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1부 놀이의 중요성
1장 놀이에 대한 신념
들어가는 말 = 3
생각할거리 = 4
1. 유아와 놀이에 대한 관점의 변화 = 4
1) 고대 및 전통 사회(19세기 이전) = 4
2) 현대 = 6
3) 후기 현대 관점 = 8
2. 놀이에 대한 다양한 관점 = 9
1) 놀이에 대한 유아의 관점 = 9
2) 놀이에 대한 부모의 관점 = 12
3) 놀이에 대한 ...
목차 전체
목차
1부 놀이의 중요성
1장 놀이에 대한 신념
들어가는 말 = 3
생각할거리 = 4
1. 유아와 놀이에 대한 관점의 변화 = 4
1) 고대 및 전통 사회(19세기 이전) = 4
2) 현대 = 6
3) 후기 현대 관점 = 8
2. 놀이에 대한 다양한 관점 = 9
1) 놀이에 대한 유아의 관점 = 9
2) 놀이에 대한 부모의 관점 = 12
3)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점 = 13
4) 놀이에 대한 행정가의 관점 = 14
3. 놀이에 대한 정의 = 15
1) 놀이의 본질 = 16
2) 놀이의 기능 = 17
3) 놀이의 특징 = 19
4) 놀이틀 = 22
5) 놀이 관련 행동 = 23
4. 최근의 관심과 경향 = 26
1) 뇌 연구 = 26
2) 실외놀이 = 27
3) 편성된 운동 = 28
4) 비만 = 30
5) 놀이와 괴롭힘 = 32
6) 기술공학 = 34
7) 세계화 = 35
8) 유아교육기관 시간의 연장 = 38
맺는 말 = 39
프로젝트와 활동 = 40
2장 놀이이론
들어가는 말 = 41
생각할거리 = 42
1. 고전 놀이이론 = 43
1) 잉여 에너지 이론 = 43
2) 휴식 이론 = 44
3) 반복 이론 = 44
4) 연습 이론 = 45
5) 현대 놀이이론과의 연결 = 46
2. 현대 놀이이론 = 47
1) 심리역동 이론 = 47
2) 사회학습 이론 = 48
3) 인지 이론 = 50
4) Sutton-Smith의 놀이이론 = 56
3. 후기 현대 이론 = 58
1) 사회문화적 관점 = 59
2) 비판 교육 이론 = 61
3) 혼돈 이론 = 62
4. 교사를 위한 시사점 = 64
맺는 말 = 67
프로젝트와 활동 = 68
2부 놀이와 발달
3장 놀이 발달과 평가: 출생에서 8세까지
들어가는 말 = 71
생각할거리 = 72
1. 놀이 발달 = 72
1) 놀이는 어떻게 발달하는가? = 73
2) 놀이 발달의 맥락 = 74
2. 운동놀이의 발달 = 74
1) 신체놀이 및 조작놀이 = 75
2) 이동놀이 = 76
3) 거친 신체놀이 = 76
3. 사물놀이의 발달 = 78
1) 사물 조작놀이와 탐색놀이 = 78
2) 구성놀이 = 80
4. 상징놀이의 발달 = 83
1) 가장 행위와 사물 = 83
2) 역할 수행과 주제 = 84
5. 사회놀이의 발달 = 86
1) 사회놀이에서 유아의 개인적 향상 = 86
2) 집단 역동 = 90
3) 사회적 유능감 = 93
6. 6~8세의 놀이 발달 = 94
7. 놀이 평가 = 95
1) 관찰법 = 96
2) 서술식 기록 = 97
3) 매체를 활용한 놀이 기록 = 99
4) 체크리스트 = 100
5) 놀이 기록 작업 = 101
맺는 말 = 105
프로젝트와 활동 = 106
4장 놀이에서의 다양성과 개인차
들어가는 말 = 107
생각할거리 = 109
1. 성차 = 110
1) 신체놀이 = 110
2) 사회놀이 = 113
3) 사물놀이 = 118
4) 가장놀이 = 120
5) 환경적 영향 = 126
6) 성인의 역할과 행동에 대한 권장사항 = 131
2. 성격과 놀이 = 133
1) 사물 지향성 대 사람 지향성 = 134
2) 인지 양식 = 136
3) 놀이성 = 137
4) 환상성 = 139
