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한국의 유학(儒學)과 의학(醫學)

성호준 지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한국의 유학(儒學)과 의학(醫學) / 성호준 지음
개인저자성호준
발행사항서울 : 심산, 2019
형태사항301 p. ; 23 cm
총서사항학술총서 ;038
ISBN9788994844619
서지주기서지적 각주와 참고문헌(p. 298-301) 수록
기금정보주기이 저서는 2014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분류기호181.15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359742 181.15 성호준 한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15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의도동원(醫道同源)과 의유동도(醫儒同道). 중국이나 한국 등 동아시아의 의학사는 철학사의 전개와 그 흐름을 함께 하여 왔다. 한당대(漢唐代)에 도교, 불교가 성행하였을 때에는 도교 의학이나 불교 의학이 발전하였고, 송원(宋元) 이후 유학이 성리학으로 재편·발전하였을 때에는 유의(儒醫)라는 이름으로 성리학적 의학의 체계를 세운다. 그러나 의학은 태생적으로 인...

목차 전체

의도동원(醫道同源)과 의유동도(醫儒同道). 중국이나 한국 등 동아시아의 의학사는 철학사의 전개와 그 흐름을 함께 하여 왔다. 한당대(漢唐代)에 도교, 불교가 성행하였을 때에는 도교 의학이나 불교 의학이 발전하였고, 송원(宋元) 이후 유학이 성리학으로 재편·발전하였을 때에는 유의(儒醫)라는 이름으로 성리학적 의학의 체계를 세운다. 그러나 의학은 태생적으로 인간 신체의 기질 변화 양상을 좇는 학문이므로 음양(陰陽) 소식(消息)을 근간으로 하는 역학(易學)의 상수학적 전통이 근저에 자리하고 있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