 어지러워진다 = 26
10. 예ㆍ악ㆍ형ㆍ정으로 왕도를 갖추다 = 26
제2장 악상 = 27
1. 소리와 마음의 상관성 = 27
2. 악에 표현된 만상의 상징성 = 28
3. 군자와 소인의 즐거움 = 29
4. 악의 효능 = 29
5. 악의 덕성〔진정성〕 = 29
6. 악은 덕성의 표상이다 = 30
7. 성인이 악을 좋아하는 이유 = 31
제3장 악언 = 31
1. 음악이 마음에 미치는 영향 = 31
2. 악의 근본은 사람의 성정 = 32
3. 어지러운 세상의 악 = 33
제4장 악화 = 33
1. 악을 깊이 파악해 속마음을 다스린다 = 33
2. 예를 깊이 파악해 겉모습을 다스린다 = 34
3. 악례의 효능 = 34
4. 악과 예의 기능과 특질 = 35
5. 악의 불멸성 = 35
6. 선왕이 악을 만든 이유 = 36
(1) 올바른 즐거움 = 36
(2) 군신ㆍ상하ㆍ장유ㆍ노소ㆍ부자ㆍ형제의 화합 = 36
7. 악은 즐거움에서 비롯하나 성에 근본을 두고 정으로 발현된다 = 37
8. 악의 상징성 = 37
제5장 악시 = 38
1. 악 제작의 이유 = 38
2. 고대 아악의 전범, 육악 = 38
3. 하늘과 땅의 이치는 악 제작과 실행의 모델 = 39
4. 예약 제작의 목적 = 39
5. 악은 베풂이고 예는 보답이다 = 40
6. 천자가 제후에게 보답하는 예 = 40
제6장 악론 = 41
1. 악과 예의 기능 = 41
2. 대악과 대례 = 41
3. 악과 예의 본질은 사랑과 공경이다 = 42
4. 성과 명 = 43
5. 악과 하늘과 화합/예와 땅과 질서 = 43
6. 악과 예의 본질과 역할 = 44
제7장 악례 = 44
1. 완벽한 악과 예 제작의 어려움 = 44
2. 악례와 인의 = 45
3. 천지의 엄연한 구별에서 예〔의 정당성〕를 끌어내다 = 46
4. 천지의 따뜻한 조화로움에서 악〔의 감화력〕을 보다 = 46
5. 악례를 소홀히 할 수 없는 이유 = 47
6. 예악의 성대한 규모 = 47
제8장 악정 = 48
1. 악과 예의 불변의 이치 = 48
2. 악과 예의 본질과 원칙 = 48
3. 악의 효용 = 48
4. 악과 예에서 정말 중요한 것 = 49
제9장 빈모고 = 50
1. 공자의 질문 = 50
(1) 북을 치며 한참 경계하는 이유 = 50
(2) 그 외 다섯 가지 질문 = 50
2. 빈모고의 질문 - 춤추는 자리에서 오래도록 서서 기다려야 하는 이유 = 51
3. 공자의 대답 = 51
(1) 〈무악〉에서 표상된 줄거리 = 51
(2) 악의 상징성 = 52
(3) 목야에서 무왕이 시행한 일 = 53
(4) 호경에서 무왕이 시행한 일 = 53
(5) 다섯 가지 가르침 = 53
(6) 원로에 대한 공경 = 54
(7) 〈무악〉을 행할 때 더디고 오랜 이유 = 54
제10장 사을 = 55
1. 자공의 질문 - 각자의 성격이나 기질에 적합한 노래가 있는가 = 55
2. 사을의 대답 = 55
(1) 노래는 덕을 드러낸다 = 55
(2) 상과 제 = 56
(3) 노랫소리의 비유 = 56
(4) 노래에서 춤으로 = 57
제11장 위문후 = 57
1. 고악과 신악의 차이는 무엇인가 = 57
2. 고악의 모습 = 58
3. 신악의 모습 = 58
4. 악과 음의 차이 = 59
5. 덕음이 악이다 = 59
6. 익음 - 정음, 송음, 위음, 제음 = 60
7. 고악의 특질 = 61
8. 임금이 호오를 삼가야 하는 이유 = 61
9. 선왕의 작악 = 61
10. 종소리의 표상 = 62
11. 경소리의 표상 = 62
12. 명주실 소리의 표상 = 62
13. 대나무 소리의 표상 = 63
14. 북소리의 표상 = 63
15. 군자가 음악을 듣는 이유 = 63
해제 - 고대 동아시아 예악 사상의 총결,《예기ㆍ악기》 = 64
1. 예악 사상이란? = 64
(1) 공자 이전 = 65
(2) 공자 이후 = 67
(3) 주자 이후 = 70
2. 《예기ㆍ악기》는 어떤 책인가 = 73
(1) 작자 = 73
(2) 주요 주석서 = 74
(3) 차례 = 75
3. 악과 음악 = 76
(1) 천자와 대통령 = 76
(2) 음악과 악의 정의 = 77
(3) 악과 음악은 어떻게 다른가 = 79
4. 악의 존재 이유 = 84
(1) 누가 만들었는가 = 84
(2) 왜 만들었는가 = 86
(3) 제작의 필연적 이유 = 89
5. 악을 통한 교화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91
(1) 악의 본질적 속성 = 92
(2) 자연 정감의 인간화 = 94
(3) 보편적 정감 형식 = 95
6. 악론의 특색 = 98
(1) 명교적 효용성 = 98
(2) 도덕적 창작론 = 98
(3) 예술적 수양론 = 99
7. 《예기ㆍ악기》의 현대적 의의 = 100
(1) 동아시아 전통 문화 철학에 대한 이해 = 100
(2) 한국 전통 음악 문화에 대한 철학적 이해 = 101
(3) 한국 전통 궁중 음악의 현재적 가치에 대한 자각 = 102
주 = 106
더 읽어야 할 자료들 = 140
옮긴이에 대하여 = 14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