5) 상상놀이양식 = 140
6) 심리적 적응과 우울 = 142
7) 환경적 요인과 성격 = 144
8) 성인의 역할과 행동에 대한 권장사항 = 146
3. 인종, 민족, 놀이 = 148
1) 인종과 민족 차이 = 149
2) 아프리카계 미국 유아 = 150
3) 고맥락 의사소통과 저맥락 의사소통 = 152
맺는 말 = 153
프로젝트와 활동 = 154
5장 발달에서의 놀이의 역할
들어가는 말 = 155
생각할거리 = 156
1. 놀이와 발달: 기본적 관찰 = 156
2. 뇌 발달과 놀이 = 158
3. 문화적 학습과 놀이 = 161
4. 인지 영역 = 164
1) 개념 발달 = 164
2) 사고와 문제해결 = 165
3) 확산적 사고 = 166
4) 마음의 이론 = 167
5. 언어와 문해 영역 = 169
6. 사회 영역 = 176
7. 정서 영역 = 181
1) 정서 조절 = 181
2) 대처와 적응유연성 = 182
맺는 말 = 187
프로젝트와 활동 = 188
6장 놀이 맥락: 물리적 환경, 사회 생태, 문화
들어가는 말 = 191
생각할거리 = 192
1. 놀이에 대한 문화적ㆍ맥락적 접근 = 192
1) 맥락의 의미 = 193
2) 맥락에서의 놀이 연구를 위한 지침 = 196
3) 놀이-환경 관계의 일반 모형 = 197
2. 물리적 환경 = 198
1) 지리와 기후 = 198
2) 이웃과 지역사회 = 200
3) 공간: 일반적인 고려사항 = 203
4) 유아교육기관에서 공간과 실내 설계 = 206
5) 학습 영역 = 209
6) 공간 배치 = 213
3. 사회 생태와 놀이 = 222
1) 가족의 역동성 = 222
2) 부모의 영향 = 223
3) 형제 자매의 영향 = 225
4. 놀이와 문화 = 226
1) 문화와 놀이 = 229
2) 놀이의 문화적 영향 = 232
5. 교육적 적용 = 236
1) 부모의 참여 = 236
2) 교육과정에의 적용 = 236
맺는 말 = 238
프로젝트와 활동 = 240
3부 놀이와 교육
7장 교육적 놀이
들어가는 말 = 243
생각할거리 = 246
1. 교육적 놀이의 가치 = 246
1) 교육적 놀이의 장점 = 247
2) 교육적 놀이의 잠재적 단점 = 252
3) 교육적 놀이에 대한 찬반 고려 = 257
2. 교육적 놀이의 유형 = 258
1) 학업적으로 풍부한 놀이 영역 = 258
2) 게임 = 263
3) 모의활동 = 266
4) 놀이터 활동 = 269
3. 교육적 놀이에 대한 장애물 = 274
1) 유아원에서의 장애물 = 275
2) 유치원에서의 장애물 = 277
3) 초둥학교에서의 장애물 = 277
4) 장애물 극복하기 = 278
맺는 말 = 280
프로젝트와 활동 = 281
8장 교실놀이의 풍부화: 놀잇감 및 교육과정
들어가는 말 = 283
생각할거리 = 284
1. 놀잇감과 발달의 관계 = 285
2. 놀잇감의 특징 = 286
1) 개방적 놀잇감과 폐쇄적 놀잇감 = 287
2) 단순한 놀잇감과 복합적 놀잇감 = 288
3) 부드러운 놀잇감과 딱딱한 놀잇감 = 290
4) 다문화적 놀잇감 = 292
3. 놀잇감의 유형 = 294
1) 모형 장난감 = 294
2) 교육용 놀잇감 = 296
3) 구성놀잇감 = 297
4) 대근육 놀잇감 = 304
5) 게임 = 305
6) 실제적 놀잇감 = 305
4. 놀잇감의 선택 = 308
1) 일반적 지침 = 309
2) 연령별 놀잇감 = 313
5. 놀이와 교육과정 = 315
1) 놀이와 교육과정의 관계 = 316
2) 유아교육 프로그램에서의 역할 = 317
맺는 말 = 325
프로젝트와 활동 = 327
9장 교실놀이의 풍부화: 교수 방략 및 촉진 기법
들어가는 말 = 329
생각할거리 = 330
1. 놀이를 위한 적절한 시간의 제공 = 331
