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7
1장 서사학에 대한 이해 = 15
1. 서사학이란 무엇인가 = 17
2. 영화 서사학의 효용성과 한계 = 30
3. 서사학의 새로운 이론적 지평 = 38
2장 영화 서사의 창작·전달·수용 메커니즘과 매체 = 41
1. 영화 텍스트의 구조와 분석적 접근 = 43
2. 영상 이미지 창조와 읽기의 논리 = 45
3. 영상과 음향기법...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7
1장 서사학에 대한 이해 = 15
1. 서사학이란 무엇인가 = 17
2. 영화 서사학의 효용성과 한계 = 30
3. 서사학의 새로운 이론적 지평 = 38
2장 영화 서사의 창작·전달·수용 메커니즘과 매체 = 41
1. 영화 텍스트의 구조와 분석적 접근 = 43
2. 영상 이미지 창조와 읽기의 논리 = 45
3. 영상과 음향기법들에 대한 이해 = 48
3장 영화, 음영 서사체의 스토리, 사건의 국면 = 79
1. 사건의 구성 = 81
2. 텍스트의 분절, 연구의 출발점 = 90
3. 텍스트 분절의 실제 = 98
4. 내러티브 구조의 규명 = 109
4장 영화의 서사적 시간성 = 121
1. 시간이란 무엇인가? = 123
2. 영화 텍스트의 시간 분석을 위한 전제 = 127
3. 시간 분석 개념들의 영화 텍스트에의 적용 = 133
5장 작중인물과 그 캐릭터의 분석 연구 = 199
1. 작중인물 연구의 현황과 지평 = 201
2. 인물, 성격의 개념 = 203
3. 서사시학에서 작중인물의 지위에 대한 논쟁 = 207
4. 작중인물의 유형 = 214
5. 인물/성격 구축(분석)의 방법 = 219
6. 기술적 요인들 - 인물의 성격 강화 방편들 = 250
6장 배경, 그리고 공간의 문제 = 253
1. 배경-장소와 시간의 문제 = 255
2. 배경과 서사, 그리고 극적 리얼리티 = 257
3. 묘사적 배경과 서술적 배경 = 260
4. 프레임, 그리고 영화 공간 = 264
5. 화면 영역과 외화면 영역의 변증법적 관계 = 267
6. 장소 이동과 이정 = 279
7. 시간의 공간화와 공간의 시간화 = 286
7장 화자, 초점화와 서술 = 297
1. 시점 혹은 서술의 초점 = 299
2. 초점화, 시각화, 청각화(알기, 보기, 듣기) = 308
3. 영화에서의 초점화 = 316
4. 피화자(수화자)의 문제 = 327
5. 텍스트와 수용자의 역학관계 = 332
6. 서스펜스의 논리 = 348
8장 영화 텍스트에서 작가의 위상 문제 = 359
1. 영화에서의 작가(감독) 문제 = 361
2. 문제의 정면으로 들어가기 위하여 = 366
3. 본질적인 문제부터 되짚어 나오기 = 372
4. 텍스트의 분석과 종합으로서의 재봉합론 = 376
맺음말 = 381
참고문헌 = 384
찾아보기 = 39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