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한국시의 이미지-사유와 정동의 시학

조강석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한국시의 이미지-사유와 정동의 시학 / 조강석
개인저자조강석
발행사항서울 : 소명, 2021
형태사항408 p. ; 23 cm
대등표제Image-thought and the poetics of the affect of Korean poetry
ISBN9791159055720
서지주기참고문헌: p. 403-408
기금정보주기이 저서는 연세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으로 이루어진 것임
분류기호811.109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413275 811.109 조강석 한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31 대출가능

초록

목차 일부

애초 이미지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 동기는 문학 텍스트를 내부로부터 외부로 전개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구하기 위해서였다. 2000년대 이후 제도 연구와 사상사 연구, 그리고 표상 연구 등이 문학 연구의 주류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이런 현상은 한국문학 연구자를, 조금 더 폭넓은 위상을 지닐 수 있는 한국학 연구자로 자리매김하고 연구의 대상을 넓히는 ...

목차 전체

애초 이미지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 동기는 문학 텍스트를 내부로부터 외부로 전개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구하기 위해서였다. 2000년대 이후 제도 연구와 사상사 연구, 그리고 표상 연구 등이 문학 연구의 주류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이런 현상은 한국문학 연구자를, 조금 더 폭넓은 위상을 지닐 수 있는 한국학 연구자로 자리매김하고 연구의 대상을 넓히는 효과를 발휘해왔다. 그러나 텍스트가 문화와 제도, 그리고 사상의 알리바이로서, 주제를 추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단편적 표상으로서만 기능하는 것으로 여겨지게 만든 것도 사실이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