2. 사전 경험 = 333
3. 교사의 놀이 개입 = 334
1) 연구결과 = 336
2) 놀이 촉진 역할 = 342
3) 놀이 저해 역할 = 347
4) 융통성 = 351
4. 놀이를 수업과 연계하기 = 351
1) 연관시키기 = 351
2) 안내된 놀이 = 353
맺는 말 = 360
프로젝트와 활동 = 361
10장 장애유아를 위한 놀이
들어가는 말 = 363
생각할거리 = 364
1. 놀이와 특수교육 = 364
1) 장애아에게 있어서 놀이의 가치 = 367
2) 특수교육에서 놀이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의 장애물 = 368
3) 장애가 놀이에 미치는 영향 = 372
4) 보조기구와 환경 = 378
5) 교수를 위한 맥락으로서의 놀이 = 382
6) 가족과 장애아를 위한 프로그램 = 386
7) 놀이와 평가 = 393
2. 놀이치료 = 396
1) 모래놀이 치료 = 398
2) 집단놀이 치료 = 400
3) 가족놀이 치료 = 401
4) 유아교사와 놀이치료 = 403
3. 아동 생활 프로그램 = 404
맺는 말 = 407
프로젝트와 활동 = 408
11장 대중문화, 매체 및 기술공학
들어가는 말 = 409
생각할거리 = 411
1. 대중문화 = 412
1) 가정 생활과 공공 장소 = 415
2) 학교 = 425
3) 테러, 폭력, 재난 = 427
4) 상업주의 = 430
2. 놀이와 매체 = 436
1) 텔레비전 = 436
2) 다른 형식의 전자매체 = 443
3. 기술공학 = 446
1) 컴퓨터 = 446
2) 비디오 게임 = 452
3) 컴퓨터 게임 = 454
4) 컴퓨터 장난감 = 455
맺는 말 = 457
프로젝트와 활동 = 459
12장 실외놀이
들어가는 말 = 461
생각할거리 = 461
1. 놀이터의 역사 = 462
1) 병행적인 역사 변천 = 463
2) 놀이 시설의 시대별 변천 = 465
3) 문화적 관심 = 469
2. 실외놀이의 목적 = 470
1) 신체적 운동 = 470
2) 실외놀이의 즐거움 = 471
3) 세상에 대한 학습 = 471
4) 자신과 환경에 대한 학습 = 471
5) 잉여 에너지 이론 = 472
6) 건강 = 472
7) 유아를 유아답게 하기 = 473
3. 다양한 유형의 실외 놀이터 = 473
1) 전통적 놀이터 = 473
2) 창조적 놀이터 = 474
3) 모험 놀이터 = 476
4) 현대적 놀이터 = 476
4. 놀이터 설계 = 479
1) 놀이를 위한 준거 = 479
2) 다양한 유형의 놀이 장려 = 480
3) 놀이터와 건물의 관계 = 484
4) 놀이터를 넘어서 = 485
5. 연령별 놀이터 = 486
1) 영아기/걸음마기 놀이터 = 486
2) 유아기 놀이터 = 487
3) 학령기 놀이터 = 487
6. 안전 = 489
1) 놀이기구의 배열 및 배치 = 489
2) 놀이터의 크기 = 490
3) 감독의 용이 = 491
4) 미국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의 지침 = 491
5) 국제 안전 지침 = 493
6) 관리 = 493
7. 미국 장애인법(ADA)에 따른 접근 용이성 = 495
8. 놀이터에서의 교사 역할 = 496
1) 영아기/걸음마기 놀이터 = 496
2) 유아기 놀이터 = 496
3) 학령기 놀이터 = 498
9. 실외놀이 옹호 = 498
1) 유아의 놀이 권리를 위한 국제협회 = 499
2) 피플 C.A.R.E. = 502
3) Jim Greenman = 502
맺는 말 = 504
프로젝트 활동 = 504
참고문헌 = 507
찾아보기 = 52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