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서양미술사

E. H. 곰브리치 지음 ; 백승길 ; 이종숭 [공]옮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서양미술사 / E. H. 곰브리치 지음 ; 백승길 ; 이종숭 [공]옮김
개인저자Gombrich, E. H.
이종숭
백승길
발행사항서울 : 예경, 1994
형태사항687p. : 색채삽도, 연대표 ; 25cm
원서명(The)story of art
ISBN8970840656
일반주기색인 : p.675-685
서지주기참고문헌 : p.638-654
분류기호709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중앙도서관

중앙도서관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616729 709 G632sK c7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72 대출가능
2 533264 709 G632sK c3 보존서고B2 B201-1-1 대출가능
3 610111 709 G632sK c6 보존서고B2 B201-1-1 대출가능
4 950700 709 G632sK c8 보존서고B3 B364-7-7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책머리에 = ⅶ

제12·13·14·15판 서문 = ⅹ

한국어판 서문 = ⅹⅱ

서론 = 3

제1장 신비에 싸인 기원 = 19

제2장 영원을 위한 미술 = 31

제3장 위대한 각성 = 46

제4장 아름다움의 세계 = 65

제5장 세계의 정복자들 = 80

제6장 기로에 선 미술 = 94

제7장 동방의 미술 = 100

제8장 혼돈기의 서양 미술...

목차 전체

책머리에 = ⅶ

제12·13·14·15판 서문 = ⅹ

한국어판 서문 = ⅹⅱ

서론 = 3

제1장 신비에 싸인 기원 = 19

제2장 영원을 위한 미술 = 31

제3장 위대한 각성 = 46

제4장 아름다움의 세계 = 65

제5장 세계의 정복자들 = 80

제6장 기로에 선 미술 = 94

제7장 동방의 미술 = 100

제8장 혼돈기의 서양 미술 = 113

제9장 전투적인 교회 = 125

제10장 교회의 승리 = 137

제11장 귀족과 시민 = 155

제12장 사실성의 정복 = 167

제13장 전통과 혁신 Ⅰ = 183

제14장 전통과 혁신 Ⅱ = 202

제15장 조화의 달성 = 217

제16장 빛과 색채 = 247

제17장 새로운 지식의 확산 = 260

제18장 미술의 위기 = 277

제19장 발전하는 시각 세계 = 301

제20장 자연의 거울 = 325

제21장 권력과 영광의 예술 Ⅰ = 342

제22장 권력과 영광의 예술 Ⅱ = 352

제23장 이성의 시대 = 360

제24장 전통의 단절 = 375

제25장 끝없는 변혁 = 395

제26장 새로운 규범을 찾아서 = 425

제27장 실험적 미술 = 442

제28장 끝이 없는 이야기 = 476

 모더니즘의 승리 = 476

 변화된 분위기 = 490

 변모하는 과거 = 499

참고문헌에 대하여 = 510

연표 = 519

지도 = 528

도판 목록 = 532

역자 후기 = 540

색인 = 541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한권으로 마스터 가능한 서양사와 미술의 통합본! '서양미술사'
  • 4
  • 2016-05-20
  • 추천수(0)
E.H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는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미술의 변천사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 책이다. 분량이 두꺼운 만큼 수많은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고, 그 작품들의 해설 역시 방대하다. 책의 도입부인 서문부분에서는 우리가 미술작품을 감상할 때 흔히 하는 착각들에 대해 얘기해 주면서, 저자는 독자들에게 올바르게 미술작품을 감상하는 법을 알려주었다. 저자는 책의 앞부분에서, '미술의 모든 역사는 기술적인 숙련에 관한 진보의 이야기가 아니라 변화하는 생각과 요구들에 대한 것'이라고 말하면서, 우리가 원시시대의 작품을 논할 때 '원시'란 단어가 미술가들의 재능이 미개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항상 유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